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S 2TV

한국방송공사에서 운영하는 제2TV 방송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KBS 2TV
Remove ads

KBS 2TV(KBS 제2텔레비전, 한국방송 2, U-KBS HEART)는 대한민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상파 방송사인 KBS가 운영하는 공중파 텔레비전 방송 채널이다.

간략 정보 종류, 국가 ...
Remove ads

특징

  • 드라마 및 예능[1][2] 프로그램 등을 중점적으로 편성하는 지상파 채널이다. 젊고 가족적인 분위기의 채널을 지향하는 편으로 보다 유익하고, 기분좋고 흥미진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송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정 채널번호는 7번이다.
  • KBS 1TV의 지역총국을 비롯한, MBC TV의 지역 단위 네트워크 계열사, SBS TV와 제휴한 9개 지역 민방 네트워크와는 달리, 지역국 자체 제작 프로그램 편성이 전혀 없으며, EBS 12TV와 함께 전국적으로 일제히 송출되는 방송이다. (한때 누가누가 잘하나는 월 1회 지역방송을 한 적이 있다.)
  • 2TV는 선거방송, 주말 및 명절 연휴 뉴스 및 날씨는 제공되지 않는다.
  • 1980년부터 1993년까지 신년전야 특별 생방송을 하지 않았다가, 한동안 1994년가는해 오는해의 방송됐고, 1995년부터 《KBS 연기대상》에서 새해 카운트다운을 보냈다.
  • 1981년 3월 7일부터 KBS 1TV의 채널과 같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개시 및 재개했고, 2TV의 채널 광고에 평일 4블록에 20분과 주말과 공휴일은 5블록에 25분을 정했다.[3]
  • 1981년에 광고가 잘 안팔리지 않아서 1982년 1월 5일KBS TV의 광고시간을 변경하기 위해 1982년 1월 25일부터 1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50분에서 90분으로 줄였고,2TV의 채널은 광고시간을 185분에서 474분으로 늘려서 바뀌었다.[4]
  • 1TV의 채널은 2TV의 채널과 다르게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따로 줄여서 편성했다. 1TV의 채널은 1985년 5월 1일부터 시청료거부운동을 했으나 밤 시간대의 2시간 30분(20:00~22:30)의 광고 1블록당 10편에 8개를 줄여 편성했다. 1TV의 채널도 1986년 7월 1일에 오전 및 저녁 시간대의 5분의 광고를 뉴스프로그램에 보내서 방영하기도 했다. 1987년 ~ 1990년에도 광고를 5분으로 줄여서 하기도 했다.[5]
  • 1988년 9월 17일에 1TV의 채널은 광 고 24개를 때려갔고, 2TV의 채널은 광고 37개를 때려갔다.[6]
  • 1990년 3월 2일부터 KBS 1TV의 채널은 오전 시간대에 평일 블록광고를 폐지하고 주말과 공휴일 및 스포츠 및 실황중계프로그램과 영화프로그램에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편성했는데 KBS 2TV의 채널만 평일 및 주말까지 광고수입을 보충 및 오전과 오후까지 편성했다.[7]
  • KBS 1TV의 채널은 1994년 9월 30일에 마지막으로 송출했고,KBS 2TV의 채널도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실시했다. 1994년 10월 1일부터 KBS 1TV의 채널은 수신료징수제도개선으로 인해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에 따른 KBS 2TV의 채널은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시간 및 편성하게 되었다.[8]
  • 1981년 12월 30일KBS 가요대축제1987년 12월 30일KBS 연예대상KBS 연기대상1987년 12월 31일에 첫방송을 KBS 1TV의 채널에서 방송을 했고, 1989년 12월 31일에는 2TV의 채널에서 방영을 했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는 3년동안 KBS 가요대축제KBS 연예대상KBS 연기대상KBS 1TV의 채널에서 방영을 했지만 1994년 10월 1일KBS 1TV의 채널에서 수신료 징수제도 개선을 계기로 광고방송(상업광고방송)을 폐지로 인해 KBS 가요대축제KBS 연예대상1994년 12월 24일1994년 12월 30일로 각각 정했고, KBS 연기대상1994년 12월 31일부터는 KBS 1TV의 채널에서 KBS 2TV의 채널로 옮겨 방송을 하게 되었다.[9]
  • 뉴스 프로그램(2TV) 앵커자(2명) 기자.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기자.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할 수 있다.
  • KBS의 프로그램(2TV) 진행자 각 1~2명의 아나운서의 남성과 여성의 앵커가 휴가,출장,파업으로 인하여 다른 아나운서가 대신 진행할 수 있다.
  • 뉴스 프로그램(2TV)의 장소는 KBS 2TV 제2 스튜디오로 진행한다.
  • 뉴스 프로그램(2TV)의 장소의 수화방송은 KBS 2TV 제2 스튜디오(1990년대 ~ 2004년까지)가 아닌 별도 장소(2005년 ~ 이후 현재)
  • 뉴스 프로그램(2TV)의 수화방송은 '한국 수어 통역 방송' 및 (2TV)의 수화 방송되는 해당 프로그램 참조는 '수화 통역 방송'으로 표기된다.
  • 편성표 (2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최근 1개월 조회만 가능하다.
  • 편성표 (2TV)는 2020년 9월 12일 자정 12시 이후 매주 1주일 마다 편성표를 게시하여 게재하고 있다.
  • 해당 TV 프로그램 (2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종영되면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자참여 게시판은 이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 해당 TV 프로그램 (1TV)는 2018년 8월 5일 홈페이지 개편 이후 해당 프로그램이 과거 2016년 이전의 다시보기는 불가능하게 되어 다시보기는 과거에 없어졌다(검색해본 결과 "찾으시는 다시보기 영상이 없습니다." 나옴)
Remove ads

개별 디자인

기본

  • 방송 시작 시 제공되는 자막 표시는 광고주만을 나열하는 것이 특징이다. 1993년 4월까지는 세로 쓰기 방식이었으나, 1993년 5월부터 가로 쓰기 방식이 정식으로 도입되었다.
  • 시청등급 화면은 2001년부터 도입되었다.
  • 2020년 ~ 현재 한글날을 맞아, 매년 한국방송 2TV로 표기하였다.

시각 표시

  • 아침 시간대에 사용되는 시각 표시는 1981년에 처음 도입되었으며,[10] 1991년 7월부터는 날짜 및 요일 정보가 추가되었고, 1992년 4월까지 약 9개월간은 "月, 火, 水, 木, 金, 土, 日" 등 한자 표기가 사용되었다.[11] 1992년 4월부터는 요일 표기가 전면적으로 한글로 변경되어 "월, 화, 수, 목, 금, 토, 일"의 표기가 도입되었으며, 이는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12]
  • 본방송 시작 전까지 10초간 광고가 나오는 대로, 현재 시각을 알려준다.
Remove ads

연혁

태동기

구축기

변혁기

밀레니엄기

디지털 시대

UHD 시대

Remove ads

로고

2018년 9월 3일 ~ 현재

로고송

현재
  • 2021년 8월 16일 ~ : 5가지 로고송으로 변경된다. 2007년 이후 약 14년 만에 로고송 제작과 예능, 교양, 드라마, 보도, 시사, 음악 ID로 사용된다.
  • 2024년 10월 ~ : 항상 함께 국민의 방송 내 곁에 밝은 내일 밝은 세상을 원해 언제나 정다운 마음과 진심을 전해 KBS 한국방송
종료
ID
Remove ads

DMB

2005년 12월 1일부터 DMB 방송국 U-KBS가 개국하였다.

방송 문구 변천사

현재
  • 방송편성기준
  • KBS는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심의규정을 준수합니다. (1981년 ~ 현재.)
  • 다시보기기준
  • 이 프로그램은 wavve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2021년 ~현재.)
  • 이 프로그램은 KBS+ (구) My k KBS1.2TV KBSN 5개 채널 시청 (스포츠 저작권 있다) 시청 없다 앱설치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23년 ~현재.)
  • 이 프로그램은 KBS 키즈로 다시보실 수 있습니다. (2016년 ~ 현재.)
  • 이 프로그램은 간접가상 및 중간광고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1년 7월 1일 ~ 현재.)
종료
  • 이 프로그램은 《아동청소년 방송가이드라인, 아동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등 아동청소년 방송인들을 존중하며 제작하였습니다.
  • 이 프로그램은 가상광고 및 간접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드라마, 예능 전용) 6월 30일 종료.
  • 이 프로그램은 가상광고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999년 ~ 2007년 6월 24일).
Remove ads

프로그램

드라마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음악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예능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교양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다큐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어린이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애니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스포츠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뉴스

자세한 정보 방송 시간, 제목 ...
Remove ads

방송 사고

  • 2006년 10월 14일 - 밤 11시 7분 경 《위기탈출 넘버원》 방송이 나가던 도중, 갑자기 화면이 녹색으로 바뀌며 방송 송출이 일시적으로 중단되었다. 잠시 후 자막 고지를 통해 '방송사 사정으로 방송이 잠시 중지되고 있습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라고 고지했다. 프로그램 제작국인 서울 여의도 KBS 본사를 비롯한, 전국 각 지역에 있는 KBS 지역총국에선, 자연경관과 함께 '서울 KBS 본사 측의 사정으로 방송이 잠시 중지되고 있습니다. 시청자 여러분의 양해 바랍니다.'라고 자막 고지를 송출했다. 《연주소 정파시 송신소 송출용》이라는 제목의 자료화면과 함께 같은 자막이 고정 방송되었다.
    • 밤 11시 17분 경에 화면은 복구돼 예정된 광고는 전파를 탔으나, 여전히 오디오는 작동하지 않는 상태가 한동안 지속되었다. 이 화면이 10여 분간 계속되다가 밤 11시 26분 경에 방송 예정이던 《드라마시티》 - 〈그녀가 웃잖아〉는 방송을 시작했으나 화면과 음향이 맞지 않는 등 여전히 음향 상태는 고르지 못한 채, 화면 비율이 불균형하게 일그러져 있었다. 이 상태 역시 몇 분간 지속되다가 밤 11시 29분경에 방송이 정상화되었다.[50]
    • 그리고 10월 21일 《위기탈출 넘버원》 방송분에서 10월 14일에 방송되지 못한 부분이 방송되었다. 사고의 발단은 영상과 음향을 별개로 분리하는 디먹스(Demux)의 고장이었으며, 10년 이상 사용된 노후된 시스템이었다. KBS 기술팀 측에선, "해당 장비는 지난 96년에 개국한 KBS의 위성 TV 채널 송출용으로 쓰던 것으로 10년 정도 됐으며, 이 장비를 재활용 차원에서 KBS 2의 송출용으로 쓰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 KBS 편성본부 측에선, "KBS 2 주조정실은 100% 디지털 시스템으로 구축되어 있는데, 아날로그 방송을 위해선, 영상과 음향을 별개로 분리해 남산 송신소로 보내야 하는데, 디지털 시스템이 워낙 복잡하고, 주조에서 송신소까지 복잡한 신호를 내보내는 과정에서, 디먹스 시스템 이상 여부를 파악한 후에, 예비 장비로 교체해 방송을 정상화시켰다"고 해명하면서, 이 같은 방송 사고는 KBS 1TV를 비롯한, MBC TV, 전국 각 지역 9개 민방 네트워크로 송출되는 SBS TV와는 전혀 관계가 없으므로, 프로그램 제작국인 서울 여의도 KBS 본사와 연락이 두절되어, 영문을 모르는 KBS 지역총국에선, 속수무책일 수밖에 없었다.
  • 2012년 1월 16일 - 오후 3시 경 KBS 2의 재송신이 중지되었다. 방송사인 KBS와 재송신을 맡고 있는 지역 케이블 방송사들의 재송신료 협상에 대한 불협화음 문제로, 결국 지역 케이블 방송사에서 강제로 KBS 2의 모든 방송 재송신이 중단되었다가, 1월 17일 저녁 7시에 KBS 2의 재송신이 재개되었다.
  • 2019년 11월 24일 - 《개그콘서트》 방송 중 연령고지 BGM이 같이 송출되는 방송사고가 있었다.

방송 시간

자세한 정보 요일 및 시간 분, 비고 ...
Remove ads

시청률 추이

자세한 정보 1992년 ~ 2011년 가구 시청률 (단위 : %), 1992년 ...
자세한 정보 2000년, 2001년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