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7호선
한반도 동해안권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7호선(國道第七號線, 남한 구간은 의 일부)은 부산광역시 중구 중앙동 옛시청 교차로[3]와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Remove ads
역사
국도 제7호선은 한반도의 동해안을 종단하는 간선도로로서, 그 연원은 일제강점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930년대 일제는 부산에서 원산에 이르는 교통로를 정비하였는데, 이는 동해안 지역의 자원 수탈과 군사적 통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었다. 이로써 오늘날 국도 제7호선의 전신이 마련되었다.
1945년 광복과 1953년 한국전쟁을 거치며 한반도가 남북으로 분단되자, 국도 제7호선은 원래의 종점인 원산으로 더 이상 이어지지 못하였다. 이로써 본 도로는 남한 지역에서만 유지되었으며, 그 종점은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휴전선 인근으로 단축되었다.
1960년대 이후 대한민국 정부가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함에 따라 국도 제7호선 역시 확장과 포장 공사를 거듭하였다. 부산·울산·포항·동해·삼척 등 동해안의 주요 산업도시 및 항만을 연결하는 교통 축으로서 기능하면서, 본 도로는 국가 산업 발전의 중요한 기반으로 자리매김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교통량 분산과 물류 효율성 제고를 목적으로 국도 제7호선과 병행하는 동해고속도로가 건설되었다. 이 과정에서 일부 구간은 국도에서 국가지원지방도로 격하되기도 하였으며, 고속도로 및 다른 간선도로와의 연계를 통해 교통망의 일환으로 재편되었다.
오늘날 국도 제7호선은 부산에서 출발하여 울산, 포항, 영덕, 동해, 강릉, 속초를 거쳐 고성에 이르는 노선으로 이어진다. 이는 동해안의 항만, 공업지대, 관광지를 하나의 축으로 연결하는 교통로이자, 휴전선 인근까지 이어지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노선으로 평가된다. 향후 통일이 성취될 경우 국도 제7호선은 원산으로 다시 이어져 동북아 교통망의 중추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Remove ads
연혁
- 1971년 8월 31일: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7호선 부산~온성선이 됨.[4]
- 1975년 10월 1일: 양양군 손양면 상양혈리~밀양리 총 226m 구간 개통 및 기존 249m 구간 폐지[5]
- 1976년 4월 7일: 명주군 옥계면 초구리~강동면 모전리 총 5.111 km 구간 개량[6]
- 1976년 9월 21일: 삼척군 삼척읍 교리~명주군 묵호읍 부곡리 14.85 km 구간 개통 및 기존 17.82 km 구간 폐지[7]
- 1979년 1월 31일: 삼척~포항 구간 2차선 개통.[8]
- 1980년 2월 22일: 삼척군 원덕면 호산리~삼척읍 사직리 41.0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44.5 km 구간 폐지, 명주군 사천면 방동리~미노리 397m 구간 개통 및 기존 1.2 km 구간 폐지, 삼척군 삼척읍 교리~정상리 2.9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3.8 km 구간 폐지[9]
- 1981년 1월 20일: 삼척군 원덕읍 호산리~월천리 4.172 km 구간 개통 및 기존 5.87 km 구간 폐지[10]
- 1988년 8월 6일: 고성군 죽왕면 공현진리 우회도로 760m 구간 개통[11]
- 1989년 3월 11일: 울주군 청량면 율리 일대 구 도로부지 폐지[12]
- 1989년: 포항~울진 구간 4차선 확장공사 착공.
- 1992년: 포항~청하 구간 4차선 확장 개통.[13]
- 1994년 7월 15일: 명주군 옥계면 산성우리~강동면 안인진리 9.9 km 구간 개통[14]
- 1996년 7월 1일: 기점을 '부산직할시 중구'에서 '부산광역시 중구'로 변경함.[15]
- 1998년 11월 25일: 대복고가차도(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872m 구간 개통[16]
- 1999년 7월 19일: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죽왕면 문암리 7.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11 km 구간 폐지[17]
- 1999년 10월 1일: 속초시 교동~고성군 토성면 용촌리 5.3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0.6 km 구간 폐지[18]
- 1999년 12월 31일: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1.65 km 구간 재가설 개통[19]
- 2000년 2월 24일: 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6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0]
- 2000년 10월 25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호산리 1.9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89 km 구간 폐지[21]
- 2001년 4월 16일: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3.12 km 구간 확장 개통[22], 기존 울진군 근남면 노음리~수산리 2 km 구간 폐지[23]
- 2002년 1월 5일: 덕계지하차도(양산시 웅상읍 덕계리~평산리) 2.694 km 구간 개통[24]
- 2002년 7월 2일: 울진~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울진읍 온양리) 5.4 km 구간 확장 개통[25]
- 2002년 7월 10일: 유강외팔교(경주시 강동면 유금리~포항시 남구 연일읍 유강리) 2.87 km 구간 확장 및 이설 개통[26]
- 2003년 2월 8일: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근덕면 매원리 14.69 km 구간 자동차 전용도로 지정[27]
- 2003년 12월 31일: 울진~죽변간 도로(울진군 근남면 수산리~북면 고목리) 13.1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4.3 km 구간 폐지[28], 강구~영덕간 영덕우회도로(영덕군 영덕읍 남산리~화수리) 5.84 km 구간 확장 개통[29]
- 2004년 1월 1일: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하시동리~청량동 4 km 구간 확장 개통[30]
- 2004년 12월 30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명호리~송현진리 4.2 km 구간 신설 개통[31]
- 2005년 1월 5일: 강원도 삼척시 오분동~근덕면 매원리 14.7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1 km 구간 폐지[32]
- 2005년 2월 16일: 구 동해고속도로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낙풍리~강동면 상시동리 17 km 구간을 국도 제7호선으로 지정하고, 기존 국도 제7호선 24.14 km 구간 폐지[33]
- 2005년 6월 30일: 죽변~북면간 도로(경상북도 울진군 북면 고목리~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8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1.65 km 구간 폐지, 원남~울진간 도로(경상북도 울진군 원남면 덕신리~근남면 구산리) 9.0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9.65 km 구간 폐지[34]
- 2005년 8월 1일: 영덕~성내간 도로(경상북도 영덕군 축산면 도곡리~병곡면 영리) 8.1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8.57 km 구간 폐지[35]
- 2005년 12월 27일: 영덕~성내간 도로(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화수리~축산면 도곡리) 9.2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9.61 km 구간 폐지[36]
- 2006년 6월 23일: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 사천리~명호리 2.5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2.11 km 구간 폐지[37]
- 2006년 8월 11일: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근덕면 궁촌리 20.0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8][39]
- 2007년 2월 27일: 경주시 광명동~외동읍 구어리 25.72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0]
- 2009년 3월 20일: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월천리 1.0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1][42]
- 2009년 7월 20일: 병곡~평해~기성~원남간 도로(영덕군 병곡면 영리~울진군 기성면 사동리) 30.18 km 구간 확장 개통[43]
- 2009년 9월 2일: 북면~원덕~근덕간 도로(삼척시 원덕읍 호산리~근덕면 매원리) 20.04 km 구간 확장 개통[44]
- 2009년 12월 18일: 영덕 병곡~울진 원남 구간 및 울진 북면~삼척 근덕 구간 4차선 확장 개통.[45]
- 2010년 1월 22일: 병곡~평해~기성간 도로 확장 개통으로 인해 기존 영덕군 병곡면 영리~울진군 평해읍 학곡리 6.7 km 구간과 울진군 평해읍 평해리~기성면 정명리 9.17 km 구간 폐지[46]
- 2010년 12월 28일: 기성~원남간 도로(울진군 기성면 망양리 망양 교차로~망양1 교차로) 3.2 km 구간 확장 개통[47][48], 기존 울진군 기성면 정명리~원남면 덕신리 12.3 km 구간 폐지[49]
- 2011년 9월 27일: 양산시 동면 여락리~용당동 10.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0]
- 2012년 12월 31일: 고성군 현내면 제진리~사천리(제진 교차로~사천1 교차로) 1.6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276 km 구간 폐지[51]
- 2013년 8월 20일: 간성~거진간 도로(고성군 간성읍 상리~거진읍 자산리) 6.9 km 구간 임시 개통[52][53]
- 2014년 10월 6일: 간성~현내간 도로(고성군 간성읍 신안리~거진읍 자산리) 6.9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거진읍 송포리 5.55 km 구간 폐지[54]
- 2015년 9월 10일: 현내~송현진간 도로 1공구(고성군 현내면 대진리~명파리) 5.1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5.61 km 구간 폐지[55], 현내~송현진간 도로 2공구(고성군 현내면 명파리~제진리) 1.3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38 km 구간 폐지[56]
- 2016년 8월 9일: 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0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7],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청량면 문죽리 6.32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8]
- 2016년 12월 20일: 간성~현내간 도로(고성군 거진읍 자산리~현내면 대진리) 8.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고성군 거진읍 봉평리~현내면 대진리 총 7.77 km 구간 폐지[59]
- 2017년 12월 31일: 경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내남~외동간 도로,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외동읍 모화리) 15.4 km 구간 신설 개통[60]
- 2018년 7월 15일: 동해~강릉간 도로 중 동해시 망상해수욕장 2.14 km 구간 일부개통[61]
- 2018년 9월 20일: 경주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효현~내남간 도로, 경주시 내남면 노곡리~건천읍 화천리) 8.74 km 구간 신설 개통[62], 기존 경주시내(경주시 외동읍 구어리~천북면 오야리) 32.1 km 구간 폐지[63]
- 2018년 12월 26일: 부산시계~웅상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개곡리~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 2.0 km 구간 확장 개통[64], 기존 경상남도 양산시 동면 개곡리~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 3.1 km 구간 폐지[65]
- 2019년 4월 29일: 부산시계~웅상간 도로(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두명리~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9.3 km 구간 신설 개통[66], 기존 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월평리~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 10.2 km 구간 폐지[67]
- 2019년 6월 18일: 망상~옥계간 도로(동해시 망상동~강릉시 옥계면 낙풍리) 8.8 km 구간 확장 개통[68]
- 2020년 9월 28일: 추석 연휴인 10월 5일까지 웅상~무거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7 km 구간 임시 개통[69]
- 2020년 10월 30일: 웅상~무거간 도로(경상남도 양산시 용당동~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 7.7 km 구간 신설 개통[70] 및 기존 8.3 km 구간 폐지[71]
- 2021년 3월 30일: 웅상~무거간 도로(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청량읍 문죽리) 4.9 km 구간 신설 개통[72], 기존 울주군 웅촌면 대복리~청량읍 율리 5.4 km 구간 폐지[73]
- 2022년 4월 1일: 울산광역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남구 옥동 1.5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74]
- 2022년 4월 28일: 흥해우회도로(포항시 북구 흥해읍 초곡리~덕장리) 6 km 구간 신설 개통[75], 기존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옥성리~덕장리 3.5 km 구간 폐지[76]
- 2022년 9월 30일: 옥동~농소간 도로 (울산광역시 남구 옥동~울주군 청량읍) 구간 1km 신설 개통
- 2023년 10월 19일: 청량~옥동간 도로 (울주군 청량읍 문죽리) 1.59 km 구간 개통[77]
- 2023년 10월 30일: 이예로 완전 개통으로 기존 울산광역시 시내 구간을 지정 해제하고 이예로 전 구간으로 노선 변경[78]
- 2023년 12월 28일: 경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상구~효현간 도로) 중 경주시 충효동~광명동 2.4 km 구간 신설 개통[79],
- 2024년 12월 31일: 경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상구~효현간 도로) 중 경주시 충효동~현곡면 상구리 4.1 km 구간 신설 개통[80], 경주시 현곡면 상구리~효현동 6.5 km 구간 자동차전용도로로 지정[81]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요약
관점
대한민국 구간
- 중구 중앙동 - 동구 (초량동 · 수정동 · 좌천동 · 범일동) - 부산진구 (범천동 · 부전동 · 범전동 · 양정동) - 연제구 거제동 - 동래구 (사직동 · 온천동) - 금정구 (장전동 · 부곡동 · 서동 · 남산동 · 청룡동 · 노포동 · 두구동)
- 양산시 (덕계동 · 명동 · 삼호동 · 용당동)
- 경주시 (외동읍 · 시래동 · 구정동 · 조양동 · 도지동 · 동방동 · 배반동 · 황동 · 인왕동 · 황오동 · 성동동 · 동천동 · 용강동 · 천북면 · 강동면) - 포항시 (남구 (연일읍 · 효자동 · 대잠동) - 북구 (죽도동 · 용흥동 · 대흥동 · 신흥동 · 덕산동 · 덕수동 · 우현동 · 흥해읍 · 청하면 · 송라면)) - 영덕군 (남정면 · 강구면 · 영덕읍 · 축산면 · 영해면 · 병곡면) - 울진군 (후포면 · 평해읍 · 기성면 · 매화면 · 근남면 · 울진읍 · 죽변면 · 북면)
- 삼척시 (원덕읍 · 근덕면 · 오분동 · 정상동 · 교동 · 갈천동 · 마달동 · 우지동 · 추암동) - 동해시 (대구동 · 추암동 · 대구동 · 단봉동 · 이도동 · 나안동 · 동회동 · 효가동 · 지흥동 · 천곡동 · 평릉동 · 부곡동 · 발한동 · 초구동 · 망상동) - 강릉시 (옥계면 · 강동면 · 운산동 · 신석동 · 유산동 · 노암동 · 내곡동 · 홍제동 · 교동 · 유천동 · 교동 · 지변동 · 죽헌동 · 난곡동 · 대전동 · 안현동 · 사천면 · 연곡면 · 주문진읍) - 양양군 (현남면 · 현북면 · 손양면 · 양양읍 · 강현면) - 속초시 (대포동 · 조양동 · 교동 · 장사동) - 고성군 (토성면 · 죽왕면 · 간성읍 · 거진읍 · 현내면)
현재 대한민국에서 접근이 가능한 구간은 고성군 현내면 마차진리 통일전망대까지이며, 그 이후 구간은 DMZ로 인해 접근이 불가능하다.
DMZ 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구간
노선
요약
관점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부산광역시·경상남도 양산시
- 기존구간(2019년 이전 노선)
개곡교차로 - 개곡교 - 계경교 - 월평교차로(월평고가차도) - 월평교차로 - 덕계지하차도 - 덕계사거리 - 대승1차아파트입구사거리 - 평산교 - 평산사거리 - 해인병원사거리 - 72번교차로 - 웅상도서관 교차로 -주진교 - 주진마을 교차로 - 73번교차로 - 명곡교 - 74번교차로 - 웅상초등교입구 교차로 - 웅상새마을탑삼거리(75번 교차로) - 76번교차로 - 삼호3교 - 삼호2교 - 삼호1교 - 용암마을입구 교차로 - 북부사거리 - 서창삼거리 - 편들마을 교차로 - 용당사거리
- 기존구간(2020년 이전노선)
회야교삼거리 - 회야교 - 울산CC입구교차로 - 하수처리장입구 교차로 - 중대마을교차로 - 하태마을교차로 - 저리마을 교차로 - 초천마을압 교차로 - 웅천초등학교 교차로 - 동문마을교차로 - 곡천삼거리 - 원당골삼거리 - 대복삼거리 - 원터교차로
울산광역시
경상북도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도로명
- 부산광역시·경상남도
- 중구 옛시청 교차로~부산진구 송공삼거리: 중앙대로
- 부산진구 송공삼거리~연제구 교대사거리: 거제대로
- 연제구 교대사거리~양산시 동면 영천초등학교: 중앙대로
- 양산시 동면 영천초등학교~개곡 교차로: 웅상대로
- 양산시 동면 개곡교차로~용당동 용당터널: 통신사로
- 울산광역시
- 경상북도
- 경주시 외동읍 모화리~외동 교차로: 산업로
- 경주시 외동읍 외동 교차로~현곡면 상구리: 외현로
- 경주시 현곡면 상구리~천북면 북경주 나들목: 건포산업로
- 경주시 천북면 북경주 나들목~강동면 유강터널: 산업로
- 포항시 남구 연일읍 유강터널~북구 용흥고가차도: 새천년대로
- 포항시 북구 용흥고가차도~세무서삼거리: 용당로
- 포항시 북구 세무서삼거리~우현사거리: 중앙로
- 포항시 북구 우현사거리~흥해읍 성곡 나들목: 소티재로
- 포항시 북구 흥해읍 성곡 나들목~초곡 교차로: 동해대로
- 포항시 북구 흥해읍 초곡 교차로~용천 교차로: 의창로
- 포항시 북구 흥해읍 용천 교차로~울진군 북면 고포터널: 동해대로
-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기타
- 강릉시에서 동해시를 잇는 일부 구간은 예전에 동해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이었으나 동해고속도로가 이설, 확장 개통하면서 국도 제7호선으로 편입되었다.
- 2000년 2월 6일 KBS에서 방송된 《하늘에서 본 국도 7호선》에서 그 모습이 방영되기도 했다.
재방영되기도 하였다.
- 2013년 1월, EBS에서 방송된 《한국기행》 10부작 시리즈인 《7번국도》에 그 모습이 방영되기도 했다.
- 부산~포항 구간을 제외하고는 거의 전 구간이 해안을 근접 가시권에 두고 있다. 특히 부산~울산 구간은 교통량이 상당히 많아 매일 출ㆍ퇴근 시간대에 교통혼잡이 일어나나 동해고속도로 부산~포항 구간 개통으로 다소 해갈되었으며, 지금은 우회도로가 전혀 없는 포항~영덕 구간에서 상습 정체가 일어나고 있다.
- 동해대로 구간에서 공식적으로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된 곳은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오분동~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구간이지만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구간도 신호가 거의 없고 거의 전구간이 입체교차로화되어 차량들이 고속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저속차량(경운기 및 100cc 이하 저배기량 이륜자동차 등)을 운행할 경우 가급적 구도로로 우회하거나 최대한 바깥차선으로 조심해 운행하는것이 좋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