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하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입하(立夏, 문화어: 립하)는 24절기중 하나로, 양력 5월의 절기이며, 태양 황경이 45도가 되는 때이다.
황경 | 절기 | 양력 |
---|---|---|
봄 | ||
315° | 입춘 | 2/3~5 |
330° | 우수 | 2/18~19 |
345° | 경칩 | 3/5~6 |
0° | 춘분 | 3/20~21 |
15° | 청명 | 4/4~5 |
30° | 곡우 | 4/20~21 |
여름 | ||
45° | 입하 | 5/5~6 |
60° | 소만 | 5/21~22 |
75° | 망종 | 6/5~6 |
90° | 하지 | 6/21~22 |
105° | 소서 | 7/7~8 |
120° | 대서 | 7/22~23 |
가을 | ||
135° | 입추 | 8/7~8 |
150° | 처서 | 8/22~24 |
165° | 백로 | 9/7~8 |
180° | 추분 | 9/22~23 |
195° | 한로 | 10/8~9 |
210° | 상강 | 10/23~24 |
겨울 | ||
225° | 입동 | 11/7~8 |
240° | 소설 | 11/22~23 |
255° | 대설 | 12/7~8 |
270° | 동지 | 12/21~22 |
285° | 소한 | 1/5~6 |
300° | 대한 | 1/19~21 |
양력으로는 5월 5일 경에 든다.
생태
- 쥐참외(玉瓜)가 나온다.
풍속
기상학적 계절 구분과의 비교
요약
관점
나라별 현황
현재 이 문단은 주로 대한민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 (2024년 5월) |
대한민국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여름의 시작을 9일 동안 일 평균기온이 20°C 이상 올라간 후, 다시 떨어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로 정의하며, 나흘 전부터 나흘 후까지 9일 동안의 평균 기온이 이틀 연속 유지될 때를 기준으로 한다.[1][2][3][4][5][6]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30년 단위, 10년 단위 평균 여름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7][8]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3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71년 ~ 2000년 | 6월 4일 ~ 9월 22일 | 111일 | 30.4% |
2 | 1981년 ~ 2010년 | 6월 2일 ~ 9월 23일 | 114일 | 31.2% |
3 | 1991년 ~ 2020년 | 5월 31일 ~ 9월 25일 | 118일 | 32.3% |
- 서울의 3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71년 ~ 2000년 | 6월 2일 ~ 9월 20일 | 111일 | 30.4% |
2 | 1981년 ~ 2010년 | 5월 30일 ~ 9월 22일 | 116일 | 31.8% |
3 | 1991년 ~ 2020년 | 5월 27일 ~ 9월 24일 | 121일 | 33.2% |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의 1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91년 ~ 2000년 | 6월 3일 ~ 9월 23일 | 113일 | 31.0% |
2 | 2001년 ~ 2010년 | 5월 31일 ~ 9월 25일 | 118일 | 32.3% |
3 | 2011년 ~ 2020년 | 5월 25일 ~ 9월 28일 | 127일 | 34.8% |
- 서울의 10년 단위 여름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 연도 | 시작일 ~ 종료일 | 기간 | 비율 |
---|---|---|---|---|
1 | 1991년 ~ 2000년 | 6월 1일 ~ 9월 21일 | 113일 | 31.0% |
2 | 2001년 ~ 2010년 | 5월 27일 ~ 9월 24일 | 121일 | 33.2% |
3 | 2011년 ~ 2020년 | 5월 24일 ~ 9월 28일 | 128일 | 35.1% |
기타
-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만 큰 의미가 있을 뿐, 나머지 20개는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천문학에서는 춘분점, 하지점, 추분점, 동지점 등 4개만 있고, 나머지 20개에 대응하는 명칭이나 용어가 없다.[9]
- 또한,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는 기상현상이 아니라 천문현상으로서, 이들 4개는 기후변화와 관계없다.[10]
-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를 왔다갔다 한다. 태양이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 적도(0°)에 있으며, 하지점에 있을 때 북회귀선(북위 23.5°)에 도달하며, 동지점에 있을 때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한다. 태양이 북위 약 11.7°, 즉 적도와 북회귀선의 가운데에 있을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태양고도/방위각계산 참고)[11]
- 참고로, 이는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과도 같다. 한국천문연구원 천문우주지식정보 - 생활천문관 - 일출일몰시각계산을 통해, 낮의 길이, 즉 하루 24시간, 1,440분 중에 낮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면, 대한민국 서울(북위 37.5°)을 기준으로, 춘분은 약 50% 이고, 하지는 약 60%, 추분은 약 50%, 동지는 약 40%이다.[12] 그리고 이들의 중간인 약 55% 일 때는 입하, 입추가 아니라, 곡우, 처서이다. 입하, 입추는 약 57%이다.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이, 우수, 곡우, 처서, 상강보다 ±2%p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인데, 이는 결국 ±28.8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이다.) (24절기, 적위 참고)
각주
같이 보기
참고 문헌 및 링크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