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S 드라마 스페셜
2010년 이후 KBS의 단막극 시리즈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BS 드라마 스페셜》은 KBS 2TV에서 방송되는 단막극 프로그램이다. 매년 10월부터 12월 사이(4분기)에 방송된다.
Remove ads
개요
2008년 3월 29일 〈돈꽃〉 편을 마지막으로 종영된 《KBS 드라마시티》 이후 명맥이 끊긴 단막극이 2년 1개월 만에 부활하였으며, 2013년까지 해마다 1부작으로 된 단막극과 2~4부작짜리 연작 시리즈를 번갈아 편성하였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작품 수가 24회 안팎으로 제작되었으나, 2016년부터는 하반기(주로 가을)에만 매년 10회씩 작품의 시리즈 구성에 편성하고 있다.
방송 일시
Remove ads
작품 리스트
요약
관점
|
2010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1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2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3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4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5년
1화 〈가만히 있으라〉(3월 13일)와 2화 〈바람은 소망하는 곳으로 분다〉(4월 3일)는 2부작으로 확대 편성되었으나 3화 〈머리심는 날〉부터는 다시 1부작으로 편성되었다.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6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7년
- 시즌 주제 : 멜로의 법칙 (The law of the melo)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8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19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0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1년
당초 10편이 방영될 예정이었지만, 2화 《F20》는 시청자 및 시민 단체들의 반발로 미방영되어 총 9편만 방영되었다.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2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3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4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2025년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Remove ads
수상 경력
- 201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손현주 (〈텍사스 안타〉)
- 201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선균 (〈조금 야한 우리 연애〉)
- 201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정유미 (〈위대한 계춘빈〉)
- 2011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희준 (〈완벽한 스파이〉, 〈큐피드 팩토리〉)
- 2011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최수종 (〈아들을 위하여〉)
- 2011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한은정 (〈사백년의 꿈〉)
- 2011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유진 (〈화평공주 체중감량사〉)
- 2012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성준 (〈습지생태 보고서〉)
- 2012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연우진 (〈보통의 연애〉)
- 2012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유다인 (〈보통의 연애〉)
- 2012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박신혜 (〈걱정마세요 귀신입니다〉)
- 2013년 서울 드라마 어워즈 남자 연기자상 - 이문식 (〈상권이〉)
- 2013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유오성 (〈마귀 - 파발, 지옥을 달리다〉, 〈엄마의 섬〉)
- 2013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한예리 (〈연우의 여름〉)
- 2014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조달환 (〈추한 사랑〉)
- 2014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김소현 (〈다르게 운다〉)
- 2014년 KBS 연기대상 청소년 연기상 - 안서현 (〈보미의 방〉)
- 2015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하나 (〈짝퉁 패밀리〉)
- 2015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봉태규 (〈노량진역에는 기차가 서지 않는다〉)
- 2015년 KBS 연기대상 청소년 연기상 - 최권수 (〈그 형제의 여름〉)
- 2016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동휘 (〈빨간 선생님〉)
- 2017년 서울 드라마 어워즈 단편 우수 작품상 - (〈빨간 선생님〉)
- 2017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여회현 (〈혼자 추는 왈츠〉)
- 2017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라미란 (〈정마담의 마지막 일주일〉)
- 2018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윤박 (〈참치와 돌고래〉)
- 2018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일화 (〈엄마의 세 번째 결혼〉)
- 2019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정동환 (〈그렇게 살다〉)
- 2019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주영 (〈집우집주〉)
- 2019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도현 (〈스카우팅 리포트〉)
- 202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한위 (〈그곳에 두고 온 라일락〉)
- 202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손숙 (〈나들이〉)
- 2020년 KBS 연기대상 연작·단막극상 - 이유영 (〈연애의 흔적〉)
- 2021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TV 시네마상 - 박성훈 (〈희수〉)
- 2021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TV 시네마상 - 전소민 (〈희수〉)
- 2021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폐설 TV 시네마상 - 김새론 (〈그녀들〉)
- 2022년 KBS 연기대상 스페셜 TV 시네마상 - 차학연 ( <얼룩> )
- 2022년 KBS 연기대상 스페셜 TV 시네마상 - 신은수 (<열아홉 해달들>)
- 2023년 KBS 연기대상 남자 청소년 연기상 - 문우진 (<폭염주의보>)
- 2023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TV시네마상 - 이재원 (<극야>)
- 2023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TV시네마상 - 채원빈 (<고백공격>)
- 2023년 KBS 연기대상 드라마스페셜 TV시네마상 - 홍승희 (<그림자 고백>)
- 2023년 KBS 연기대상 여자 조연상 - 강경헌 (<그림자 고백>)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