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 헌법 제33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 헌법 제33조는 노동3권을 보장하는 대한민국 헌법의 조항이다.
대한민국 헌법 (한국어 / 영어) | |
전문 · 1장 · 2장 · 3장 · 4장 · 5장 · 6장 7장 · 8장 · 9장 · 10장 · 부칙 | |
제2장 각 조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대한민국의 헌정사 |
본문
① 근로자는 근로조건의 향상을 위하여 자주적인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②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③ 법률이 정하는 주요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단체행동권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를 제한하거나 인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내용
- 노동3권
참고문헌
- 한광수. (2023). 헌법의 경제질서와 헌법 제32조 및 제33조에서의 근로자 개념의 재검토. 노동법학,(87), 143-197.
- 곽순근. (2003, 2). 중요판례집중연구헌재판례연구-헌법 제33조 노동3권 규정의 법리와 실제. 고시연구, 30(2), 105-118.
같이 보기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