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삼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3루(三漏) 또는 삼류는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4][5]
- 모든 번뇌를 분류하는 여러 가지 번뇌 분류법 가운데 하나이다.
- 4폭류(四暴流) · 4액(四軛) · 4취(四取) · 7사(七使) 등과 더불어 《아함경》 등의 초기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모든 번뇌에 대한 번뇌 분류법으로, 불교 일반에서 사용되는 번뇌 분류법이다.[6][7]
Remove ads
3루(三漏)는 욕루(欲漏) · 유루(有漏) · 무명루(無明漏)를 말한다. 누(漏, 산스크리트어: asrava)는 번뇌의 다른 말이며, 6근으로부터 누출된 번뇌가 유정을 생사의 바다 중에 '머물게 한다[令住]'는 뜻이다. 3루는 이러한 누(漏)의 뜻에서 모든 번뇌를 아래와 같이 3유형 또는 3그룹으로 구분한 것이다.[8][9][10][11][12]
3유루(三有漏) 또는 3류(三流)라고도 한다. 3류(三流)에서 유(流)는 번뇌를 뜻한다.[12][13][14][15] 번역하여 세 가지 유루라고도 한다.[16][17]
욕루(欲漏, 산스크리트어: kāmāsrava, 영어: contamination of desire)는 욕유루(欲有漏) 또는 욕류(欲流)라고도 하며, 무명(無明)을 제외한 욕계의 모든 번뇌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 것이다.
유루(有漏, 산스크리트어: bhavāsrava, 영어: contamination of existence)는 유유루(有有漏) 또는 유류(有流)라고도 하며, 무명(無明)을 제외한 색계 · 무색계의 상2계의 모든 번뇌를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 것이다. 한편, 여기서의 유루(有漏, 산스크리트어: bhavāsrava)는 무루(無漏, 산스크리트어: anāsravah, 영어: untainted)의 상대어로서의 유루(有漏, 산스크리트어: sāsrava, 영어: leaking, contaminated)와는 다른 것이다.[18][19]
무명루(無明漏, 산스크리트어: avidyāsrava, 영어: contamination of nescience)는 무명유루(無明有漏) 또는 무명류(無明流)라고도 하며, 3계의 무명(無明)을 따로 떼어 하나의 그룹으로 설정한 것이다. 이렇게 한 이유는 무명은 능히 모든 유(有) 즉 존재의 근본이 되기 때문이다. 즉, 무명은 그 자체만으로 능히 생사윤회의 근본이 되는데 이와 같이 무명의 과환(過患)이 특히 뛰어나다는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서 별도의 그룹으로 설정한 것이다.
Remove ads
3루
욕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유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무명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경론별 설명
잡아함경
《잡아함경》 제18권 제490경 〈염부차경(閻浮車經)〉에서, 사리불은 외도의 수행자인 염부차의 물음에 대한 답에서 유루(有漏)란 욕유루(欲有漏) · 유유루(有有漏) · 무명유루(無明有漏)의 3유루(三有漏)를 말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누진(漏盡) 또는 유루진(有漏盡)이란 3유루욕진(三有漏欲盡) 즉 이들 3유루에 대한 욕구[欲]가 다한 것이며, 이러한 상태에 이르는 길이 8정도(八正道)라고 말하고 있다.[16][17][20][21]
閻浮車問舍利弗。謂有漏盡。云何名為有漏盡。 舍利弗言。有漏者。三有漏。謂欲有漏.有有漏.無明有漏。此三有漏。欲盡無餘。名有漏盡。 復問。舍利弗。有道有向。修習多修習。得漏盡耶。 舍利弗答言。有。謂八正道。正見。乃至正定。 時。二正士共論議已。各從座起而去。
염부차가 사리불에게 물었다.
유루(有漏)가 다한다[有漏盡]고 말하는데 어떤 것이 유루가 다하는 것입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유루에 세 가지 유루가 있으니, 이른바 욕유루(欲有漏) · 유유루(有有漏) · 무명유루(無明有漏)입니다. 이 세 가지 유루에 욕심[欲]이 다하여 남음이 없으면 유루가 다한 것이라고 합니다.
또 물었다.
사리불이여, 닦아 익히고 많이 닦아 익히면 번뇌가 다하게 되는[漏盡] 길이 있고 방법이 있습니까?
사리불이 말하였다.
있습니다. 이른바 8정도(八正道)이니, 즉 바른 소견[正見]과……(내지)……바른 선정[正定]입니다.
그 때 두 정사(正士)는 서로 논의를 마치고 각각 자리에서 일어나 떠나갔다.
구사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유가사지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집론·잡집론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Remove ads
같이 보기
- 3도: 견도 · 수도 · 무학도
- 현관: 4제현관 · 6현관
- 유루와 무루
- 번뇌의 해석
- 번뇌의 다른 이름
- 번뇌의 작용
- 번뇌의 분류
- 번뇌 = 근본번뇌 + 수번뇌
- 번뇌 = 잡염 = 유부무기 + 불선
- 번뇌 = 108번뇌 = 98수면 + 10전
- 번뇌 = 개: 5개
- 번뇌 = 결: 2결 · 3결 · 4결 · 5결 · 9결 ·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 98결 · 108결
- 번뇌 = 구애: 3구애 · 5구애
- 번뇌 = 뇌: 3뇌
- 번뇌 = 누: 3루
- 번뇌 = 박: 3박 · 4박
- 번뇌 = 사: 7사 · 10사 · 98사 · 128사
- 번뇌 = 악행: 3악행
- 번뇌 = 취: 2취 · 4취
Remove ads
참고 문헌
- 고려대장경연구소.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 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
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