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직결 운행

다른 철도 교통의 노선을 환승 절차를 거치지 않고 쭉 운행하는 것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직결 운행(直結 運行)은 철도 교통에서 다른 철도 회사나 동일한 철도 회사의 다른 노선에 걸쳐, 동일한 열차가 운행하는 것을 말한다. 직결 운전(直結運轉), 직통 운전(直通運轉), 직통운행(直通運行) 등으로도 부른다. '직통 운전'(일본어: 直通運転)이라는 용어는 일본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직통 운전은 대한민국에서도 사용되기는 하지만, 대한민국의 경우 급행 운전과 동의어로 쓰는 일이 있기 때문에[1] 이 글에서는 '직결 운행'으로 통일한다.

개요

요약
관점

직결 운행에는 두 노선간 양방향 직결 운행을 하는 상호 직결 운행(相互-)과 한쪽으로만 하는 편방향 직결 운행(片方向-)이 있다.[2]

이용객의 입장에서는 접속역에서 갈아타지 않고 승차역으로부터 목적역까지 왕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열차의 운행 계통이 복잡하게 되기 쉽기 때문에 이용객에게 잘 알려지지 않거나, 운전 시각표가 지켜지지 않았을 때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파급된다는 단점도 있다.

다른 철도 회사 간의 직결 운행의 경우, 각 회사 소유의 차량을 해당 회사 승무원이 운전하는 경우도 있으나, 상대 회사에 차량을 빌려주는 형식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때 각 회사의 노선 내에서는 해당 회사의 승무원이 열차를 운전하기도 한다.[3]

직통 노선 연장을 위해서는, 시설·운전 업무나 여객 안내·영업 면에서 다음과 같은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선로의 접속. (즉 철도선로 접속)
  • 접속역의 정비.
  • 차량의 정비·개조 내지 신조(新造).
  • 열차 안내 시스템 등의 정비.
  • 승무원 및 운전기사 대상 운전지령 훈련.
  • 직결 운전 시각표의 작성.
  • 경우에 따라서는 차랑 기지의 개수(改修)·신설·확장.
  • 분실 습득물의 취급.
  • 전기 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가선 전압(架線 電壓)의 변경이나 차량의 복전압 대응화. (대한민국에서는 구간별로 전기를 다르게 해놓고(크게 직류 1500V↔교류 25000-50000V 60HZ) 교직전력사구간을 설치해놓은 다음, 차량의 복전압 대응시스템 운영을 통하여, 이러한 이종전압구간을 운행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자세한 내용은 "절연구간" 데이터 참고)
  • 신호보안시스템이 다른 경우에는 차량의 두가지 이상 신호보안시스템 대응화. (대한민국에서는 수도권 전철 4호선수인·분당선이 이에 해당하는데, 수도권 전철 4호선은 당고개에서 금정까지는 ATC(자동열차 제어장치)를 사용하고 금정에서 신호보안시스템을 변경하여 금정에서 나머지 오이도까지는 ATS(자동열차 정지장치)를 사용하고, 수인·분당선은 인천(지하)역을 출발점으로 하여, 오이도, 안산, 고색까지는 ATS를 사용하고, 고색에서 죽전, 수서, 왕십리까지는 ATC를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ATC 문서와 ATS 문서, 수도권 전철 4호선 문서와 수인·분당선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요금 책정 방식의 정비. 대한민국수도권 전철에서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사용하므로 직결 운행에 대한 별도의 요금 조정이 필요 없다. 하지만 일본은 운영 회사에 따라 별도의 요금을 지불한다.[4]
Remove ads

직결 운행의 사례

요약
관점

대한민국

다른 운영 주체

서울교통공사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서울교통공사남양주도시공사
한국철도공사서해철도
서울교통공사인천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구리도시공사남양주도시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서울교통공사
경기철도주식회사신분당선주식회사새서울철도
에스알한국철도공사

동일한 운영 주체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일본

일본에서 직결 운행의 예는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례적인 사례와 유형 또한 다양하다. 일본의 직결 운행 중 이례적인 사례가 일본 고속철도 신칸센 상호 직결 운행인데,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을 출발하여, 산요 신칸센 종점인 하카타역까지 1975년 3월에 전구간 직결 운행을 개시하였고, 2011년 3월에 개통된 큐슈 신칸센가고시마 중앙역을 출발하여, 산요 신칸센 기점인 하카타역과 접속하면서 서로 직결 운행하는 것이 대표적인 선례이다. 전철 또한 상호 직결 운행을 많이 하는데, 예를 들어 도쿄 메트로와 타 운영 회사, 도에이 지하철과 타 운영 회사, 후쿠오카 시 지하철 공항선큐슈여객철도(이하 JR 큐슈) 지쿠히 선 등 두 양사간의 상호 직결 운행을 적으면 아래와 같다.

동일한 운영 주체

JR 계열사
동일본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 ↔ 도카이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 ↔ 서일본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도카이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 ↔ 서일본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큐슈여객철도(이하 JR큐슈) ↔ 서일본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동일본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 ↔ 홋카이도여객철도(이하 JR홋카이도)
동일본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 ↔ 서일본여객철도(이하 JR서일본)
도쿄 메트로

다른 운영 주체

도쿄 메트로
도에이 지하철
후쿠오카시 교통국큐슈여객철도(이하 JR큐슈)

국제 열차

영국, 프랑스, 벨기에를 잇는 유로스타 같은 국경을 넘어 운행하는 국제 열차도 직결 운행의 대표적 선례로 볼 수 있다.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