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경의선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서울역과 경기도 파주시의 도라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경의선
Remove ads

경의선(京義線)은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 서울역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노상리 도라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원래는 서울역신의주역을 연결한 간선철도 노선이었으나, 한반도 분단 이후 서울역에서 군사분계선 이남 문산역까지만 경의선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남북철도복원에 따른 노선 연장으로 임진강역, 도라산역이 개업하였다. 현재 서울역부터 문산역까지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되고 있다. 통행방향은 전 구간 좌측통행이다.

간략 정보 경의선, 기본 정보 ...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남북분단 이전

경의선은 1902년 기공되었으며, 1896년 프랑스 피브릴 사가 처음으로 부설권을 얻었으나 자금 조달이 어려워 부설권을 상실하였다. 1899년 대한철도회사가 다시 특허를 얻었다가 또 다시 실패하자 1900년 정부 기관인 내장원(內藏院)에 서부철도국을 두고 서울 ~ 개성 구간 선로 측량을 시작하였다. 그 뒤 1904년 러일 전쟁이 일어나자 일본은 서울 ~ 신의주 구간 군용 철도를 부설하기 위하여 임시군용철도감부를 설치하였다. 일본제국은 이를 대륙 침략 노선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공사를 서둘렀다. 1904년 3월 용산 ~ 개성 구간의 노반공사에 착수, 1905년 평양 - 신의주 구간이 완공되어 용산 ~ 신의주 구간에 직통운전이 시작되었으며, 1906년 청천강·대동강 철교가 준공되면서 전구간이 개통되었다. 1908년 신의주 - 부산 사이(경부철도)에 한국 최초의 급행열차인 융희호(隆熙號)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그 후 1911년 압록강 철교가 완공되어 중국만주를 거쳐 유럽까지 이어지는 국제 철도 노선의 일부가 되기도 하였다. 1920년대에 서울역을 기점으로 하여, 신촌을 지나 가좌동에서 합류하는 신선이 개통되었다. 1943년에는 평양 - 신의주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광복 후 남북 분단이 되었지만 열차는 계속 운행해 오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문산 - 개성 구간 운행이 중단되면서 남북간 철도는 끊기게 된다.

남북분단 이후

1950년 6월 25일에 발발한 6.25 전쟁으로 인해 문산 ~ 개성간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휴전협정 후 대한민국 교통부 철도국, 철도청에서는 서울역 ~ 문산역까지만을 관할하게 되었다. 2002년 4월 11일 대한민국의 경의선 복원 공사로 도라산역이 신설되었다. 이후 경의선이라는 이름은 대한민국에서 서울 ~ 도라산 간 철도 노선을 일컫는 말로만 쓰게 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평양을 기준으로 설정, 경의선의 도라산 ~ 신의주 구간을 2개로 분화하여 평부선, 평의선으로 각각 이르고 있다.

경의선(문산-개성) 복원공사

Thumb
도라산역. 경의선 복원공사로 신설되었다.

경의선 복원 공사 완료로 도라산역을 기점으로 손하역, 판문역, 봉동역 등 3개역이 신설되었다. 2006년 경의선과 동해북부선의 시험 운행이 계획되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반대로 취소되었다. 이후 재협상을 거쳐 2007년 5월 17일 시험 운행이 이루어졌다.

2007년 12월 11일부터 대한민국문산역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판문역을 잇는 개성공단 전용 화물열차가 정기 운행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잇따른 대남 공세와 금강산 관광객 피격 사망 사건 이후로 남북 관계가 악화되면서 2008년 11월 28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운행이 중단되었다.

향후 문산 ~ 도라산 구간 9.7km를 전철화하는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며, 우선 문산 ~ 임진강 구간 6km가 2018년 9월 21일 착공, 2020년 3월 28일 개통되었다. 그리고 판문점 선언 이후 동해선과 함께 현대화 사업이 추진되어 남북철도를 연결할 계획이다.

수도권 전철 운행

Thumb
수도권 전철 331000호대 전동차
간략 정보 ■ 경의중앙선 ...

경의선을 개량해 수도권 전철을 운행하도록 하는 사업은 1989년 일산신도시 개발 계획과 함께 교통대책 일환으로 추진되었다.[1] 하지만 그해 12월 2기 지하철, 일산선 계획이 확정되면서 경의선 전철화 계획은 무기한 연기되고 일산 지역 교통 대책으로 일산선만 건설되었다.[2]

이후 공사 계획은 여러 차례 지연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1999년 착공되어 2006년 개통을 목표로 추진하였다. 그러나 일산신도시 지역에서 지하화를 요구하면서 공사가 중단되기도 하였고, 2005년 지상화로 합의해 사업이 재개되었다. 2009년 7월 1일 디지털미디어시티 ~ 문산 구간(경의선)이 개통되었고, 전 구간이 복선화되었다. 특히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능곡역 ~ 문산역까지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또한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과 함께 강매역폐역되었으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Remove ads

연혁

일제강점기 시절

해방이후 단선비전철 시절

광역전철 시대

Remove ads

운영

수도권 전철

차량

과거에 운행하던 차량은 다음과 같다.
Remove ads

역 목록

요약
관점

운행중인 역 목록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자세한 정보 역 번호, 역명 ...
Remove ads

지선 노선

요약
관점

경의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노선 명칭 ...

효창선

효창선용산역효창공원앞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용산선

용산선용산역가좌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이 운행된다.

교외선

수색객차출발선

수색객차출발선수색차량사업소가좌역을 잇는 지선으로, 수색차량기지의 차량 입출고를 위해 설치된 노선이다.

고양기지선

고양기지선한국항공대역수도권철도차량정비단을 잇는 철도로, 한국항공대역을 지나간 후 경의선 왼쪽에서 분기한다.

수도단으로 입·출고하는 KTX 열차가 이용하며, 행신역을 오고가는 KTX 또한 고양기지선으로 운행한다.

자세한 정보 역명, 접속 노선 ...

배선도

문산기지선

문산기지선문산역문산차량사업소를 잇는 철도이다.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의 입출고 열차가 사용한다.

자세한 정보 역명, 접속 노선 ...

수색직결선

수색직결선은 경의선 수색역 인근 경의선 서울 기점 8.882km 지점에서 인천국제공항선 서울역 기점 13.583km 지점을 잇는 철도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접속 노선 ...
Remove ads

문화재

간략 정보

비판

수도권 전철

  • 경의선 복선 전철 개통 당시 일부 전철역들이 완공이 덜 된 상태에서 너무 급하게 전철을 개통시킨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있었다.[32]
  • 경의선을 복선 전철화할 때 한국철도시설공단과 참여 시공사들이 부실 공사를 하였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지만, 공단은 이를 무시하였다.[33]
  • 대곡역의 환승 통로가 지나치게 승객들을 우회시켜 환승객들의 불편을 가져오고 있으며, 환승역에는 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조차 설치되어 있지 않다는 지적이 있다.[34]
  • 경의선 전철 개통과 동시에 한국철도공사행신역과의 거리를 이유로 강매역을 폐역한 것에 대하여 행신2지구 주민들이 반발한 적이 있었다. 이로 인해 강매역을 신축하여 영업을 재개하기로 합의, 2014년 10월 25일에 재개통되었다.
  • 일부 서울역행 전동열차 편성으로 인해 용산선 가좌역(지하) 이남의 역들은 일부 시간대에 30분 배차간격이 발생하게 되었다. 그래서 대곡역까지 운행하는 공덕역 출발 급행 열차가 신설되었으며, 평일에만 운행하는 공덕발 대곡행 완행열차도 1편성 있었으나 직결운행 직후 대곡역 착발 열차는 서울역 착발의 완행열차 운행으로 일원화되었다.
Remove ads

경의선의 교통량

요약
관점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경의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자세한 정보 운행구간, 선로용량 ...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자세한 정보 구분, 이용 인원수 (명) ...

미래

중장기적으로 남북 통일 이후 물동량 급증을 대비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능곡역 구간은 이미 복복선화되어있고, 문산역까지는 복복선화가 가능하도록 노반이 2배로 넓게 설계되었다. 장차 경의고속철도 건설추진시 수색 ~ 서울역 구간 선로용량 부족대비 차원으로 수색 ~ 금천구청간 고속선 지하화를 추진하는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었다.[36]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