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한국의 철도 전철화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한국의 철도 전철화는 한국(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존재하는 철도의 전철화를 의미한다.
역사 (대한민국 기준)
고속철도 전용선
일반선
- 경부선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더불어 서울역 ~ 수원역까지 41.5km 전철화.(지상 서울역 급행 정차홈에도 설치)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역 ~ 병점역
- 2003년 12월: 가야선 복선전철화.
- 2004년 4월 1일: KTX 개통으로 인하여 경부선 대전조차장 ~ 옥천역, 신동 ~ 부산역 전철화.
- 2005년 1월 20일: 병점역 ~ 천안역
- 2005년 3월 30일: 천안역 ~ 조치원역
- 2005년 7월 1일: 조치원역 ~ 대전조차장역 분기점.
- 2006년 12월 8일: 옥천역 ~ 신동역구간 전철화로 경부선 전구간 전철화.
- 경원선
- 경의선
- 경전선
- 동해선
- 망우선
- 1973년 6월 20일: 망우 ~ 성북역(現 광운대역) 4.9km 전철화.
- 분당선
- 서해선
- 2024년 11월 2일: 서화성 ~ 홍성역
- 전라선
- 2011년 10월 5일: 익산역 ~ 여수역
- 중앙선
- 해방 직후 : 일본에서 자재와 차량을 구입하여 중앙선 단양역 ~ 풍기역 간의 전철화가 추진되었다.[2] 그러나 한국전쟁 도중이던 1951년에 전철화용 전선을 서울전차 복구에 활용하였고[3], 이후 전철화 사업은 한동안 중단되었다.
- 1973년 6월 20일: 청량리 ~ 제천역구간 154.9km 첫 교류전철화 개통 (25000V-60Hz)[4]
- 1987년 12월 : 제천역 ~ 단성역
- 1988년 12월 23일: 단성역 ~ 영주역
- 2021년 1월 5일: 영주역 ~ 안동역
- 2021년 12월 28일: 영천역 ~ 경주역
- 2024년 12월 20일: 안동역 ~ 영천역
- 태백선
Remove ads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기준)
목록
대한민국
한국철도공사
- 전구간 전철화(직류 1500V)
- 전구간 전철화(교류 25000V 60Hz)
한국철도공사 이외의 철도
- 직류 750V
통계
2022년 철도통계연보에 나온 연도별 전철화율이다.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