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오대사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신오대사》(新五代史)는 북송의 관리 구양수(歐陽脩, 1007년 ~ 1072년)가 지은 중국오대 십국 시대(五代十國時代, 907년 ~ 979년)를 다룬 역사서다. 사찬 정사로, 이십사사에 속한다.[1]구오대사(舊五代史)》와 다르게 송나라가 10국을 통일한 후에 편찬된 역사서이다.

자세한 정보 이름, 저자 ...
Remove ads

개요

신오대사의 초기 이름은 《오대사기(五代史記)》이지만, 이후에 설거정의 《구오대사(舊五代史)》와 구별하기 위해 《신오대사》로 개칭한다. 당나라 이후에 편찬된 정사 중에 유일하게 개인이 편찬한 것이다. 모두 74권으로 송나라 구양수가 편찬해 황우 5년(1053년)에 완성했다. 구양수는 지방 근무 중에 《신오대사(新五代史)》를 편찬하고, 중앙에 복귀하여 송기 등과 《신당서(新唐書)》를 편찬하였다.

자료는 《구오대사》와 기타 소설, 필기 등을 사용하여 <구오대사>의 빠진 부분 등을 보충했다. 이 책의 저술동기와 그 특징은 춘추의 필법을 모방하여 유교적인 가치관에 따라 존왕사상과 군신관계 부자관계 등의 봉건적인 질서를 강조하고 있는 점에서 강한 근엄한 스타일을 견지한 책으로 평가된다. 또한 작자 자신이 명문장가이므로 글이 간결하고 호방하다. 중국의 정사(正史)에서 〈세가〉가 기록된 경우는 《사기(史記)》와 피휘 때문에 세가 대신 재기(載記)를 쓴《진서(晉書)》, 《신오대사(新五代史)》 등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Remove ads

구성

  • 본기(本紀) 12권, 열전(列傳) 45권, 고(考) 3권, 세가(世家) 11권, 부록(附錄) 3권을 합하여 총 74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세가는 오대 국가 근방에 있는 10국에 관한 것이다.

본기(本紀)

자세한 정보 ###, 제목 ...

열전(列傳)

자세한 정보 ###, 부제 ...

고(考)

자세한 정보 ###, 부제 ...

세가(世家)

자세한 정보 ###, 부제 ...

부록(附錄)

자세한 정보 ###, 부제 ...

서문(序文)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