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십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십결
Remove ads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에는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목록이 있다.

  1. 팔리어 대장경의 《앙굿타라 니까야》에 따른 10가지 번뇌로, 5하분결(五下分結)과 5상분결(五上分結)을 합한 목록
  2. 남방 상좌부 불교의 논서인 《법집론(法集論)》에 따른 10가지 번뇌

이들 중 첫 번째 목록은 성문4과(聲聞四果)와 밀접히 결부되어 있다.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아래와 같이 특정한 번뇌들이 단멸되거나 조복되면 해당되는 (果)가 증득된다.[1][2][3][4][5][6][7][8]

제1과인 예류과의 성취에 관련된 초과3결5하분결의 일부이고 그리고 제2과인 일래과의 성취에 관련된 3종결5하분결5상분결에 걸쳐 있기 때문에, 5하분결5상분결의 합인 10결로써 성문4과성취를 모두 설명할 수 있다.

Remove ads

10결 (5하분결 + 5상분결)

요약
관점
성문4과10결조복단멸

(팔리어 대장경에 따른[14])

성문4과[15]

10결조복단멸

윤회

예류과
(수다원)

1. 유신견결
2. 의결
3. 계금취견결

단멸

5하분결

인간계천상계
최대 7회까지

일래과
(사다함)

4. 욕탐결
5. 진에결
(10. 무명결)

조복

인간계
1회 더

불환과
(아나함)

단멸

청정한 곳에
1회 더

아라한과
(아라한)

6. 색탐결
7. 무색탐결
8. 만결
9. 도거결
10. 무명결

단멸

5상분결

더 윤회하지
않음

출처: Ñāamoli & Bodhi (2001), 《Middle-Length Discourses》, pp. 41–43.

초기불교 경전인 팔리어 대장경의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따르면,[16][17]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은 5하분결(五下分結)과 5상분결(五上分結)을 합하여 통칭하는 말이며, 《앙굿타라 니까야》 제10권 제13경에 기술된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 목록과 같다.

  1. 5하분결(五下分結)
    팔리어: orambhāgiyāni saṃyojanāni
    영어: lower fetters[18]
    1. 유신견결(有身見結)
      팔리어: sakkāya-diṭṭhi
      영어: belief in a self, identity view[19]
    2. 의결(疑結)
      팔리어: vicikicchā
      영어: doubt or uncertainty, especially about the teachings[20]
    3. 계금취견결(戒禁取見結)
      팔리어: sīlabbata-parāmāso
      영어: attachment to rites and rituals[21]
    4. 욕탐결(欲貪結)
      팔리어: kāmacchando
      영어: sensual desire, lust for objects in the desire realm[22]
    5. 진에결(瞋恚結)
      팔리어: vyāpādo, byāpādo
      영어: ill will[23]
  2. 5상분결(五上分結)
    팔리어: uddhambhāgiyāni saṃyojanāni
    영어: higher fetters[18]
    1. 색탐결(色貪結)
      팔리어: rūparāgo
      영어: lust for existence in the rūpa realm[24]
    2. 무색탐결(無色貪結)
      팔리어: arūparāgo
      영어: lust for existence in the arūpa realm[25]
    3. 만결(慢結)
      팔리어: māna
      영어: conceit[26][27]
    4. 도거결(掉舉結)
      팔리어: uddhacca
      영어: restlessness[28]
    5. 무명결(無明結)
      팔리어: avijjā
      영어: ignorance[29]

5하분결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56권과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1][2][3][4][5][6][7][8]

5결(五結)은 유신견결(有身見結) · 계금취견결(戒禁取見結) · 의결(疑結) · 욕탐결(欲貪結) · 진에결(瞋恚結)의 5하분결(五下分結)을 말한다. 5하분결5하결(五下結) 또는 5순하분결(五順下分結)이라고도 한다.[30][31]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의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과 대승불교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57권에 인용된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비롯한 불교 일반의 교학에 따르면, 5하분결을 모두 끊으면 성문4과의 제3과인 불환과(不還果) 즉 아나함(阿那含)을 증득하게 된다. 이 지위욕계의 모든 번뇌극복하여 욕계속박으로부터 해탈한 상태이다.[9][10][11][12][8]

5상분결

초기불교 경전인 《장아함경》 제8권 〈중집경〉과 부파불교설일체유부의 논서인 《아비달마발지론》 제3권, 《아비달마대비바사론》 제49권, 《아비달마구사론》 제21권 등에 따르면,[32][33][34][35][36]

5결(五結)은 색탐결(色貪結) · 무색탐결(無色貪結) · 도거결(掉舉結) · 만결(慢結) · 무명결(無明結)의 5상분결(五上分結)을 말한다. 5상분결5상결(五上結) 또는 5순상분결(五順上分結)이라고도 한다.[37][38]
초기불교 경전인 《증일아함경》 제20권의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과 대승불교중관학파의 논서 《대지도론》 제57권에 인용된 고타마 붓다의 가르침을 비롯한 불교 일반의 교학에 따르면, 5상분결을 모두 끊으면 성문4과의 제4과인 아라한과(阿羅漢果)를 증득하게 된다. 이 지위3계의 모든 번뇌극복하여 3계속박으로부터 해탈한 상태이다. 즉, 열반증득한 상태이다.[9][10][11][12][13]
Remove ads

10결 (법집론)

남방 상좌부 불교의 논서인 《법집론(法集論)》(Dhamma Sangani 1113-34)에 따르면, 10결(十結, 영어: ten fetters)은 다음의 10가지 번뇌를 말한다.[39][40]

  1. 탐욕(貪欲, 팔리어: kāma-rāga, 영어: desire, sensual lust)
  2. 진에(瞋恚, 팔리어: paṭigha, 영어: anger)
  3. (慢, 팔리어: māna, 영어: pride, conceit)
  4. (見, 팔리어: diṭṭhi, 영어: false views, views)
  5. (疑, 팔리어: vicikicchā, 영어: doubt)
  6. 계금취(戒禁取, 팔리어: sīlabbata-parāmāsa, 영어: attachment to discipline, attachment to rites and rituals)
  7. 유탐(有貪, 팔리어: bhava-rāga, 영어: attachment to existence, lust for existence)
  8. (嫉, 팔리어: issā, 영어: jealousy)
  9. (慳, 팔리어: macchariya, 영어: parsimony, greed)
  10. 무명(無明, 팔리어: avijjā, 영어: nescience, ignorance)
Remove ads

같이 보기

Remove ads

참고 문헌

  • 곽철환 (2003). 시공 불교사전. 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미륵 지음, 현장 한역, 강명희 번역 (K.614, T.1579). 유가사지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570(15-465), T.1579(30-279).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 (K.955, T.1558). 아비달마구사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955(27-453), T.1558(29-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 (K.614, T.1585). 성유식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4(17-510), T.1585(31-1).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세친 지음, 현장 한역, 송성수 번역 (K.618, T.1612). 대승오온론. 한글대장경 검색시스템 - 전자불전연구소 / 동국역경원. K.618(17-637), T.1612(31-848).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운허. 동국역경원 편집, 편집. 불교 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영어) DDB. Digital Dictionary of Buddhism (電子佛教辭典). Edited by A. Charles Muller.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미륵 조, 현장 한역 (T.1579).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대정신수대장경. T30, No. 1579.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佛門網. 佛學辭典(불학사전).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星雲. 佛光大辭典(불광대사전) 3판.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612). 대승오온론(大乘五蘊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612,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세친 조, 현장 한역 (T.1558).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 대정신수대장경. T29, No. 1558,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 (중국어) 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T.1585). 성유식론(成唯識論). 대정신수대장경. T31, No. 1585, CBETA.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