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 지하철 3호선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과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 3호선
Remove ads

서울 지하철 3호선(서울 地下鐵 三號線)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있는 지축역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오금역을 잇는 서울특별시도시 철도 노선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간략 정보 기본 정보, 운행 국가 ...
0.0
319 지축
1.5
구파발(은평성모병원)
3.5
연신내
4.8
불광
5.9
녹번
7.5
홍제(KB국민은행)
8.4
무악재
9.5
독립문
11.1
경복궁(정부서울청사)
12.2
안국(현대건설)
13.2
종로3가(탑골공원)
13.8
을지로3가(신한카드)
14.5
충무로
15.4
동대입구(동국대학교)
16.1
약수
16.9
금호
17.7
옥수 경의중앙
19.8
압구정(현대백화점)
21.3
신사 신분당선
22.2
잠원
23.4
고속터미널
25.0
교대(법원·검찰청)
25.9
남부터미널(예술의 전당)
27.7
양재(서초구청) 신분당선
28.9
매봉
29.7
도곡 수인분당
30.5
대치
31.3
학여울
32.2
대청(서울주택도시공사)
33.4
348 일원
35.2
349 수서수인분당  SRT 
36.6
가락시장
37.4
경찰병원
38.2
오금

서울 지하철 4호선과 함께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할을 극대화하고 지하철 이용률 증대측면에서 도심을 방사선형으로 관통하는 노선의 필연적인 필요성에 의해서 건설된 노선으로 (3호선은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4호선은 동북쪽에서 서남쪽으로 관통) 서울 서북부 지역과 서울 동남부 지역을 대각선으로 연결한다.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1975년 당시 서울특별시장인 구자춘에 의해 기존 계획이 파기된 이후, 1980년 4호선과 함께 건설업체 컨소시엄에 의해 사철로 건설한다는 계획이 발표되었다. 그러나 사철 건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수익은 대기업의 부동산 투자를 일부 제한하는 1978년 8.8조치로 인해 거의 대부분이 운임이 되면서 사업성이 떨어지게 되어 사철의 건설은 실패하고 컨소시엄도 해산되었으며,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현 서울특별시 도시기반시설본부)에 의해 건설되고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에 의해 운영되게 되었다.

1985년 두 차례에 걸친 노선 개통으로 1기 지하철구파발 ~ 양재 간 23개 역을 이으며 운행을 시작했다. 1993년 10월 30일2기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포함된 지축역양재 ~ 수서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1997년 3월 3기 지하철 계획 중 하나로 수서 - 가락시장 - 오금 연장 구간이 처음 계획되었고, 중간에 경찰병원역을 추가한 채 2004년 착공하여 2010년 2월 18일 연장 구간이 개통되었다.

한편 1996년에는 지축역을 기점으로 하는 일산선대한민국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의 주도로 건설되어 현재까지 상호 열차가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연표

Remove ads

운영

노선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열차는 지축역에서 일산선과 직결하여 대화역까지 운행하기도 하며, 구파발역까지만 운행하기도 한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대화행으로, 한국철도공사 소속 전동차가 구파발행으로 운행하는 경우도 많다. 각 공사 소속 전동차는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편성한다.

차량

역 목록

Thumb
349편성 차량 실내 1
Thumb
349편성 차량 실내 2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이용객 변동

지축역 ~ 오금역 구간만 해당된다.

자세한 정보 노선, 일평균 인원수 (명/일) ...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