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29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도 제29호선
Remove ads

국도 제29호선 (보성~서산선, 國道第二十九號 寶城瑞山線)은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 보성 나들목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 독곶리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간략 정보 일반 국도, 총연장 ...
Remove ads

연혁

  • 1981년 3월 14일: 국도 제29호선 장동~대산선 신설[1]
  • 1981년 4월 16일: 국도로 승격된 서천군 화양면 옥포리~서산군 대산면 독곳리 153.922 km 구간 개통[2]
  • 1981년 5월 30일: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신설된 373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결정[3]
  • 1981년 8월 17일: 국도로 승격된 장흥군 장흥읍 대산리~화순군 화순읍 훈리 46.247 km 구간, 화순군 동면 경치리~담양군 담양읍 천변리 44.528 km 구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용면 용치리 19.04 km 구간 개통[4]
  • 1986년 5월 22일: 노선 지정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화순군 동복면 천변리~북면 수리 8.7 km 구간 도로구역 결정[5]
  • 1987년 5월 26일: 기존 국도 구간인 서산군 해미읍 읍내리, 서산군 서산읍 석림리~읍내리, 서산군 대산면 대산리, 부여군 규암면 외리 구간 폐지[6]
  • 1987년 9월 11일: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520m 구간 개통, 기존 700m 구간 폐지[7]
  • 1990년 10월 30일: 시점을 '전라남도 장흥군 장동면'에서 '전라남도 보성군 미력면'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보성~대산선'이 됨.[8]
  • 1994년 12월 22일: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21.5 km 구간 개통 및 기존 부여군 양화면 입포리 200m 구간과 서천군 한산면 동산리 700m 구간 폐지,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 1.2 km 구간 개통 및 기존 900m 구간 폐지[9]
  • 1995년 2월 18일: 청양군 청양읍 벽천리~학당리 2.75 km 구간 개통, 기존 2.16 km 구간 폐지[10]
  • 1996년 7월 1일: 종점을 '충청남도 서산군 대산면'에서 '충청남도 서산시 대산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보성~서산선'이 됨.[11]
  • 1996년 7월 3일: 서산시 예천동~지곡면 화천리 11.8 km 구간 개통, 기존 5.82 km 구간 폐지[12]
  • 1997년 1월: 제1신덕교(김제시 부량면 용성리~월촌동) 900m 구간 재개축 개통[13]
  • 1997년 9월 26일: 서산시 지곡면 화천리~대산읍 독곶리 21 km 구간 개통, 기존 구간 폐지[14]
  • 1997년 12월 10일: 예산군 광시면 하장대리~청양군 비봉면 장대리 1.48 km 구간 개통, 기존 1.6 km 구간 폐지[15]
  • 1998년 12월 30일: 정읍시 고부면 입석리~장문리 1.62 km 구간 개통[16]
  • 1999년 1월 8일: 덕안지구 위험도로(정읍시 고부면 덕안리~입석리) 68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730m 구간 폐지[17]
  • 1999년 11월 8일: 서산시 해미면 휴암리~수석동 11.22 km 구간 개통[18]
  • 1999년 12월 10일: 군포교(부안군 백산면 봉석리~김제시 부량면 옥정리) 2.8 km 구간 가설 개통 및 기존 2.54 km 구간 폐지[19][20]
  • 2001년 1월 13일: 홍성~갈산간 도로(홍성군 홍성읍 옥암리~갈산면 운곡리) 11.5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6 km 구간 폐지[21]
  • 2001년 9월 27일: 화순군 능주면 정남리~화순읍 이십곡리 9.58 km 구간 확장 개통[22], 화순군 이양면 강성리~춘양면 용두리 1.4 km 구간 확장 개통[23]
  • 2001년 9월 28일: 부여군 임천면 만사리~군사리 2.86 km 구간 확장 개통[24]
  • 2002년 6월 30일: 화순군 한천면 모산리~능주면 정남리 3 km 구간 확장 개통[25]
  • 2005년 11월 14일: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군산시 대야면 지경리 14.6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6], 군산시 개정면 옥석리~운회리 1.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7]
  • 2005년 12월 22일: 군산시 개정면 운회리~성산면 성덕리 6.47 km 구간 확장 개통[28]
  • 2007년 4월 30일: 김제시 서암동~군산시 대야면 지경리 구간 확장 개통[29]
  • 2008년 12월 31일: 홍성남부우회도로(홍성군 홍성읍 고암리~구항면 황곡리) 6.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홍성읍내를 통과하는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옥암리 4.2 km 구간 폐지[30]
  • 2009년 1월 23일: 보성군 미력면 덕림리~노동면 신천리 5.5 km 구간 확장 개통[31]
  • 2009년 5월 22일: 보성군 노동면 신천리~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4.6 km 구간 임시 개통[32]
  • 2009년 7월 28일: 보성군 미력면 덕림리~화순군 이양면 매정리 10.14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보성군 미력면 도개리~노동면 신천리 5.26 km 구간 폐지[33]
  • 2009년 12월 9일: 화순군 춘양면 용두리~한천면 모산리 4.6 km 구간 확장 개통[34]
  • 2009년 12월 31일: 고북우회도로(서산시 고북면 신송리~신상리) 4.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서산시 고북면 양천리~기포리 2.9 km 구간 폐지[35]
  • 2010년 1월 11일: 부안 백산우회도로(부안군 백산면 평교리~용계리) 2.48 km 구간 확장 개통[36]
  • 2010년 2월 12일: 화순군 이양면 금능리~한천면 모산리 8.04 km 구간 확장 개통[37]
  • 2010년 4월 26일: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송정리, 품평리 총 3.5 km 구간 임시 개통[38]
  • 2010년 11월 11일: 화순군 이양면 매정리~품평리 8.5 km 구간 확장 개통[39]
  • 2010년 11월 17일: 부여군 은산면 가중리~홍산리 2.76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부여군 은산면 신대리~홍산리 2.3 km 구간 폐지[40]
  • 2012년 12월 1일: 도삼지구 위험도로(서천군 마서면 도삼리) 700m 구간 개량 개통, 기존 구간 폐지[41]
  • 2013년 12월 24일: 정읍~신태인간 도로 1공구(정읍시 용계동~영원면 후지리) 9.216 km 구간 확장 개통[42][43]
  • 2013년 12월 31일: 삼산~금붕간 도로(정읍시 송산동~금붕동) 1.85 km 구간 확장 개통[44]
  • 2014년 1월 29일: 부여군 규암면 내리~은산면 가중리 4.74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부여군 규암면 외리~은산면 신대리 5.47 km 구간 폐지[45]
  • 2014년 7월 31일: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5.13 km 구간과 서산시 고북면 신상리~해미면 조산리 2.8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홍성군 갈산면 운곡리~서산시 고북면 신송리 4.8 km 구간 폐지[46]
  • 2014년 11월 21일: 화순~광주간 도로 및 신너릿재터널(전라남도 화순군 화순읍 대리 교리 교차로~광주광역시 동구 내남동 내지 교차로) 5.7 km 구간 확장 개통[47][48]
  • 2014년 12월 22일: 문흥~보촌간 도로(광주광역시 북구 장등동~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보촌리) 2.1 km 구간 확장 개통[49]
  • 2015년 5월 29일: 규암 우회도로(부여군 장암면 원문리~규암면 내리) 2.59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부여군 장암면 석동리~규암면 외리 2.34 km 구간 폐지[50]
  • 2015년 12월 31일: 신태인~김제간 도로(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김제시 연정동) 7.96 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정읍시 신태인읍 화호리~김제시 서암동 8.9 km 구간 폐지[51]
  • 2016년 12월 30일: 청양~홍성간 도로(청양군 청양읍 군량리~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23.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청양군 청양읍 벽천리~홍성군 홍성읍 구룡리 총 12.72 km 구간 폐지[52][53], 서산~황금산간 도로(서산시 대산읍 독곶리) 1.86 km 구간 신설 개통[54][55]
  • 2018년 12월 26일: 정읍 부전~순창 쌍치간 도로(순창군 쌍치면 신성리~정읍시 부전동) 7.36 km 구간 개량 개통 및 기존 순창군 쌍치면 종곡리~방산리 1.95 km 구간과 정읍시 부전동 총 5.52 km 구간 폐지[56]
  • 2019년 12월 31일: 순창 쌍치지내 도로(순창군 쌍치면 금평리~신성리) 6.44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순창군 쌍치면 금평리~옥산리 760m 구간 폐지[57]
  • 2020년 6월 26일: 정읍~신태인간 도로 2공구(정읍시 영원면 후지리~부안군 백산면 평교리) 7.52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8.9km 구간 폐지[58]
  • 2021년 5월 31일: 연정교차로(김제시 명덕동) 연결 교차로 300m 구간 신설 개통[59]
  • 2024년 8월 2일: 전라북도 정읍시 구간 노선 변경.[60]
  • 2025년 7월 11일: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구간 경유지 변경.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 동구 (선교동 · 내남동 · 월남동 · 소태동 · 학동 · 서석동 · 동명동 · 지산동 · 산수동) - 북구 (풍향동 · 우산동 · 두암동 · 각화동 · 문흥동 · 장등동 · 망월동)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Remove ads

노선

전라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이전 노선 (2014년 이전 노선)
  • 화순군 교리 나들목 - 너릿재터널(상행 615m, 하행 420m)

광주광역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이전 노선 (2014년 이전 노선)
  • 동구 너릿재터널(상행 615m, 하행 420m) - 지원 교차로

전북특별자치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 김제시 연정 교차로~신곡 교차로(아리랑로)
    • 김제시 신곡 교차로~군산시 대야 교차로(금만로)
    • 군산시 대야 교차로~개정 교차로(새만금북로)
기존 구간 (2020년 이전 노선)

충청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2008년 이전 노선)
기존 구간 (2013년 이전 노선)
  • 부여군 석동삼거리 - 석동교 - 규암 교차로 - 돌말 교차로 - 규암사거리 - 리교 - 나복삼거리 - 모리교 - 신대리삼거리 - 은산사거리 - 홍산 교차로
Remove ads

도로명

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자세한 정보 도로명, 시점 ...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