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21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21호선 (國道第二十一號線)은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대강면 대강면 행정복지센터에서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송산삼거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Remove ads
연혁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21호선 군산 ~ 천안선이 됨.[1]
- 1973년 9월 8일 : 선형 개량으로 인해 보령군 주포면 보령리 956m 구간을 610m로, 보령군 대천읍 명천리 600m 구간을 736m로, 홍성군 홍성읍 오관리 650m 구간을 480m로, 홍성군 홍성읍 남장리 300m 구간을 170m로, 홍성군 광천읍 상정리 ~ 백계리 370m 구간을 220m로, 홍성군 광천읍 용암리 560m 구간을 500m로 도로구역 변경[2]
- 1975년 8월 8일 : 보령군 남포면 옥동리 ~ 웅천면 두룡리 총 2.675km 구간 개통 및 기존 3.12km 구간 폐지, 예산군 응봉면 계정리 ~ 지석리 660m 구간 개통 및 기존 830m 구간 폐지, 서천군 비인면 성내리 ~ 종천면 화산리 총 2.675km 구간 개통 및 기존 3.78km 구간 폐지[3]
- 1981년 3월 14일 : 종점을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경기도 이천군 장호원읍'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군산 ~ 천안선'에서 '군산 ~ 장호원선'이 됨.[4]
- 1981년 4월 16일 : 국도로 승격된 충청남도 서천군 장항읍 신창동 ~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95.632km 구간 개통[5]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63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6]
- 1986년 9월 29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천원군 목천면 신대리 ~ 북면 연춘리 3.65km 구간, 온양시 남동 ~ 아산군 배방면 장재리 3.52km 구간 폐지[7]
- 1987년 1월 31일 : 온양우회도로(온양시 모종동 ~ 권곡동) 구간을 포함한 온양시 모종동 ~ 천안시 쌍용동 11.34km 구간 개통[8]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주산교(보령군 주산면 야룡리), 광천읍 소재지(홍성군 광천읍 옹암리 ~ 신진리), 예산읍 소재지(예산군 예산읍 주교리 ~ 산성리), 아산군 신창면 읍내리, 배방면 소재지(온양시 배방면 신동리 ~ 공수리) 구간 폐지[9]
- 1987년 7월 21일 : 천원군 목천면 신계리 ~ 북면 연춘리 2.88km 구간 개통[10]
- 1988년 3월 25일 : 홍성군 구항면 마온리 280m 구간 개통 및 기존 310m 구간 폐지, 홍성군 홍성읍 남장리 160m 구간 개통 및 기존 190m 구간 폐지, 보령군 청소면 죽림리 ~ 재정리 270m 구간 개통 및 기존 340m 구간 폐지, 아산군 배방면 세교리 150m 구간 개통 및 기존 160m 구간 폐지[11]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전라북도 전주시'로 연장함. 이에 따라 '전주 ~ 이천선'이 됨.[12]
- 1997년 12월 20일 : 전주시 덕진구 용정동 ~ 군산시 내초동 45.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3]
- 1997년 12월 24일 : 홍성군 홍성읍 대교리 ~ 예산군 오산면 역탑리 15.1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7.2km 구간 폐지[14]
- 1998년 1월 8일 : 서천군 비인면 관리 ~ 성내리 3.24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1km 구간 폐지[15]
- 1998년 4월 9일 : 음성군 맹동면 쌍정리 ~ 인곡리 1.6km 구간 개통, 기존 1.65km 구간 폐지[16]
- 1998년 9월 24일 :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남동 12.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7]
- 2001년 3월 23일 : 전주 나들목 개량사업으로 전주시 덕진구 반월동 ~ 용정동 66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 2001년 5월 14일 : 진천군 덕산면 함목리 880m 구간 개통, 기존 920m 구간 폐지[19]
- 2001년 7월 1일 : 내초 ~ 옥산간 도로(군장산업기지 진입도로, 군산시 내초동 ~ 옥산면 당북리) 11.7km 구간 확장 개통[20]
- 2001년 8월 25일 : 기점을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전라북도 남원시 대강면'으로 연장. 이에 따라 '남원 ~ 이천선'이 됨.[21]
- 2001년 11월 7일 : 보령시 대천동 ~ 홍성군 광천읍 옹암리 15.45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6.2km 구간 폐지[22]
- 2001년 12월 27일 : 보령시 주교면 관창리 ~ 주교리 2.4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3km 구간 폐지[23]
- 2001년 12월 31일 : 옥산 ~ 대야간 도로(군장산업기지 진입도로, 군산시 옥산면 당북리 ~ 대야면 복교리,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 ~ 옥석리) 9.8km 구간 확장 개통. 대야 ~ 공덕, 성덕 ~ 대야간 도로 2km 구간 동시 개통[24]
- 2002년 5월 28일 : 대야 ~ 공덕 ~ 전주간 도로(전주시 덕진구 조촌동 ~ 군산시 대야면 지경리) 25.9km 구간 확장 개통[25]
- 2002년 12월 9일 :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 ~ 주교면 관창리 10.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6]
- 2004년 7월 5일 : 완주군 상관면 신리 ~ 전주시 완산구 원당동 8.91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7]
- 2004년 12월 5일 : 진천군 진천읍 교성리 ~ 상신리 41.km 구간 확장 개통[28]
- 2005년 12월 30일 : 정읍시 구룡동 ~ 송산동 3.2km 구간 확장 개통[29]
- 2005년 12월 31일 : 보령시 화산동 ~ 주교면 관창리 4.24km 구간 확장 개통[30]
- 2006년 8월 16일 :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신창면 행목리 ~ 배방면 구령리) 11.9km 구간 확장 개통[31]
- 2007년 12월 20일 : 덕산 ~ 예산간 도로(예산군 예산읍 관작리 ~ 궁평리) 3.6km 구간 확장 개통[32]
- 2007년 12월 31일 : 천안시 성남면 화성리 ~ 병천면 탑원리 3.1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천안시 북면 상동리 ~ 병천면 탑원리 4.02km 구간 폐지[33]
- 2008년 7월 14일 :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행목리) 1.5km 구간 확장 개통[34]
- 2008년 12월 26일 : 구이 ~ 용정간 도로(완주군 상관면 신리 ~ 전주시 완산구 삼천동3가) 16.7km 구간 개통[35]
- 2008년 12월 31일 : 홍성남부우회도로(홍성군 구항면 마온리 ~ 금마면 장성리) 5.8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홍성읍내를 통과하는 6.4km 구간 폐지[36]
- 2009년 12월 22일 :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 ~ 화산동 7.0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령시 남포면 옥동리 ~ 주교면 관창리 10.2km 구간 폐지[37]
- 2010년 11월 22일 :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600m 구간 확장 개통[38]
- 2010년 12월 31일 : 아산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기존 아산시 신창면 읍내리 ~ 배방읍 구령리 11.5km 구간 폐지[39]
- 2011년 3월 28일 : 전주시 덕진구 용정동 ~ 완주군 용진면 용흥리 11.23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0]
- 2012년 11월 28일 : 진천IC ~ 금왕간 도로 1공구(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 음성군 맹동면 마산리) 11.0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진천군 진천읍 상신리 ~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 9.6km 구간 폐지[41]
- 2012년 12월 28일 : 진천IC ~ 금왕간 도로 2공구(음성군 맹동면 마산리 ~ 음성군 금왕읍 각회리) 9.9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음성군 맹동면 본성리 ~ 생극면 병암리 11.762km 구간 폐지[42]
- 2013년 12월 19일 : 아산시 배방읍 구령리 ~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7.0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아산시 배방읍 공수리 ~ 북수리 1.5km 구간 폐지[43]
- 2015년 2월 13일 : 용정 ~ 용진간 도로 중 용정 교차로 ~ 반월 교차로(전주시 덕진구 용정동 ~ 고량동) 3.2km 구간 확장 개통[44]
- 2015년 12월 28일 : 순창군 적성면 내월리 ~ 동계면 구미리 2.7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0km 구간 폐지[45]
- 2016년 10월 28일 : 용정 ~ 용진간 도로 중 반월 교차로 ~ 용진 교차로 (전주시 덕진구 고량동 ~ 완주군 용진읍 용흥리) 8.0km 구간 확장 개통[46]
- 2016년 10월 28일 : 용정 ~ 용진간 도로 중 반월 교차로 ~ 용진 교차로 (전주시 덕진구 고량동 ~ 완주군 용진읍 용흥리) 8.0km 구간 개통을 11월로 연기[47]
- 2016년 11월 10일 : 용정 ~ 용진간 도로 중 반월 교차로 ~ 용진 교차로 (전주시 덕진구 고량동 ~ 완주군 용진읍 용흥리) 8.0km 구간 확장 개통[48]
- 2016년 12월 30일 : 용두 ~ 동면간 도로(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 ~ 동면 화계리) 3.91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63km 구간 폐지[49]
- 2017년 12월 31일 : 서천 ~ 보령간 도로 1공구(서천군 서천읍 오석리 ~ 보령시 주산면 신구리) 15.1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총 6.223km 구간 폐지[50], 서천 ~ 보령간 도로 3공구(보령시 웅천읍 두룡리 ~ 남포면 옥동리) 13.1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보령시 웅천읍 두룡리 ~ 남포면 읍내리 총 5.01km 구간 폐지[51]
- 2018년 12월 26일 : 정읍 부전 ~ 순창 쌍치간 도로(순창군 쌍치면 신성리 ~ 정읍시 부전동) 7.36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순창군 쌍치면 종곡리 ~ 방산리 1.95km 구간과 정읍시 부전동 총 5.52km 구간 폐지[52]
- 2019년 12월 31일 : 순창 쌍치지내 도로(순창군 쌍치면 금평리 ~ 신성리) 6.4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순창군 쌍치면 금평리 ~ 옥산리 760m 구간 폐지[53]
- 2020년 12월 30일 : 순창 동계 ~ 적성간 도로(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 관전리) 3.98km 구간 확장 개통[54]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남원시 대강면 - 순창군 (적성면 · 동계면 · 인계면 · 구림면 · 쌍치면) - 정읍시 (부전동 · 금붕동 · 상동 · 구룡동 · 북면 · 정우면 · 태인면 · 옹동면 · 감곡면) - 김제시 (금산면 · 금구면) - 전주시 완산구 (용복동 · 중인동 · 원당동) - 완주군 (구이면 · 상관면) - 전주시 (완산구 (색장동 · 우아동 · 산정동 · 우아동 · 호성동) - 덕진구 (송천동 · 팔복동 · 고랑동 · 반월동 · 용정동 · 성덕동 · 화전동 · 도덕동 · 도도동)) - 익산시 춘포면 - 김제시 (백구면 · 공덕면) - 익산시 오산면 - 군산시 (대야면 · 개정면 · 옥산면 · 옥구읍 · 미룡동 · 신관동 · 개사동 · 산북동 · 내초동 · 소룡동 · 해망동 · 금동 · 장미동 · 신영동 · 금암동 · 중동 · 경암동 · 구암동 · 개정면 · 성산면 · 내흥동 · 성산면)
- 서천군 (마서면 · 서천읍 · 종천면 · 비인면) - 보령시 (주산면 · 웅천읍 · 남포면 · 명천동 · 동대동 · 화산동 · 죽정동 · 주교면 · 주포면 · 청소면) - 홍성군 (은하면 · 광천읍 · 구항면 · 홍성읍 · 금마면 · 홍북읍) - 예산군 (응봉면 · 오가면 · 예산읍) - 아산시 (도고면 · 신창면 · 기산동 · 초사동 · 송악면 · 장존동 · 좌부동 · 배방읍 · 남동 · 배방읍 · 탕정면 · 배방읍) -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 용곡동 · 청당동 · 삼룡동 · 목천읍 · 성남면 · 병천면 · 성남면 · 수신면 · 병천면 · 동면)
Remove ads
노선
요약
관점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전북특별자치도
- 기존 구간 (2009년 이전 노선)
충청남도
- 기존 구간 (2009년 이전 노선)
- 홍성군 마온 교차로 - 남장삼거리 - 한국폴리텍4대학 홍성캠퍼스 - 홍성경찰서 - 옥암3 교차로 - 옥암2 교차로 - 신촌삼거리 - 한국전력공사 홍성지사 - 소월교 - 소향삼거리 - 덕산동사거리 - 홍성고사거리 - 의사1교 - 대교사거리 - 대교1 교차로 - 홍양교 - 장성 교차로
- 기존 구간 (2010년 이전 노선)
- 보령시 남포삼거리 - 보령종합경기장 - 보령시보건소 - 보령요양원 - 명천삼거리 - 대천여객자동차 - 시청삼거리 - 대천4동행정복지센터 - 한내초등학교 - 보령고용복지센터 - 보령도서관 - 대천중학교 - 수청사거리 - 주공사거리 - 동대사거리 - 보령해양경찰서 - 한내대교 - 한내교사거리 - 보령시립중앙도서관 - 신평사거리 - 보령시자원봉사센터 - 파레스삼거리 - 보령교육지원청 - 관촌사거리 - 신대사거리 - 주포교 - 점촌사거리 - 충남정심원 - 관창사거리 - 관창 교차로
- 기존 구간 (2016년 이전 노선)
- 천안시 창들 교차로 - 합수 교차로 - 탑원 교차로 - 병천중고등학교 - 화계 교차로
충청북도
경기도
Remove ads
도로명
- 전북특별자치도
- 남원시 대강면 대강면 행정복지센터 ~ 수홍삼거리 : 섬진로
- 남원시 대강면 수홍삼거리 ~ 순창군 적성면 괴정삼거리 : 비홍로
- 순창군 적성면 괴정삼거리 ~ 동계면 연산사거리 : 충효로
- 순창군 동계면 연산사거리 ~ 관전삼거리 : 강동로
- 순창군 동계면 관전삼거리 ~ 구미리 : 귀미로
- 순창군 동계면 구미리 ~ 적성면 내월삼거리 : 장군목길
- 순창군 적성면 내월삼거리 ~ 운림삼거리 : 적성로
- 순창군 적성면 운림삼거리 ~ 인계면 인계삼거리 : 인성로
- 순창군 인계면 인계삼거리 ~ 도룡리 : 인덕로
- 순창군 인계면 도룡리 ~ 구림면 구림삼거리 : 구인로
- 순창군 구림면 구림삼거리 ~ 월정삼거리 : 구림로
- 순창군 구림면 월정삼거리 ~ 오정자삼거리 : 강천로
- 순창군 구림면 오정자삼거리 ~ 쌍치면 쌍치사거리 : 밤재로
- 순창군 쌍치면 쌍치사거리 ~ 쌍갈매삼거리 : 청정로
- 순창군 쌍치면 쌍갈매삼거리 ~ 정읍시 내장상동 부전사거리 : 순정로
- 정읍시 내장상동 부전사거리 ~ 송산 교차로 : 내장산로
- 정읍시 내장상동 송산 교차로 ~ 감곡면 계룡리 : 정읍대로
- 김제시 금산면 구월리 ~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 교차로 : 선비로
-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 교차로 ~ 완주군 상관면 상관 교차로 : 호남로
- 완주군 상관면 상관 교차로 ~ 전주시 완산구 안적교 남단 : 춘향로
- 전주시 완산구 안적교 남단 ~ 덕진구 전주 나들목 : 동부대로
- 전주시 덕진구 전주 나들목 ~ 조촌 교차로 : 온고을로
- 전주시 덕진구 조촌 교차로 ~ 대흥 교차로 : 번영로
- 전주시 덕진구 대흥 교차로 ~ 도도 교차로 : 도로명 없음
- 전주시 덕진구 도도 교차로 ~ 군산시 미성동 엑스포사거리 : 새만금북로
- 군산시 미성동 엑스포사거리 ~ 소룡동 변전소사거리 : 동장산로
- 군산시 소룡동 변전소사거리 ~ 여객터미널삼거리 : 외항로
- 군산시 소룡동 여객터미널삼거리 ~ 경암동 경암사거리 : 해망로
- 군산시 경암동 경암사거리 ~ 구암동 구암교삼거리 : 구암3.1로
- 군산시 구암동 구암교삼거리 ~ 개정면 호덕 교차로 : 구암로
- 군산시 개정면 호덕 교차로 ~ 성산면 금강하구둑 : 금강로
- 충청남도
- 서천군 마서면 금강하구둑 ~ 송내 교차로 : 금강로
- 서천군 마서면 송내 교차로 ~ 서천읍 오석사거리 : 대백제로
- 서천군 서천읍 오석사거리 ~ 홍성군 홍성읍 마온 교차로 : 충서로
- 홍성군 홍성읍 마온 교차로 ~ 금마면 장성 교차로 : 남부순환로
- 홍성군 금마면 장성 교차로 ~ 예산군 예산읍 궁평리 : 충서로
- 아산시 도고면 효자리 ~ 신창면 읍내 교차로 : 온천대로
- 아산시 신창면 읍내 교차로 ~ 배방읍 남동 교차로 : 온양순환로
- 아산시 배방읍 남동 교차로 ~ 장재지하차도 동단 : 온천대로
- 천안시 동남구 신방동 ~ 신방삼거리 : 충무로
- 천안시 동남구 신방삼거리 ~ 수신면 창들2 교차로 : 남부대로
-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창들2 교차로 ~ 동면 화계 교차로 : 도로명 미정
- 천안시 동남구 동면 화계 교차로 ~ 덕성리 : 충절로
- 충청북도
- 진천군 진천읍 금암리 ~ 사석삼거리 : 금사로
- 진천군 진천읍 사석삼거리 ~ 군청사거리 : 문진로
- 진천군 진천읍 군청사거리 ~ 신성사거리 : 문화로
- 진천군 진천읍 신성사거리 ~ 가산리 : 덕금로
- 진천군 진천읍 가산리 ~ 음성군 금왕읍 정생 교차로 : 진성로
- 음성군 금왕읍 정생 교차로 ~ 생극면 생극 교차로 : 생음대로
- 음성군 생극면 생극 교차로 ~ 감곡면 청미천교 : 중원대로
- 경기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