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TX-이음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소속 준고속 여객형 전기동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KTX-이음
Remove ads

KTX-이음한국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는 고속철도 브랜드이자 준고속철도 차량이다.[1][2]

간략 정보 제작 및 운영, 주 용도 ...

2021년 1월 상업 운행을 시작하였으며, 개량형 모델인 2세대는 서해선, 동해선, 경강선 등의 노선에 투입될 예정이다. 또한, 2027년부터 우즈베키스탄에서 운행할 예정인 아프로시욥 EMU-250는 KTX-이음 차량인 EMU-250을 현지 사정에 맞게 일부 개량한 것이다.

Remove ads

역사

현대로템과 코레일은 HEMU-430X 시제품 개발 이후 2016년 6월 상용서비스 최초로 고속전동차 공급 협약을 체결하였다. HEMU-430X도 전기다중차이지만, 서비스·양산용은 아니었다. 원래 주문은 6량 5편성[2편성]이었으나, 2016년 12월에 14량 추가 주문이 이루어졌다. 2016년 9월, 코레일은 새로운 모델의 디자인을 위한 공모를 열었다.[3][4] 2017년, 열차 홍보와 피드백을 위해 선택된 설계의 실물 모형이 대중에 공개되었다. 2019년 11월 4일, 초도분이 코레일에 인도되었다.[5][6]

2020년 8월, 코레일은 신차명 공모전을 열었는데, 당시 명칭은 EMU-260이었다.[7] 11월 18일 코레일은 올해 말 도입하는 차세대 KTX 열차(EMU-260)의 이름으로‘KTX-이음’이 확정됐다.[8] 이듬해인 2021년 1월 4일, 중앙선 청량리~안동 구간을 운행하기 시작했다.[9] 8월 1일, 강릉선 KTXKTX-산천을 대체하기 위해 개통되었다.[10]

2025년 6월, 1세대 이음 대비 소음과 공기청정 등 일부 개선형 모델인 2세대 초도분이 코레일에 140일 빨리 조기 납품되었다.

Remove ads

상세

요약
관점

1세대

KTX-이음은 대한민국의 현대로템에서 제작한다. 2024년 11월 코레일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고강도 고성능 제동시스템·모듈형 주회로 차단 시스템·고효율 친환경 공조시스템·주행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공기스프링 등 8개 부품의 국산화에 추가로 성공함에 따라 KTX-이음의 부품 국산화율이 90% 이상이 되었다.[11]

501~505호기는 2021년 1월 5일 중앙선 KTX 개통에 대비하여 506~519호기는 KTX-산천 140000호대 대신 강릉선 KTX를 운행하기 위해 도입되었다. 모든 차량은 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 소속이며, 이문차량사업소·부발차량사업소·강릉차량사업소에 분산 배속되어있다.

기존에 설계되어 운행되었던 KTX 1세대, KTX-산천과 다르게 KTX-이음은 개별 창문을 채택하였으며, 햇빛을 가릴 수 있는 블라인드가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특실이 아닌 우등실이 설치되어 있는데, 우등실에는 AVOD가 탑재되어 있으며, 우등실은 KTX-산천 특실과 달리 2+2 좌석 배치를 하고 있으며, 열차 중간이 아니라 1호차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좌석별로 스마트 기기 충전을 위한 220V 전용 콘센트가 1개씩 설치되어 있으며, USB포트가 2개 설치되어 있다. 휴대폰 무선충전이 가능하도록 개별 좌석에 무선충전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존 KTX와 다르게 누리로 열차와 같이 고상홈과 저상홈 모두 대응이 가능하다. 다만, 일반적인 통근형 전동차와 차량 길이가 다르고, 스크린도어와 문의 위치가 달라서 스크린도어[12]가 설치된 승강장에서는 여객 취급이 불가능하다.

2세대

2025년 6월 13일, KTX-이음의 2세대 초도분이 140일 빨리 납품되었다. 서스펜션을 강화하고 보강재를 추가하여 승차감 지수를 2.5에서 2.0으로 낮추었으며, 차음 기능을 개선하여 객실 소음을 70데시벨(db)에서 68db로 낮추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운전실과 객실 모두 확대 설치되었고 화장실에는 악취 저감용 공기청정기가 탑재되었다. 이 외에도,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정비시기의 최적기를 판단하는 '상태기반유지보수'(CBM) 장치와, 정전 시에도 안내 방송이 가능한 '무정전 비상용 방송장치'가 탑재되었다. 신호체계는 국산 KTCS-2이며, 고속차량 중 처음으로 적용되었다.[13]

구성

자세한 정보 호차번호, 좌석수 ...
Remove ads

수출형

UTY EMU-250

아프로시욥 EMU-250은 KTX-이음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우즈베키스탄 고속철도 아프로시욥 입선용 차량으로, 2027년까지 총 6편성(42량)이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다. 수출형 모델은 편성 구성, 외부 도색, 칸 구성 등이 국내용과 다르다.

영업 구간

영업 중

2024년 12월 20일 기준이며, 굵은 글자는 필수정차역이다.

현황

요약
관점

현재 총 19개 편성으로 운행하고 있으며 차량 현황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정보 차호, 도입 시기 ...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