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 |
회 |
방영일 |
주제 |
패널 |
실연 |
닫는 곡 |
2 |
첫 번째 |
1월 8일 |
클림트의 '키스'는 흡혈귀 그림이다? 멘델스존 뒤에 유령 작곡가가 있었다? |
김대오, 이엘, 송경아 이건수 |
노래의 날개 위에/멘델스존 작곡 성미경/더블베이스 |
그리움 sehnsucht (파니 멘델스존 곡) |
3 |
두 번째 |
1월 15일 |
마네 ‘올랭피아’, 그림 속 매춘부는 사실 여류화가였다? 브람스의 '현악 6중주곡 제2번'에는 암호가 숨겨져 있다? |
이엘, 송경아, 유정우 이크종(카투니스트) |
헝가리 무곡 5번_브람스 곡 바이올린/양고은, 기타/안형수 |
현악 6중주 2번 Op. 36 String Sextet No. 2 in G major, Op. 36 |
4 |
세 번째 |
1월 22일 |
혜원 신윤복의 '미인도'는 독으로 그려졌다?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은 최면요법으로 탄생했다? |
김대오, 송경아 신동근(정신과 전문의), 이명옥 (사바나 미술관장) |
보칼리제 Op.34-14/라흐마니노프 첼로/양성원, 피아노/김영호 |
첼로 소나타 g단조 Op.19 Piano Concerto No. 2 in C minor, Op. 18 |
5 |
네 번째 |
1월 29일 |
산드로 보티첼리 '비너스의 탄생'에서 비너스는 폐결핵 환자였다? '환상교향곡' 작곡가 베를리오즈는 피아노를 칠 줄 몰랐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오한진 (가정의학과 전문의) |
여름밤 中 '장미의 혼'_베를리오즈 크로스오버 가수/조용훈, 피아노/박수경 |
여름밤 Op.7, 2. 장미의 혼 Les nuits d'été, Op. 7, 2. Le spectre de la rose |
6 |
다섯 번째 |
2월 12일 |
에드가 드가 '스타(l'Etoile)' 속 검은 양복의 신사는 스폰서였다? 슈베르트 '마왕'은 슈베르트가 작곡한 곡이 아니다? |
송경아 유정우 김주원 (발레리나), 이택광(문화평론가) |
마왕[Erlkönig] Op.1 D.328_슈베르트 바리톤/최현수, 피아노/이지현 |
마왕 Op.1 D.328 Der Erlkönig, Op. 1 D. 328 |
7 |
여섯 번째 |
2월 19일 |
뭉크의 ‘절규’는 여성에 대한 절규다? 베르디 오페라 ‘나부코’의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은 이탈리아 독립 운동가였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박영택(미술평론가) |
오라, 레위인이여!Vieni, o Levita_베르디 베이스/김형태, 피아노/기예린 |
오라, 레위인이여! Vieni, o Levita' |
8 |
일곱 번째 |
2월 26일 |
'알비노니 아다지오’는 알비노니가 작곡하지 않았다? 안견 '몽유도원도'에는 살생부가 들어 있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이광표(문화재 전문기자) |
현과 오르간을 위한 아다지오 G단조 코넷/안희찬 |
현과 오르간을 위한 아다지오 G단조 Adagio for Organ and Strings in G minor |
9 |
여덟 번째 |
3월 5일 |
고갱의 ‘마리아를 경배하며’는 신성모독의 그림이다? 쇼팽의 연습곡, ‘이별의 곡’은 “애국”을 노래한 곡이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심상용(동덕여대 교수/미술 평론가) |
쇼팽연습곡 Op.10의 제3번. E장조 피아노/이윤수 |
쇼팽연습곡 Op.10의 제3번 E장조 Chopin Etudes Op 10 No 3 in E 'Tristesse' |
10 |
아홉 번째 |
3월 12일 |
얀 판 에이크의 <아르놀피니 부부의 초상>은 결혼증명서다? 생상스가 <동물의 사육제>중 ‘백조’만 발표한 이유는 '악플러' 때문이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이건수(월간미술 편집장) |
백조_생상스 첼로/심준호, 피아노/이윤수 |
백조〈동물의 사육제〉제13곡 Le carnaval des animaux XIII Le cygne |
11 |
열 번째 |
3월 19일 |
‘엘리제를 위하여’는 엘리제를 위한 곡이 아니다? 렘브란트의 ‘야경’은 야간순찰이 아니다? |
송경아, 유정우 우정훈(크로스오버 가수), 박영택(경기대 교수/미술 평론가) |
피아노 솔로를 위한 바가텔a단조'엘리제를 위하여_베토벤 피아노/진보라 |
바가텔 25번 A단조〈엘리제를 위하여〉 Bagatelle No. 25 in A minor〈Für Elise〉 |
12 |
열한 번째 |
3월 25일 |
에릭 사티 '짐노페디'는 최초의 BGM 이다? 르 꼬르뷔제 '롱샹성당'에는 게 껍데기가 숨어있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김광현(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짐노페디 1번_에릭 사티 피아노/박종훈 |
짐노페디 1번 느리고 비통하게 gymnopedies la 1 ere. lent et douloureux |
13 |
열두 번째 |
4월 2일 |
피터르 브뤼헐 ‘네덜란드 속담’에는 우리나라 속담도 있다? 조아키노 로시니 ‘세비야의 이발사, 서곡’은 재활용 곡이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노성두(서양미술사학자) |
오페라<세비야의 이발사>중 '나는 거리의 만물박사'_로시니 바리톤/서정학, 피아노/안성진 |
세비야의 이발사, 서곡 Il barbiere di Siviglia, Ouverture |
14 |
열세 번째 |
4월 9일 |
모차르트 <마술피리>에는 비밀결사단체 '프리메이슨'의 상징이 숨겨져 있다? 모차르트는 <마술피리> 때문에 죽었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진형준(프리메이슨 비밀의 저자) |
오페라<마술피리>중 '지옥의 복수심에 불타고'_모짜르트 소프라노/김수연, 피아노/김문선 |
지옥의 복수심에 불타고 Der Hölle Rache kocht in meinem Herzen |
15 |
열네 번째 |
4월 16일 |
고야의 ‘옷을 입은 마하’는 고야의 애인을 그린 그림이 아니다? 브람스의 ‘헝가리 무곡’은 브람스의 곡이 아니다? |
송경아, 유정우 이헌석(음악 평론가),정연심(홍익대학교 교수) |
헝가리무곡 5번_브람스 피아노/윤유진, 오윤주 |
헝가리무곡 5번 ungarischer Tanz Nr. 5 |
16 |
열다섯 번째 |
4월 23일 |
빈센트 반 고흐의 그림 '까마귀가 나는 밀밭'은 그의 유서다? 구노의 '아베마리아'는 바흐의 '프렐류드 1번'을 표절했다? |
송경아, 이엘 이헌석(음악 평론가), 하계훈(미술평론가, 단국대교수) |
구노_아베마리아 첼로/이숙정, 피아노/황보영 |
아베 마리아 Ave Maria |
17 |
열여섯 번째 |
4월 30일 |
로베르 두아노의 ‘시청 앞에서의 키스’는 연출된 사진이다? 헨델의 ‘수상 음악’은 왕에게 아부하기 위한 곡이다? |
송경아, 유정우, 이엘 조선희(사진 작가) |
헨델_<수상음악>중 '알라 혼파이프' 조이오브스트링스 |
알라 혼파이프, F 장조 모음곡, HWV 348번 Alla Hornpipe Suite in F major, HWV 348 |
18 |
열일곱 번째 |
5월 7일 |
프랭크 봄 '오즈의 마법사'는 '쩐의 전쟁'을 상징한다? '용주사 대웅전 후불탱화'는 김홍도가 그렸다? |
송경아, 이엘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전문기자), 곽수종(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이분희 (불교중앙박물관 학예실팀장) |
Over the rainbow_오즈의마법사ost 중 작곡/Harold Arlen, 작사/ E.Y. Harburg. 노래/김소현 |
우리는 마법사를 만나러가는 길이죠 (삼중주) We're off to See the Wizard (Trio) |
19 |
열여덟 번째 |
[[[5월 14일]] |
피카소의 <게르니카>에는 두 여인의 사랑싸움도 있다? 푸치니의 <라보엠>은 친구의 아이디어에서 작곡되었다? |
유정우, 이엘 정연심(홍익대교수), 권근영(중앙일보 기자) |
푸치니_오페라<라보엠>중'그대의 찬 손' 노래/이엘, 피아노/오세윤 |
그대의 찬 손 Che gelida manina |
20 |
열아홉 번째 |
5월 21일 |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진주 귀고리를 한 소녀'는 가공의 인물이었다? 바흐 '골드베르크 변주곡'은 불면증치료제였다? |
송경아, 유정우 노영두(서양미술사학자), 이헌석(음악평론가) |
바흐_골든베르크 변주곡 BWV988 中 아리아 피아노/이윤수 |
골든베르크 변주곡 BWV988, 1. 아리아 Goldberg Variations, BWV 988, 1. Aria |
21 |
스무 번째 |
5월 28일 |
모리스 라벨의 ‘볼레로’는 볼레로가 아니다? 김명국의 ‘설중귀려도(雪中歸驢圖)’는 취중에 그린 그림이다? |
송경아, 유정우 김상철(미술평론가),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 전문기자) |
볼레로_모리스 라벨 바이올린/신현수, 피아노/안성민 |
볼레로 Boléro |
22 |
스물한 번째 |
5월 31일 |
자크 루이 다비드 '알프스를 넘는 나폴레옹'은 조작된 그림이다? 요한 슈트라우스2세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는 없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신상철(경희대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_요한슈트라우스2세 바이올린/양고운·임지윤, 비올라/문명환 첼로/김민지 더블베이스/심혜원 |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 Op. 314 An der schönen blauen Donau, Op. 314 |
23 |
스물두 번째 |
6월 7일 |
카라바조의 골리앗의 머리를 든 다윗은 화가의 자화상이다? 베르디의 ‘리골레토’는 검열에서 살아남았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윤익영(미술평론가. 창원대 미술학과 교수) |
베르디_오페라<리골레토>中 '여자의 마음' 테너/신동호, 피아노/김도연 |
They 명작 스캔들 테마곡 |
24 |
스물세 번째 |
6월 14일 |
슈만의 <교향곡 제 4번>은 결혼 찬가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이헌석(음악평론가) |
슈만_어린이정경 Op.15 중 제7곡 트로이메라이 피아노/임동민 |
교향곡 제4번 D단조 Op.120, 제2악장 사랑스럽게. 매우 느리게 Symphony No.4 in D minor, Op.120, II. Romanze. Ziemlich langsam |
25 |
스물네 번째 |
6월 28일 |
유재하의 <사랑하기 때문에>는 방송불가 곡이었다? |
송경아, 이엘 강헌(음악평론가), 이택광(경희대교수, 대중문화평론가) |
사랑하기 때문에_유재하 바이올린/양고운, 첼로/허철, 클라리넷/계희정, 플루트/이주희, 호른/이석준 |
사랑하기 때문에 |
26 |
스물다섯 번째 |
7월 5일 |
윤두서 '자화상'에는 귀가 없다? '이별의 노래'는 박목월 시집에 없다? |
김상철(미술평론가),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전문기자), 김갑수(시인, 미술평론가), 리사(가수, 뮤지컬배우) |
이별의 노래_박목월 시, 김성태 곡 소프라노,이지은/피아노,제갈소망 |
이별의 노래 |
27 |
스물여섯 번째 |
7월 12일 |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를 그리기 위해 르누아르는 경품을 사용했다? |
유정우 심상용(동덕여대 교수), 이여영(프리랜서 기자), 김홍기(패션 큐레이터) |
요한 슈트라우스 2세_피치카토폴카 피아노/이지영 |
샴페인 폴카 op.211 Champagner-Polka (Champagne Polka) Op.211 |
28 |
스물일곱 번째 |
7월 19일 |
로드리고 '아랑후에스 협주곡'은 아내를 위한 기도곡이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이헌석(음악평론가) |
호아킨 로드리고_<아랑후에스 협주곡>2악장 '아다지오' 中에서 이준호 편곡 / 기타:이준호 / 까혼:라울 |
아랑후에스 협주곡 2악장 아다지오 Concierto de Aranjuez II. Adagio |
29 |
스물여덟 번째 |
7월 26일 |
루벤스의 ‘시몬과 페로’는 유럽판 심청전이다? 사라사테의 ‘치고이너바이젠’은 자기 자랑을 위한 곡이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박영택(경기대교수, 미술평론가) |
사라사테_치고이너바이젠 바이올린/김윤희 피아노/김재희 |
치고이너바이젠 (집시의 노래), Op. 20 Zigeunerweisen (Gypsy Airs), Op. 20 |
30 |
스물아홉 번째 |
8월 2일 |
산울림 ‘아니 벌써’는 아니 벌써가 아니다? |
송경아 강헌(음악평론가), 오지혜(배우), 김갑수(시인, 미술평론가) |
아니 벌써_김창완 작곡·작사 연주/크라잉넛 |
아니 벌써 |
31 |
서른 번째 |
8월 9일 |
신윤복의 '월하정인'의 달은 부분 월식이다? |
송경아, 유정우 김상철(미술평론가),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전문기자) |
드뷔시_달빛 피아노/조재혁 |
달빛 Clair de Lune |
32 |
서른한 번째 |
8월 23일 |
벨라스케스의 <시녀들>에는 거울의 비밀이 있다? |
송경아, 이엘 이헌석(음악 평론가), 박영택(경기대 교수/미술 평론가) |
모리스 라벨_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피아노/박종훈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Pavane pour une infante défunte for piano op.19 |
33 |
서른두 번째 |
8월 30일 |
부셰의 ‘퐁파두르 후작부인’ 초상은 홍보용 화보다? 박태준의 ‘동무생각’의 동무는 동무가 아니다? |
송경아 김갑수(시인, 미술평론가), 임승휘(선문대 역사학과 교수), 김영호(중앙대 예술대학 교수) |
동무생각_곡/박태준 시/이은상 바리톤/여현구 피아노/천혜미 |
동무생각 |
34 |
서른세 번째 |
9월 6일 |
‘목포의 눈물’은 일본 경찰을 속이고 만든 노래다? |
송경아 김갑수(시인, 문화평론가), 강헌(음악평론가) 장유정(단국대 교수) |
목포의 눈물 작사/문일석 작곡/손목인 노래/말로 피아노/민경인 색소폰/유승철 |
목포의 눈물 |
35 |
서른네 번째 |
9월 13일 |
‘서당’의 훈장은 성경 속 메시아다? |
송경아 이엘 이광표(동아일보 기자), 김상철(미술평론가) |
줄풍류 하늘천 따지_이영조 바이올린/이성주 & 조이 오브 스트링스 |
생도청의 아침 (Korean Classical Ver.) |
36 |
서른다섯 번째 |
9월 20일 |
브레송, '결정적 순간'에서 결정적 순간은 두 가지이다? |
이엘 유정우 김홍희(사진 작가), 나비드(가수 · 작사가) |
빗방울 전주곡_쇼팽 피아노/차하루 아이자와 |
전주곡 15번, Op.28-15《빗방울전주곡》 Preludes Op. 28 : No. 15 in D flat major (Sostenuto) |
37 |
서른여섯 번째 |
9월 27일 |
비제의 오페라 ‘카르멘’에는 죽음의 저주가 있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이헌석(음악 평론가) |
비제의 오페라<카르멘> 중 '하바네라' 소프라노/이지은, 피아노/제갈소망 |
꽃의 노래 Air de Fleur |
38 |
서른일곱 번째 |
10월 11일 |
일본 국보 이도다완에는 죽음의 저주가 있었다? |
송경아, 유정우 이광표(동아일보 문화부 기자), 방병선(고려대 고고미술사학과 교수), |
- |
From Ancient - 흙의 전설 - The Legend Of Earth |
39 |
서른여덟 번째 |
10월 18일 |
스페인 ‘성가족성당’에는 가우디코드가 있다? |
이엘 나비드(가수 · 작사가), 오영욱(건축가 · 여행작가), 김광현(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 |
|
40 |
서른아홉 번째 |
10월 25일 |
<예스터데이>는 비틀즈의 해체 후 싱글로 발매되었다? |
송경아, 이엘 강헌(음악평론가), 이헌석(음악 평론가) |
Yesterday_비틀즈 가이아 콰르텟 |
Yesterday |
41 |
마흔 번째 |
11월 1일 |
정선의 ‘인왕제색도’는 ‘제망우가(祭亡友歌)’다? |
송경아, 이엘 김상철(미술평론가),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 전문기자) |
- |
웨딩드레스 Main Title |
42 |
마흔한 번째 |
11월 10일 |
‘가나가와의 큰 파도’는 후지산을 그린 그림이다? |
송경아, 유정우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 전문기자), 강병직(한국교육개발원 연구원 · 미술교육학박사) |
드뷔시_<목판화> 제3곡 '비오는 정원' 피아노/이윤수 |
목판화 제3곡 '비오는 정원' Estampes - 3. Jardins sous la pluie |
43 |
마흔두 번째 |
11월 20일 |
<죽음과 소녀>는 에곤 실레 자신의 이별이야기다?! <죽음과 소녀>는 슈베르트 생전에 전 악장이 연주된 적이 없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박영택(경기대 교수) |
슈베르트 현악4중주 제14번 d장조 2악장 가이아 콰르텟 |
현악4중주 제14번 d장조 D. 810 "죽음과 소녀" 3악장 String Quartet No. 14 in D minor D. 810 "Death and the Maiden" 3. Presto |
44 |
마흔세 번째 |
11월 27일 |
<삼미신>에는 루벤스의 아내가 있다?!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은 참전 선동가였다?! |
송경아, 이엘, 유정우 박영택(경기대 교수/미술 평론가) |
엘가_혁명과 영광의 땅 테너/강신수_피아노/박예은 |
희망과 영광의 나라 Land of hope and glory |
45 |
마흔네 번째 |
12월 4일 |
밀레 <만종>의 감자바구니는 아기 무덤이다? 채동선의 <고향>은 ‘고향’이 아니었다? |
유정우 나비드(가수 · 작사가), 김갑수(시인, 문화평론가), 박영택(경기대 교수/미술 평론가) |
고향_1933/ 채동선 작곡, 정지용 작사 소프라노/김수연_피아노/필립 리차드슨 (Philipp Richardsen) |
고향 |
46 |
마흔다섯 번째 |
12월 10일 |
베토벤 교향곡 9번 4악장 <환희의 송가>은 왕에게 아부하기 위해 만든 곡이다? 김정희의 ‘세한도(歲寒圖)’는 탄원서였다? |
송경아, 유정우 이헌석(음악 평론가), 이광표(동아일보 문화재전문기자) |
- |
교향곡 제9번《합창》 4악장 Symphony No.9 in D minor, Op.125 "Choral" IV. Finale: Presto - Allegro Assai |
47 |
마흔여섯 번째 |
12월 18일 |
<로스하우스>는 불법 건물이었다? <명태>는 발표 10년 후에야 세상에 알려졌다? |
송경아, 유정우 김갑수(시인, 문화평론가), 김광현(서울대 건축학과 교수) |
명태_1951 양명문 시 · 변훈 곡 / 베이스/전준한 |
before the rain |
48 |
마흔일곱 번째 |
12월 25일 |
고흐가 귀를 자른 것은 <고갱의 의자> 때문이다?! 카치니 <아베마리아>는 카치니 곡이 아니다?! |
송경아, 유정우 이헌석(음악 평론가),정연심(홍익대학교 미대 교수) |
- |
아베 마리아Ave Mar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