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대한민국)

한반도의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개성직할시를 함께 지칭하는 단어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수도권 (대한민국)

대한민국서울·수도권(서울·首都圈)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인천광역시경기도(군사분계선 이북 지역 제외)를 아울러 가리킨다.

간략 정보 수도권, 나라 ...
수도권
Thumb
나라 대한민국
주요 도시
인구
 (2024)
26,048,160[1]
1인당 GRDP[2]49,680 천원(KRW)
닫기

수도권의 면적은 11,856 km²로 대한민국 전체 면적의 11.8%를 차지하는데,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4년 7월 말에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604만2천여명이고 대한민국 총인구의 50.8%이다.[1] 이 지역은 일본의 수도권, 중국상하이, 인도네시아자카르타, 인도델리에 이은 세계 5위대도시권이다. 경기 지방(경인 지역)이라고도 한다.

법률상 수도권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수도권"이란 서울특별시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을 말한다.
제2조(수도권에 포함되는 서울특별시 주변 지역의 범위) 「수도권정비계획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이란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말한다.
제4조 (수도권광역행정의 조정) ① 법 제5조제1항에서 "수도권지역"이라 함은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및 경기도 일원의 지역을 말한다.

역사

Thumb
한성부 행정구역 영역도

고려의 수도가 개경으로 정해지면서 한반도 중부에 위치한 경기 지방은 한국 전체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이는 고려가 망하고 새로 들어선 조선에서도 이어졌으며 조선은 수도를 경기 지방의 한양(서울특별시한강 이북 지역)으로 이전하였다. 그 후 일제강점기에도 이 지역은 조선의 중심지였고 남북 분단이 된 오늘날에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밀집해 살고 있다.

인구 집중의 현황

행정안전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천592만5799명에 이른 2019년 12월에 대한민국 총인구의 50%를 넘었다. 이러한 수도권의 인구 및 경제, 행정 기능의 집중 현상은 주거지 부족 및 지역 불균형과 같은 여러 문제를 유발하였다. 인구과밀화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 전역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토지 및 주택의 매매, 담보 등에 제약이 따르지만, 인구 집중 현상은 갈수록 심화되어 왔다. 이러한 집중 현상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노무현대통령200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충청권 수도 이전 정책에 대하여 공약하였다. 이에 따라 2004년에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수립되었으나, 헌법재판소는 2004년 10월에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 헌법이 존재한다며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하여 위헌 결정을 내렸다. 이 판결로 인해 청와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을 제외한 행정 부처만 세종특별자치시에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지리

전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이 많지만 양평, 가평, 연천 같은 동북부 지역에는 산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남한강북한강경기도의 동쪽에서 만나 한강이 되고, 경기 지방을 완전히 가로질러 황해로 흘러든다.

지리상 수도권 권역

상세 인구

대한민국 수도권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대한민국 인구의 2분의 1, 남북한을 합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다음은 2024년 7월 말 주민등록에 따른 인구[1]로, 경기도의 시·군은 인구가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1. 수원시 (1,196,671 명) : 경기도청 소재지
  2. 용인시 (1,083,456 명)
  3. 고양시 (1,071,802 명)
  4. 화성시 (956,503 명)
  5. 성남시 (916,615 명)
  6. 부천시 (773,689 명)
  7. 남양주시 (733,244 명)
  8. 안산시 (624,788 명)
  9. 평택시 (594,712 명)
  10. 안양시 (548,005 명)
  11. 시흥시 (518,371 명)
  12. 파주시 (507,470 명)
  13. 김포시 (486,128 명)
  14. 의정부시 (460,663 명) : 경기도청 북부청사 소재지
  15. 광주시 (394,164 명)
  16. 하남시 (329,997 명)
  17. 양주시 (282,215 명)
  18. 광명시 (278,151 명)
  19. 군포시 (258,509 명)
  20. 오산시 (237,798 명)
  21. 이천시 (223,056 명)
  22. 안성시 (192,293 명)
  23. 구리시 (186,408 명)
  24. 의왕시 (155,329 명)
  25. 포천시 (142,135 명)
  26. 양평군 (126,668 명)
  27. 여주시 (114,696 명)
  28. 동두천시 (87,321 명)
  29. 과천시 (85,132 명) : 대한민국 정부과천청사 소재지
  30. 가평군 (62,445 명)
  31. 연천군 (41,035 명)

수도권 규제 지역 논란

  • 인천광역시 옹진군서해 5도는 원래 황해도였지만, 현재 수도권으로 분류되어 규제를 받고 있다. 서해5도 등 인천광역시의 옹진군, 강화군경기도연천군을 수도권 규제 지역에서 제외하려는 정치권의 논의가 2011년에 있었지만, 경기도 가평군, 안산시 대부동, 화성시의 섬 지역 등이 잇따라 형평성 문제를 제기할 가능성이 크고 이러한 논란이 인근 수도권 지역으로 확산되면 결국 수도권 규제 자체가 흔들릴 우려가 있기 때문에 흐지부지되었다.[5][6]
  • 경기도 화성시국화도는 지리적으로는 충청남도 당진시와 훨씬 가깝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화성시에 속해 있어서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섬의 일부 주민은 충청남도 당진시에 행정구역이 편입되길 바란다.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청미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지만, 장호원읍은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고 감곡면은 수도권 규제 지역이 아니다. 따라서 청미천 동쪽의 감곡면 지역은 개발이 용이하나, 서쪽의 장호원읍은 개발이 제한된다.

교통

고속도로, 도시고속화도로

철도

도시철도/광역철도

항공

교육

국공립대학교

국립대학

전문대학

공립대학

사립 대학교

여자대학교

스포츠

야구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BO 리그LG 트윈스1990년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두산 베어스1982년
키움 히어로즈2008년고척스카이돔
SSG 랜더스2021년인천SSG랜더스필드
kt 위즈2013년수원KT위즈파크
KBO 퓨처스리그고양 히어로즈2014년고양 국가대표 야구훈련장
한국야구독립리그연천 미라클2015년연천 베이스볼파크
저니맨 외인구단2017년목동야구장
파주 챌린저스2017년익사이팅 챌린저스 파크

농구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BL서울 삼성 썬더스1978년잠실실내체육관
서울 SK 나이츠1997년잠실학생체육관
수원 KT 소닉붐1997년수원KT소닉붐아레나
안양 KGC인삼공사1992년안양실내체육관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1995년고양체육관
WKBL용인 삼성생명 블루밍스1977년용인실내체육관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1986년도원체육관
부천 하나원큐1998년부천실내체육관

축구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K리그1FC 서울1983년서울월드컵경기장
인천 유나이티드2003년인천축구전용경기장
수원 삼성 블루윙즈1995년수원월드컵경기장
성남 FC1989년탄천종합운동장
K리그2수원 FC2003년수원종합운동장
안산 그리너스2016년안산와스타디움
부천 FC 19952007년부천종합운동장
FC 안양2013년안양종합운동장
서울 이랜드 FC2014년서울올림픽주경기장
K3리그서울 유나이티드2007년마들스타디움
서울 FC 마르티스2009년강북구민운동장
중랑 코러스 무스탕2012년중랑구립잔디운동장
포천 시민축구단2008년포천종합운동장
고양 시민축구단2008년고양어울림누리별무리구장
이천 시민축구단2009년이천종합운동장
양주 시민축구단2007년고덕인조구장
파주 시민축구단2012년파주스타디움
김포 시민축구단2013년김포종합운동장
FC 의정부의정부종합운동장
화성 FC화성종합경기타운
WK리그서울시청2004년효창운동장
서울올림픽보조경기장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993년인천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
수원시설관리공단2008년수원종합운동장
이천 대교2002년이천종합운동장

배구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V-리그 (남)서울 우리카드 위비2008년장충체육관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1986년계양체육관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1992년수원실내체육관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1976년의정부체육관
안산 OK금융그룹 읏맨2013년상록수체육관
V-리그 (여)GS칼텍스 서울 KIXX1970년장충체육관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1991년삼산월드체육관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1995년수원실내체육관
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1970년성남실내체육관
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2011년화성실내체육관

아이스하키

리그명팀명창단년도홈 경기장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안양 한라1994년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
대명 상무2013년목동 아이스링크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