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후한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후한서》(後漢書)는 중국 이십사사 중의 하나로 후한(後漢, 25년 ~ 220년)의 역사를 남북조 시대 송나라범엽(范曄, 398년 ~ 445년)이 정리한 역사서이다.

자세한 정보 이름, 저자 ...
Remove ads

개요

Thumb
후한서 (남송 소흥본)

다루는 시대는 25년(건무 원년)부터 220년(건안 25년)까지의 역사이며 본기 10권, 열전 80권, 지 30권으로 이루어져 있다. 사실 중국 정사 24기 중 유일하게 미완성으로 남아있는 책인데, 본기와 열전은 작성중이었고 표와 지를 만들기도 전에 범엽이 내란에 연루되어 처형되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후한서 지 30권은 사마표 《속한서》(續漢書)에 유소가 주석을 단 것을 덧붙인 것으로, 지 부분은 《속한지》(續漢志)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현존하는 후한서는 6세기에 유소가 집대성한 책이다.

《후한서》 〈동이열전〉(東夷列傳)에는 동이에 대한 언급이 있으며, 고구려, 부여도 동이로 분류되어 있다. 한편 일본도 같이 동이로 분류되어 본격적으로 언급되면서 중국의 사서에 최초로 등장하였다.

이외에도 사승·설영·화교·사침·원산송·장번(張璠)·사마표 총 8명이 개별적으로 《후한서》를 집필한 바 있다. 이 중 절반도 완성하지 못한 장번(張璠)을 제외한 나머지 7명이 각각 개인적으로 집필한 《후한서》들이 있었으나, 오호십육국 시대를 지나면서 모두 멸실되었다.

Remove ads

구성

본기(本紀)

황제

자세한 정보 ###, 제목 ...

후비

자세한 정보 ###, 제목 ...

열전(列傳)

열전
자세한 정보 ###, 부제 ...

속한지(續漢志)

속한지
자세한 정보 ###, 부제 ...

부록(附錄)

Remove ads

한국어 번역

글밥 아카데미에서 출판 번역 과정을 수료한 ‘바른 번역' 소속 번역가 이미영 씨가 2013년 4월에 후한서 10권을 팩컴북스 서전에 보태었다.

대동상업고등학교(현 대동세무고등학교) 교장을 지낸 진기환 씨가 번역한 후한서 10권이 2018년 3월부터 2019년 4월까지 간행되었다.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대학원 박사 홍승현 씨가 2022년 2월 후한서를 우리말로 옮겨 혜안에 출판하였다.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