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역과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역 및 송파구 마천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의 도시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서울 지하철 5호선
Remove ads

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 地下鐵 5號線)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있는 방화역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있는 상일동역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마천역을 잇는 서울교통공사도시 철도 노선이다. 서울 지하철수도권 전철 5호선의 일부를 이룬다. 모든 구간이 지하이며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고, 전 구간을 서울교통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노선 색은 보라색이며 통행 방향은 우측통행이다.

간략 정보 기본 정보, 운행 국가 ...
서울 지하철 5호선
(방화-상일동)
(방화-마천)
0.0
510 방화
0.9
511 개화산
2.1
512 김포공항 김포 서해선
3.3
513 송정
4.4
514 마곡(홈&쇼핑)
5.6
515 발산(SNU서울병원)
6.7
516 우장산
7.7
517 화곡
8.9
518 까치산
←신정지선
10.2
519 신정(은행정)
11.0
520 목동
11.9
521 오목교(목동운동장 앞)
13.0
522 양평
13.8
523 영등포구청
14.7
524 영등포시장(SC제일은행)
15.8
525 신길
16.8
526 여의도(신한투자증권)
17.8
527 여의나루(유진투자증권)
19.6
528 마포
20.4
529 공덕 경의중앙
21.5
530 애오개(아현공원)
22.4
531 충정로(경기대입구)
23.1
532 서대문(강북삼성병원)
24.2
533 광화문(세종문화회관)
25.4
534 종로3가(탑골공원)
26.4
535 을지로4가(MG새마을금고)
27.3
536 동대문역사문화공원(DDP)
28.8
537 청구
29.1
538 신금호
29.9
539 행당
30.8
540 왕십리(성동구청)경의중앙수인분당
31.5
541 마장
32.5
542 답십리
33.7
543 장한평
35.2
544 군자(능동)
36.2
545 아차산(어린이대공원 후문)
37.7
546 광나루(장신대)
39.7
547 천호(풍납토성)
40.5
0.0
548 강동(강동성심병원)
41.7
1.2
41.4
549 길동
올림픽공원(한국체대) P550
43.1
2.6
42.2
550 굽은다리(강동구민회관 앞)
방이 P551
44.0
3.5
42.9
551 명일
연결선
44.1
552 고덕(강동경희대학병원)
45.2
553 상일동
오금 P552
44.9
4.4
개롱 P553
44.0
5.3
거여 P554
45.8
6.2
마천 P555
46.7
7.1
Remove ads

역사

연혁

운영

요약
관점

열차 운행

이 노선은 방화행, 상일동행, 마천행,하남검단산행 등이 주를 이루며, 영업 운행하는 모든 열차가 각 역에 정차한다. 방화 ~ 상일동역 구간과 방화 ~ 마천 구간을 왕복 운행하는 열차가 기본을 이루며, 두 계통의 열차는 방화 ~ 강동 구간을 같은 선로로 운행하고 강동역 이동 구간은 각 방면의 Y자 선로를 별개로 사용한다.

차량

경정비는 방화차량사업소하고 고덕차량사업소, 중정비는 고덕차량사업소에서만 시행한다.

운임

수도권 전철에 속한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별도로 추가되는 요금은 없다. 승차할 때는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이나 교통카드(T-Money 등), 교통 카드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일부 신용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내의 다른 역에서 발매된 승차권이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수도권 통합 요금제의 적용을 받으며, 서울특별시·경기도·인천광역시 버스(경기도 시외버스, 김포공항·인천공항 리무진 제외)에서 갈아탈 때는 기본 운임이 면제·할인된다.

역 번호

기점인 방화역의 510부터 시작하여 종점인 상일동역의 553에서 끝난다. 지선에 해당하는 구간의 역번호는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의 마지막 역인 상일동역의 553부터 매겨 554 ~ 560번까지 부여되었다. 그러나 둔촌동역부터 이어지는 역들이 상일동역 뒤에 연결되는 역으로 오인될 소지가 있으므로 현재는 한국철도공사수도권 전철 1호선의 번호를 매기는 방식을 따라 강동역 이후 본선에서 갈라지는 분기선이라는 의미에서 Point의 첫 글자인 P를 맨 앞에 붙이고 강동역의 역번호(548)로부터 번호를 매긴 P549 ~ P555의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하행인 상일동행과 마천행은 역 번호가 커지나 반대로 상행인 방화행은 역 번호가 작아진다.

연결선

까치산역 ~ 신정역 구간에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과의 연결선이 방이역 ~ 오금역 구간에 서울 지하철 8호선 가락시장역과의 연결선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까치산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 일부를 반입할 때에 사용되었으며, 방이역 연결선은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의 반입에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고덕차량사업소에서 중검수를 받기 위하여 이동할 때에 사용된다. 1996년 11월 15일 왕십리역 ~ 강동역 개통 당시엔 열차를 4호선 충무로 연결선 3호선을 통해 수서차량사업소 유치 한 후 분해 과정을 거쳐 송파 방이 연결선으로 넣고 재조립 한 후 고덕차량사업소로 반입하였고 방화역 ~ 까치산역 구간 개통 당시엔 열차를 1호선 동묘역 분기점에서 2호선 성수 지선을 통해 성수역~신도림역 구간을 통해 이동 시킨 후 신정 지선을 거쳐 까치산역을 통해 반입 작업을 하였다 방화차량사업소

본선과 마천지선 간 연결선 복선화 계획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에 따라 길동역둔촌동역 사이의 연결선을 복선화해 하남선직결 운행할 계획이 있다.[3]

Remove ads

역 목록

본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마천지선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Remove ads

이용객 변동

자세한 정보 구분, 일평균 인원수 (명/일) ...
Remove ads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