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프랑크푸르트 공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프랑크푸르트 공항(독일어: Flughafen Frankfurt Main, 영어: Frankfurt Airport, IATA: FRA, ICAO: EDDF)은 독일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의 서부(Frankfurt-West) 슈반하임(Schwanheim)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독일에서 이용객이 가장 많은 독일 제1의 공항이며, 영국 런던 히드로 공항, 프랑스 파리 샤를 드 골 공항과 함께 유럽을 대표하는 허브공항이다.
Remove ads
역사
1909년 11월 16일, 세계 최초의 항공사인 DELAG 항공이 프랑크푸르트암마인에 설립되어 이 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이용하기 시작했다. 1912년에 개항해 운영하고 있으나 LZ 129 힌덴부르크와 같은 열기구선 운항을 비롯해 여객 포화와 활주로 연장이 불가능해지면서 1924년 보고서에서 더 이상 공항 확장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당시 1926년에 민간 항공 여행의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해 수요를 처리하기에 한계가 있었다. 결국 1930년에 독일 정부가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남쪽에 공항 건설을 승인했지만 대공황으로 인해 연기되었다가 1933년에 착공하기 시작했다. 1936년 7월 8일에 개항했는데, 당시 독일군(당시 나치 정권)의 군사 공항으로 사용했다. 제2차 세계대전으로 1939년부터 여객 운항이 중단이 되었다. 1940년에 프랑스 공군이 폭격하면서 공항 기능이 파괴되었고 1944년에 활주로도 연합군에 습격을 받아 파괴되었다. 냉전 당시 1947년부터 미국 공군의 기지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1948년에 발족된 프랑크푸르트 공항 공단(영어: Flughafen Frankfurt Main AG)이 설립해 이 공항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1949년 민주진영의 서베를린 물자 공수작전의 중심 기지로 활용되었다. 1955년에 루프트한자가 운용하기 시작했다. 1957년에 활주로가 추가로 확장된데 이어 1958년에 새로운 여객 터미널이 완공되면서 국제선이 취항하기 시작했다. 1962년에 매년 30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더 큰 터미널을 구축하기로 결정해 1964년부터 확장 공사가 시작해 1965년에 완료되었다. 1970년에 새로운 여객터미널이 완공되어 운용하기 시작했는데 당시 6대의 항공기를 수용하고 세계 최대 규모의 터미널이 되었다. 1972년에 제 1 터미널을 완공하면서 민간여객 및 화물수송의 중심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그러나 여객 수요의 폭증과 터미널의 포화로 1990년부터 터미널 확장이 논의되기 시작해 1994년 10월 24일에 제2여객터미널을 완공하여 유럽을 대표하는 세계적인 종합 항공 교통 중심지로 자리를 잡았고 연간 5,400만 승객을 처리하게 되었다. 1999년 5월 30일에 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철도의 가운데 1단계가 개통되어 프랑크푸르트 공항역이 개설되었다. 또한 이 역은 제 1터미널과 연계가 가능하다.
Remove ads
현황
프랑크푸르트 공항은 2012년 10월에 제1여객터미널 서쪽에 루프트한자의 장거리 노선만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새로운 탑승동(Flugsteig A-Plus)을 개장해 연간 6천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에 독일 정부는 프랑크푸르트 공항에 제3여객터미널을 개설하기로 결정하였는데,[3] 이 터미널이 완공될 경우 연간 8,50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 제4활주로
프랑크푸르트 공항은 1990년대 중반에 이미 활주로가 포화 상태에 있었고, 이 때문에 1997년부터 제4활주로 건설이 논의되었다. 공항의 북서쪽에 만든 이 활주로는 지역 주민과 주변 환경에 가장 덜 영향을 미치기 위해 대형 여객기가 이륙할 수 없는 짧은 활주로로 결정되었고, 2009년 초에 공사를 시작해 2011년 10월 20일에 길이 2,800 m로 개장하였다.
- 야간운항통제 시간
제4활주로 건설을 논의하는 과정에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해 오후 11시부터 오전 5시까지 야간 비행을 금지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으나, 헤센주 정부는 2007년 12월에 활주로 건설을 승인하면서 허브공항인 프랑크푸르트 공항이 24시간 운항해야 할 필요성을 들어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나, 헤센주 행정법원은 2011년 10월 11일에 '제4활주로 개장 후에는 야간 운항을 불허한다'고 결정했고, 2012년 4월 4일에 독일 연방 행정법원이 오후 11시부터 오전 5시까지 야간 운항을 금지한 헤센 주 행정법원의 결정을 확정하였다.
- 제3여객터미널
제3여객터미널은 연간 2,500만 명의 여객을 처리할 목표로 과거 미국 공군 기지(Rhein-Main Air Base)가 있던 공항 남동쪽 부지에 2015년 10월 5일에 착공하였고, 여객터미널과 계획된 4개의 탑승동(pier) 중 우선 2개를 2022년에 개장하여 연간 1,500만명의 여객을 처리할 예정이다. 이곳에 주둔하고 있던 미국 공군은 2005년 12월 30일에 부지를 반환하고 람슈타인 공군 기지로 통합되었다.

- 공항의 남동쪽
- - 제3여객터미널 (건설 중)
- 공항의 북서쪽
- - 제4활주로 (2011년 개장)
Remove ads
구성
이 공항에는 2개의 여객용 터미널이 있어, 회랑, 신 교통 시스템(스카이 라인)버스로 연락되고 있다.
터미널 1
터미널 1(Terminal 1)은 1972년 3월 14일에 오픈. A, B, C세가지의 콩코스이 있다. 스타 얼라이언스들은 이 터미널 1에 발착한다. 루프트한자는 콩코스 A, 전일본공수는 콩코스 B를 사용하고 있다.
1터미널 주로 루프트한자는 수많은 협력사(브뤼셀 항공, 유로 윙스, 스위스 국제 항공, 오스트리아 항공)와 스타 얼라이언스 파트너 에게해에서 사용된다. 그 외 항공사 들은, 에어 캐나다, 중국국제항공, 에어 인디아, 전일본공수, 크로아티아 항공, 스칸디나비아 항공, 싱가포르 항공, 남아프리카 항공, TAP 포르투갈, 타이 항공, 터키항공과 유나이티드 항공이다.
터미널 2
터미널 2(Terminal 2)는 1994년 10월 24일 오픈한 터미널이다. D, E의 두 콩코스이 있다. 일본항공은 콩코스 D를 사용하고 있다. 스타 얼라이언스 항공사에는 프라하, 중국(중국국제항공, 중국동방항공, 중국남방항공), 덴마크 등에도 여러 항공사를 이용하고 있다.
승객들과 관광객들이 사람들과 터미널을 바꿀 수 있는 시스템 "스카이라인"은 터미널 1AZ, 터미널 기원전 1년에 과 터미널 2DE에 정차하고 있다. 열차는 낮에 모든 2–3분은 단자 사이의 여행 시간은 2분이다. 이외에도 단자 간의 정기 버스가 운행한다. 제2터미널의 미래 또한 스타 얼라이언스 루프트한자에 대해 다음 2020년에는 운영될 것이다.
운항 노선
- 가나다 순
화물 노선
Remove ads
연계 교통
도로 교통
철도 교통
- 1999년에 개통된 ICE 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철도 노선으로 프랑크푸르트 공항역의 경우 제 1 터미널과 연계가 가능하다.
통계
요약
관점
![]() | 이 그래프는 더 이상 지원되지 않는 레거시 그래프 확장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차트 확장 기능으로 변환해야 합니다. |


Remove ads
시설
Tradeprot Frankfurt GmbH, FAG 화물청사, LUG, 동물취급소, 부패성화물센터, 위험물 창고 등 화물터미널은 총 6동이 있다. 제 2 화물처리센터(Cargo City South)개발로 2010년에 2,749,000톤으로 처리능력이 늘어날 예정이다. 공항운영주체는 Flughafen Frankfurt-Main AG로 Fraport가 Frankfurt Main Airport를 소유 운영하고 있으며 Hahn 공항의 지분 74.8%를 보유하고 하노버 공항의 지분 30%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점
프랑크푸르트 공항의 구조상 도착한 터미널에 따라서 기내지 입짐과 기내 예입 짐을 2회에 겉쳐 세관에 신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신고를 잊거나 신고를 하지 않고 통관을 하게 되면 고액의 범칙금을 지불해야 한다.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