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도로원표

도로의 길이를 측정하는 기준점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도로원표
Remove ads

도로원표(道路元標)는 도로의 기점(起點) ·종점(終點) 또는 경과지를 표시한 것이다.

Thumb
전라남도 목포시의 도로원표 기념비
Thumb
도쿄도 주오구 니혼바시에 설치된 도로원표. 본시부터 세워져 있는 것이 도쿄시의 도로원표이며, 지상에 세워진 명칭은 일본국 도로원표로 명명한다.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도로원표가 1914년에 처음 설치되었다. 1914년 4월 11일에 <총독부고시 제135호>를 근거로 경성(지금의 서울), 인천, 군산, 대구, 부산, 마산, 평양, 진남포, 원산, 청진 등 10개 도시에 시가지 원표를 위치를 결정, 고시했다. 당시 도로원표에는 10개 도시의 주요도로들을 골라 1등 또는 2등의 도로 등급도 표시했는데, 대한민국이 고려 시대 때부터 사용해오던 대로, 중로, 소로와 같은 전통적 개념과 완전히 다른 것이었으며 그 기준도 모호하였다고 한다. 현재 볼 수 있는 도로원표는 1997년에 설치된 것이다.[1]

충청북도에서는 1998년 1월에 옥천군에 가장 먼저 설치되었다. 청주시는 2000년 5월에 상당공원 앞 사거리에 진표를 설치했고 여기서 52m가량 떨어진 시민헌정탑 앞 도로에 이표를 설치했다.[2]

Remove ads

법적 근거

요약
관점

도로원표는 도로법 제2조 2항 바호에 의해 도로의 부속물로 정해져 있으며 도로법 시행령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도로원표(道路元標), 수선 담당 구역표 및 도로경계표

도로법 시행령 제3조 9항

도로원표는 도로법 시행령 제50조를 통해 각 시·군에 1개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다. 단, 인천광역시는 예외로 강화군에 추가로 설치하여 2개소를 설치할 수 있다.[3] 위치는 도로법 시행규칙 제23조를 통해 기준을 정하고 있다.

제23조(도로원표)

① 영 제50조제3항에 따른 도로원표(道路元標)의 위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정한다.
1. 광역시청·특별자치시청·도청·시청·군청 등 행정의 중심지
2. 교통의 요충지
3. 그 밖의 역사적·문화적 중심지
② 영 제50조제4항에 따른 도로원표의 크기·표기방법 및 설치기준은 별표 2와 같다.
도로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5456호, 2014년 7월 14일 전부개정

단, 예외로 도로법 시행령 제50조 2항에 의거해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는 그 위치는 광화문광장의 중앙으로 규정하고 있다.

도로원표는 3단 기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높이는 약 1.3~1.4m이고 가장 상단에 사각뿔과 유사한 모양으로 "도로원표"라고 표시하고 있으며 중간 기단에 주요 도시명 및 거리를 킬로미터로 표시하고 있다. 이 때 거리는 도로원표간 거리로 하되 직선거리가 아니라 상급도로 기준으로 가장 가까운 거리를 합산해 표기하고 있으며, 섬의 경우에는 도로로 표기하기 어려우므로 직선 거리로 표기하고 있다. 가장 하단 기단에는 도로관리청 명칭 및 설립일자, 진표의 위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이 도로원표는 내구성 있는 석재를 이용해 제작한다.

통상적으로 도로원표는 각 시·군청에 설치되어 있으나 교차로를 도로원표 기준으로 정해져 있을 경우 차도 중앙에 도로원표(조형물)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도로노면과 같게 동판으로 도로원점(眞위치)임을 알리는 표식(진표)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인근에 조형물(이표)을 설치하여 도로원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진표의 표식이 되는 동판의 크기는 직경 50cm의 크기로 되어 있으며 표면에 "도로원표", "해당 시·군"이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Remove ads

서울특별시 도로원표

Thumb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 이표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진표)는 1914년 설치 당시에는 경성부 광화문통(지금의 세종로) 중앙[4](해발 30.36m, 동경 126도 58분 44.8018초, 북위 37도 34분 2.7474초)에 가로 90cm, 세로 30cm, 높이 70cm의 화강암 원표를 설치하였다. 당시 도로원표 전면에는 '道路元標(도로원표)', 측면에는 전국 18개 주요도시 간 거리를 일본식 한자로 음각되어 있었다.[1] 이후 1935년 칭경기념비전 옆으로 옮겨졌다가 1997년에 세종로네거리(세종대로종로가 나누어지는 4거리 중심점, 교보빌딩 앞)에 새로 설치하였다. 이표는 세종로파출소앞에 조형물이 설치되어 있다. 새로 설치된 도로원표는 처음 도로원표가 설치된 곳에서 남쪽으로 약 151m 떨어진 위치다. 그리고 서울특별시의 도로원표만은 도로법 시행령 제50조 2항을 통해 그 위치를 세종로광장의 중앙으로 못박아 두었다.

대한민국 주요 도시의 도로원표

요약
관점

대한민국의 주요 도시에 설치된 도로원표 위치는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지역, 도시 ...
Remove ads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로원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도로원표가 설치되어 있는데 대한민국과 달리 문화어로 '나라길 시작점'이라 칭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평양에 설치된 도로원표(나라길 시작점)은 김일성광장 주석단 아래 중앙에 설치했다고 알려져 있다.[1] 본래 1990년 초까지 평양 중구역 중성동 해방산여관 앞 마당에 비석 형태로 세워져 있었지만 이후 평양 중구역 평양성 중성의 출입문인 함구문으로 위치를 변경했다. 이 때 바꾼 이유는 "과거 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이전한 후 평양성을 쌓았는데 당시 파발들이 이 문을 통해서 이동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다 1996년에 현위치로 이전했다고 한다.[6][7]

일본의 도로원표

Thumb
니혼바시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원표의 모습. 이 도로에는 1, 4, 6, 14, 15, 17, 20번 국도가 한꺼번에 만나는 것으로 보인다.
Thumb
시코쿠 고치시의 도로원표. 해당 도로원표는 현청앞 교차로에 설치되어 있어, 32·33번 국도가 서로 만나게 된다.
Thumb
가고시마현 가고시마시에 있는 이정 원표 (국도 3호선의 종점)

일본의 도로원표는 대체적으로 니혼바시에 설치된 상태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니혼바시에는 국도 제1호선을 필두로 하여, 4, 6, 14, 15, 17, 20호선 등 7개의 국도 노선이 한꺼번에 만나게 되는 것으로 집계되어 있다. 또한 혼초 교차로, 고자 십자로 등도 역시 도로원표가 존재한다.

미국의 도로원표

미국에도 도로원표가 있으며 명칭은 제로마일스톤(Zero Milestone, Kilometre zero)이다. 워싱턴에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는 백악관 앞이다.[1]

프랑스의 도로원표

Thumb
노트르담 앞에 있는 프랑스의 도로원표

프랑스의 도로원표 명칭은 제로 포인트(Zero Point, (프랑스어)Point zéro (topographie))이다. 위치는 노트르담 성당앞에 설치되어 있다.[1]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