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곡우
절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곡우(穀雨)는 24절기의 하나로, 음력 3월 중순경이다. 봄비가 자주 내리고 곡식이 풍성해지는 절기이며 태양 황경이 30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4월 20일경에 해당된다.
Remove ads
생태
- 부평초가 나기 시작한다.
풍속
-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나 마른다."라는 말처럼 비가 오지 않으면 그 해 농사를 망친다고 한다.
- 이날 못자리에 쓸 볍씨를 담갔는데, 밖에서 부정한 일을 겪은 사람이나 부정한 일을 본 사람은 집 앞에서 불을 피워 잡귀신을 몰아낸 다음 집에 들어갔다고 한다.
시간 및 날짜
기타
-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1]
- 또한,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는 기상현상이 아니라 천문현상으로서, 이들 4개는 기후변화와 관계없다.[2]
-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 적도(0°)에 있으며, 하지점에 있을 때 북회귀선(북위 23.5°)에 도달하며, 동지점에 있을 때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태양이 북위 약 11.7°, 즉 적도와 북회귀선의 가운데에 있을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참고)[3]
- 참고로, 이는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과도 같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일출일몰시각계산을 통해,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은 약 50% 이고, 하지는 약 60%, 추분은 약 50%, 동지는 약 40%이다.[4] 그리고 이들의 중간인 약 55% 일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입하, 입추는 약 57%이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우수, 곡우, 처서, 상강보다 ±2%p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결국 ±28.8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다.) (24절기, 적위 참고)
Remove ads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