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울특별시도
중요한 도로로 서울특별시장이 그 노선을 인정한 것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서울특별시도는 서울특별시의 주요 도로망을 형성하고 주요 지역과 인근 도시·항만·산업단지·물류시설 등을 연결하며 서울특별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히 중요한 도로로 서울특별시장이 그 노선을 인정한 것이다. 서울특별시는 여타의 도시와는 달리 도로 표지판에 표기하는 도로안내 노선 번호와 도로의 유지 관리를 위하여 도로법에 의해 지정된 관리용 노선을 각각 별도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다.
도로안내 노선 번호
요약
관점
서울특별시도는 광역시도나 시도와 달리 도로법에 의한 노선 번호와는 별도로 도로 표지판에 표기하는 도로 안내 노선 번호를 부여하였다. 현재 사용되는 도로안내 노선 번호는 1999년 8월 16일[1]에 시행된 것이다. 본래 1988년 국토개발연구원에서 연구 시행한 '서울시 주요도로 노선번호 부여 및 표지판 설치계획'에 의거한 노선번호가 있었으나, 노선번호가 너무 많고 복잡하여 시민 활용의 저조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1999년 8월 5일 도로안내 노선번호를 알기 쉽고 기억하기 쉽도록 '서울시도 도로안내 노선번호 개선계획'에 의거한 사업[2]이 1999년 4월 도로표지 일제 정비 추진 계획과 함께 추진되었다.[3] 초기에 서울시에서는 노선 번호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특별시도가 국도와 중복되는 경우 국도 대신 특별시도의 노선 번호를 표기하기로 하고, 여러 경로로 홍보[4]를 하는 등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후 2012년 2월 8일에 서울시에서는 도로표지 자문위원회를 구성하여 간선도로 중 국도와 자동차 전용도로를 제외한 노선의 서울시도 노선번호 표기를 제외하기로 결정하면서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닌 시내도로의 시도 노선 번호는 사실상 폐지되었다.
노선 목록
- 부여된 규칙은 다음과 같다.
- 남북종단도로:6개 주요도로에 대해 서쪽에서 동쪽으로 21, 31, 41, 51, 61, 71를 순차적으로 부여
- 동서횡단도로:9개 주요도로에 대해 북쪽에서 남쪽으로 20, 30, 50, 60, 70, 88, 90, 92, 94를 순차적으로 부여
- 현재는 자동차 전용도로 노선에만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
초기 노선 지정
서울특별시의 도로안내 노선번호는 1988년 6월 7일에 처음 도입되었다. 이 노선 번호는 당시 대한민국에 고속도로나 일반국도에는 번호가 부여되어 있는데 반해 서울 시내 간선도로에는 이러한 번호가 없었기 때문에 1988년 서울 올림픽을 맞아 서울을 방문하는 외지인과 외국인들이 서울시내 간선도로망을 쉽게 알게하기 위해서 부여되었다.
1988년 당시의 도로 노선 번호는 다음과 같은 규칙으로 부여되었다.[5][6][7]
도시고속도로
주간선도로
- 15개 노선
- 도심을 중심으로 동서, 남북의 축을 만들고 4분된 지역을 번호 부여를 위해 구역화
- 북동지역: 20 ~ 29
- 남동지역: 30 ~ 39
- 남서지역: 50 ~ 59
- 북서지역: 60 ~ 69
- 시계방향에 따라 순서대로 번호를 부여하되, 장래에 신설될 도로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마다 결번을 둠
- 동서방향에 가까운 도로에는 짝수번호를, 남북방향에 가까운 도로에는 홀수번호 부여
- 국도 노선 번호와 겹치는 경우가 많은 40 ~ 49번은 부여하지 않음
보조간선도로
- 67개 노선
- 축이 되는 주간선도로의 번호에다 이 도로에 접속된 보조간선도로의 일련번호를 부여
- 북동지역: 200 ~ 299
- 남동지역: 300 ~ 399
- 남서지역: 500 ~ 599
- 북서지역: 600 ~ 699
Remove ads
관리용 노선
요약
관점
도로법에 의하여 지정된 서울특별시도로서 도로의 유지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서울특별시에서는 도로안내 노선 번호를 따로 사용하기 때문에 이 노선의 번호는 도로 표지판에 표기하지 않는다.
초기 노선 지정
1999년 3월 31일에 지정된 서울특별시도 목록이다. 서울특별시공고 제1999-252호 기준이다.
이 목록은 아직 미완성입니다. 여러분이 편집하여 채워 주세요.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노선 목록
이 노선은 2020년도 도로통계 기준이다.
도시고속도로
주간선도로
보조간선도로
세자리수 노선
2000 ~ 3000번대
4000 ~ 5000번대
Remove ads
역사
- 1988년 6월 7일: 도로안내 노선번호 부여
- 1999년 3월 31일: 서울특별시도 지정[16]
- 1999년 8월 16일: 도로안내 노선번호 전면 개정[1]
- 2001년 8월 6일: 서울특별시도 노선 체계를 변경해 다시 지정[17]
- 2003년 3월 15일: 0115호선 (상암 ~ 대흥선)에 서부면허시험장입구 ~ 가양로 680m 구간을 추가하여 노선 연장, 강변북로부터 상암사거리까지 1.83 km 구간을 0112호선 상암선으로 신설[18]
- 2004년 7월 10일: 04호선 (강변북로) 연장 변경, 3003호선 (흥인 ~ 면목선) 기점을 흥인로터리에서 동대문운동장으로 변경해 700m 노선 연장[19]
- 2006년 1월 26일: 11개 노선에 대한 신설 및 노선 변경[20]
2006년 1월 26일 신설 및 변경된 노선 목록
- 06호선 경부간선도로 (한남대교 남단 ~ 양재 나들목) 6.83 km 노선 신설
- 3009호선 금호 ~ 행당선 (금호역 ~ 무학여고) 1.38 km 노선 신설
- 4243호선 목동 ~ 안양천선 (목동) 330m 노선 신설
- 4305호선 신정 ~ 목동선 (신정동 ~ 목동) 800m 노선 신설
- 5121호선 영등포 ~ 당산선 (영등포우체국 ~ 화학시험연구원) 1.71 km 노선 신설
- 5123호선 신도림 ~ 구로선 (태영아파트 ~ 현대주유소) 1.2 km 노선 신설
- 0407호선 잠실철교선 종점을 잠실철교 북단에서 강변역으로 변경해 1.43km에서 2.04km로 노선 연장
- 3005호선 마장 ~ 사근선 기점을 대한적십자사로, 종점을 성동노인복지관으로 변경해 4.4km에서 5.22km로 노선 연장
- 3111호선 성수 ~ 자양선 기점을 뚝섬로터리에서 용비교로 변경해 4.5km에서 5.5km로 노선 연장
- 4603호선 하수 ~ 마포선 기점을 대흥로에서 철길앞으로, 종점을 가든로터리에서 대농빌딩으로 변경해 2.9km에서 4.76km로 노선 연장
- 5101호선 오류 ~ 대림선 기점을 늘빛교회에서 서서울정보산업고로 변경해 4.38km에서 6.28km로 노선 연장
- 2007년 5월 10일: 성국교회에서 우리은행까지 1.9 km 구간을 2305호선 역촌 ~ 대조선으로, 광운대입구에서 월계미성아파트까지 1.25 km 구간을 5205호선 월계 ~ 마들선으로 신설[21]
- 2008년 1월 31일: 4603호선 하수 ~ 마포선 기점을 철길앞에서 대흥로로 환원해 4.76km에서 2.9km로 노선 축소[22]
- 2008년 8월 7일: 4개 노선 신설[23]
- 2010년 5월 20일: 박석고개삼거리에서 메뚜리다리앞 교차로까지 2.19 km 구간을 0123호선 서오릉 ~ 진관외선으로, 흥창사입구 교차로에서 입곡삼거리까지 1.04 km 구간을 0125호선 진관내 ~ 진관외선으로 신설. 2703호선 한남 ~ 응봉선 기점을 한남동오거리에서 한남빗물펌프장으로 변경해 4.37km에서 4.95km로 노선 연장[24]
- 2010년 7월 8일: 강일동입구 교차로에서 강일동 하남시계까지 950m 구간을 4245호선 암사 ~ 강일선으로 신설. 4241호선 암사 ~ 상일선 종점을 상일동길에서 상일동 하남시계로 변경해 4.07km에서 5.07km로 노선 연장[25]
- 2012년 1월 26일: 남부순환로에서 공항로까지 1.5 km 구간을 남부순환로 ~ 공항로선으로, 천왕동 광명시계에서 오류동길까지 1 km 구간을 광명 ~ 오류동길선으로 신설.[26]
- 2012년 2월 8일: 서울시내 도로 표지판 중 간선도로의 시도 노선번호(도로안내 노선번호) 표기를 제외하는 것으로 원칙 설정 (단, 전용도로는 예전대로 노선번호 표기)
- 2012. 2. 8. (수) 14:00 ~ 16:30
- 도로표지 설치 상의 대원칙 설정
- 간선도로의 노선번호 표기는 제외하는 것으로 함 (국도, 전용도로는 예전대로 노선번호 표기)
- 도로표지의 연속성을 위해 동일한 방향의 정보를 표지판에 명기
- 시설물에 대한 성격 등을 등급별로 정해서 문안 적용시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 있도록 조치
- 심의결과
- 올림픽대로 확장(반포~청담)외 6건 중 2건 조건부 승인
- 강동 경희대 병원 등 5건 재심의
— 제1회 자문위원회 심의결과 조치사항
- 2012년 8월 30일: 4237호선 방이 ~ 오금선 종점을 거여동길에서 거마로로 변경해 2.06km에서 2.99km로 노선 연장, 방이 ~ 마천선으로 변경. 신월동 부천시계에서 신월지하차도까지 1.256 km 구간을 4214호선 신정이펜하우스 ~ 남부순환로선으로 신설.[27]
- 2013년 6월 13일: 한국화물터미널에서 헌릉로까지 1.69 km 구간을 4103호선 양재대로 ~ 헌릉로간 연결도로로 신설[28]
- 2013년 12월 12일: 5123호선 신도림 ~ 구로선 기점을 태영아파트에서 동아3차아파트 교차로로, 종점을 현대주유소에서 거리공원오거리로 변경해 1.2km에서 1.64km로 노선 연장[29]
- 2014년 11월 20일: 42호선 방화 ~ 암사선 종점을 암사동에서 면목동으로 변경하고 구리암사대교, 용마터널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해 46.96km에서 51.76km로 노선 연장, 방화 ~ 사가정선으로 변경.[30]
- 2015년 5월 28일: 위례터널 2.269 km 구간을 2702호선 위례터널선으로 신설.[31]
- 2015년 9월 10일: 서울숲푸르지오1차아파트에서 청구역사거리까지 2.27 km 구간을 2503호선 금호 ~ 청구선으로 신설.[32]
- 2015년 11월 26일: C1호선 퇴계로 노선을 서울역고가도로 경유에서 청파로, 칠패길, 의주로 경유로 변경하여 3.15km에서 3.7km로 노선 변경[33]
- 2016년 6월 9일: 강남순환로 13.82 km 구간을 07호선 강남순환로로 신설[34]
- 2017년 11월 30일: 4245호선 암사 ~ 강일선의 기점을 강일동 입구에서 선사초교 앞으로 변경하여 0.95km에서 4.65km로 노선 연장[35]
- 2019년 4월 25일: 4214호선 신정이펜하우스 ~ 남부순환로선의 종점을 신월지하차도에서 신정동 신트리공원 교차로로 변경하여 1.256km에서 3.826km로 노선 연장[36]
- 2019년 12월 12일: 0117호선 상암 ~ 서교선 기점을 상암동 756번지에서 상암동 1571번지로 연장하고 주요통과지를 상암동길, 서교로에서 월드컵북로, 홍익로로 변경, 총 연장이 5.07km에서 5.53km로 노선 연장[37]
- 2020년 5월 28일: 01호선 서부간선도로 등 6개 노선 조정[38]
- 2020년 12월 3일: 5125호선 항동선 노선 신설[39]
- 2021년 9월 16일: 08호선 신월여의지하도로, 09호선 서부간선지하도로 신설, 05호선 올림픽대로와 0112호선 상암선 노선 조정[40]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