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구광역시

대한민국 영남권의 광역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구광역시
Remove ads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 영어: Daegu Metropolitan City)는 대한민국의 동남부인 경상북도 지역 내륙에 위치한, 그 면적은 1,499.5㎢로 대한민국 광역시 중 가장 넓다.

간략 정보 대구 大邱廣域市, 행정 ...
Remove ads

조선시대에는 경상감영 소재지로서 경상도의 중심지였다. 일제강점기 말 대구는 서울, 평양, 부산에 이어 네 번째로 주요 도시가 되었었다. 20세기에는 섬유 산업을 중심으로 도시가 성장하였다.

1950년 6.25 한국전쟁이 터지자 임시정부가 대구로 이전하여 임시수도의 역할을 하였다.

21세기에는 2023년 7월 1일에 군위군이 역시로 편입처리되었고, 총 7개 구[3]와 2개 군[4]으로 구성되어 있다.현재형 ING

Remove ads

역사

요약
관점

선사시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성동에 구석기시대의 유물인 좀돌날 석기가 포함된 유적의 발굴로 미루어 대략 2만~1만년 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부산에 옛이름엔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불성(達弗城), 달구벌(達句伐), 달구화(達句火), 대구(大丘) 등이 있다.
  • 모두 어딘가 비슷한 이름인데 한자의 뜻과는 관계없는 고유어의 음차이며, 이 가운데 물론 달구벌과 대구(大丘)가 가장 유명하다.
  • 달구벌이라는 말의 어원에 대한 설명은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 '달구'의 '달'에 "높다", "크다"의 의미가 있고, 신라의 사상에서 기원된 새로움 혹은 철기 문화의 상징인 '닭띄도 있다'에서 유래하였다는 연구자료도 있다. 그래서 진벌은 대체로 '크고 넓은 벌판' 정도로 있다.
  • 선사시대 달구화(達句火)[5], 달구벌(達句伐), 달불(達弗), 달성(達城)으로 성읍이 형성되었다.
  • 청동기시대 부족국가가 형성되었다.

신라

자세한 정보 -, 달구벌 ...

고려

  • 940년(고려 태조 23년) 수창군을 수성군으로 개칭하였다.
  • 1018년(고려 현종 9년) 수성군·장산군·해안현(解顔縣)과 대구현·화원현(花園縣)·팔리현(八里縣)·하빈현(河濱縣)으로 행정 계통이 양분되었다. 대구현 등은 성주군 관하에 두었다.
  • 1143년(고려 인종 21년) 대구현이 현령관으로 승격하여 하빈현, 화원현을 영속하였다.
  • 1203년(고려 신종 6년) 무신정권기에 부인사 승려의 반무신란이 있었다.
  • 1232년(고려 고종 19년) 몽골 제국의 침입으로 팔공산 부인사대장경을 소실하였다.
  • 1255년(고려 고종 42년) 공산성에서 항몽 투쟁하였다.

조선

조선 시대에는 대구도호부의 영역이 현재의 대구광역시 중구, 남구, 서구, 동구(안심동 제외), 북구(옛 칠곡동 지역 제외), 수성구(고산동 제외), 달서구, 달성군(현풍면, 유가면, 구지면 제외), 청도군 각북면, 풍각면, 각남면에 이를 정도로 넓었다.

대한제국

  • 1899년(광무 3년) (광무 3년) 7월 대구 최초 근대 중등교육기관 달성학교(1916년 대구고등보통학교 계승, 1950년 경북중학교와 경북고등학교로 분리, 1970년 경북중학교 폐교, 현 경운중학교 계승)가 설립되었다.
  • 1902년(광무 6년) 애덤스 선교사에 의해 신명여자소학교가 여성교육기관으로 처음 문을 열었다.
  • 1905년(광무 9년) 달성공원이 조성되었다.
  • 1906년(광무 10년) 9월 24일 대구군 소속 각북면·각현내면·각초동면·각이동면 이상 4개 면은 청도군으로 이속하였다.[9]
  • 1906년(광무 10년) 10월 대구읍성 성벽이 대구군수 겸 관찰사 서리였던 박중양에 의해 황제의 윤허없이 철거되었다.[10] 또한, 경상감영의 선화당 정남쪽에 위치했던 포정문(布政門)의 문루인 관풍루를 지금의 달성공원으로 옮겨졌다.[11]
  • 1906년(광무 10년) 일제 통감부 이사청이 설치되었다.
  • 1907년(광무 11년) 2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이 중심이 되어 국채보상운동을 전개하여 전국적으로 큰 호응을 얻었다.
  • 1907년(광무 11년) 대구 첫 영화관 금좌(錦座)가 현재 태평로2가에 문을 열어 12년 동안 번창하였다.
  • 1907년(광무 11년) 애덤스 선교사의 부인 부르엔(Marda Bruen)에 의해 여자중등학교로 신명여학교가 문을 열였다.[12]
  • 1908년(융희 2년) 경상감영의 객사와 주요 건물이 파괴되었고, 약령시를 현재 남성로로 이전하였다.
  • 1909년 경상북도관찰사로 부임한 박중양은 이른바 십자도로(포정동에서 서문로에 이르는 동서 도로와 종로에서 대안동에 이르는 남북 도로)를 개통하였으며, 공사비는 국고에서 지원됐다.[10]

일제강점기

Thumb
대구부 휘장

일제강점기에 대구는 일본어로 다이큐(일본어: 大邱, たいきゅう)라고 불렀다.

미군정기

자세한 정보 구 행정구역 (법정동), 신 행정구역 ...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대한민국

Thumb
미국의 대한군사원조(AFAK)를 통한 자재 원조로 지어진 대구시청사 감사식(1955년)

※ 이후의 행정구역 변경에 대한 내용은 각 구별 문서로 대신한다.

Thumb
대구 2011 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막식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대구광역시는 한반도 동남부 내륙에 위치한 광역시이다. 대구는 영남 지방 내륙 지방의 중앙에 위치한다. 동쪽으로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서쪽으로 고령군, 성주군, 북쪽으로 의성군, 칠곡군, 남쪽으로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과 경계를 접한다.

동성로중앙로를 중심으로 도심을 형성하고 있다.

지형

Thumb
대구광역시 (지산동과 범물동)

대구는 높고 규모가 큰 산줄기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다. 북쪽에는 팔공산(1,193m)의 산줄기가 이어져 있고, 남쪽으로는 비슬산(1,084m)의 높은 산줄기가 이어져 있다. 하천으로는 신천이 남에서 북으로 흐르고 북쪽에서 금호강과 합쳐진다. 대구 시가지는 신천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넓게 펼쳐져 있다.

기후

대구는 전체적인 강수량이 적은 소우지 지역이다. 최고기록기온이 40˚C, 최저기록기온이 -20.2˚C에 달한 적이 있었다. 대구는 대한민국에서 여름 평균 기온이 높은 편이다. 1942년에 기록한 40도는 관측 이래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높은 최고 기온 기록이기도 하다. 이런 특수한 기후로 인해 지리적 기후 구분으로는 남부 내륙 중에서도 '대구 특수형 기후'에 속한다.[31] 또한,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대구의 기후는 온대 하우 기후(Cwa)를 띄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자세한 정보 대구광역시 (대구지방기상청, 동구 효목동)의 기후, 월 ...

지질

Thumb
대구광역시의 지질, 경산시의 지질, 칠곡군의 지질
Remove ads

행정

요약
관점
Thumb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파일:Daegu(ko).svg
대구광역시의 행정구역

대구광역시는 7개 와 2개 으로 이루어져 있다. 2022년 12월 31일 주민등록 인구는 1,070,873세대 2,417,055명이다.[35]

자세한 정보 자치구·군, 한자 ...

경북권

대도시권 교통관리에 관한 1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의 별표 1(대도시권의 범위(제2조관련))에 의하여 대구광역시, 경상북도구미시, 영천시, 경산시, 의성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경상남도창녕군이 경북권으로 규정되어 있으면 2026년 7월 대구경북이 통합된다.

주거 지구

Thumb
범물지구

택지개발사업은 대구도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등에서 공영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무주택 시민에게 양질의 택지를 저렴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도로·수도·전기·통신·도시가스·난방 등 생활기반 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고, 공원·학교·녹지·운동장 등 공공시설과 편의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자세한 정보 대구도시공사 시행, 대한주택공사 시행 ...

비전

대구광역시의 일반행정은 대구광역시청이, 유·초·중등교육행정은 대구광역시교육청이 담당한다.

시청은 동인청사와 산격청사로 나눠져 있는데, 동인청사의 소재지는 중구 동인동 1가이고, 산격청사는 산격동의 옛 경상북도청 건물을 사용하고 있다.

치안

대구경찰청은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서 경찰 치안대를 가동시키기로 했다. 2021년 대한민국 치안률 순위 1위 도시에 지정되었다.[37]

환경지수

2020년 기준 세계 공기질 지수에서 대구광역시가 전국에서 가장 공기질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도시임에도 녹지 조성을 활발히 한 공로로 친환경 도시가 조성된 결과이다.[38] 대구는 1996년부터 이어온 ‘도시 식히기’ 정책으로 여름 기온을 관리해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바로 문희갑 시장 시절 시작된 ‘푸른대구 가꾸기’다. 대구시는 1996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심에 나무 3677만 3958그루를 심었다. 사업비로 현금 1조 2142억원을 들인 장기 프로젝트를 진행해 2016년에 성사시켰다.[39]

첨단기술

자세한 정보 비전, World Smart Leader, DAEGU ...
Remove ads

인구

대구광역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40][41]

자세한 정보 연도, 총인구 ...

2024년 10월 기준 대구광역시의 인구수는 2,364,8922이다.

2006년을 기점으로 인천광역시에게 인구를 역전 당했다. 2024년 10월 인천광역시의 인구는 3,000,000명이다.

Remove ads

교육

자세한 정보 대구광역시 교육기관 (2022년), 학교별 ...

교육 수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평가하길 대구 수성구는 2010년도부터 2020년까지 전국 수능 순위 1위~2위를 기록했다.[43][44][45]

Remove ads

문화

요약
관점

2020년 4월, 한국관광공사는 야간관광 100선으로 대구의 ‘아양기찻길’, ‘앞산공원’, ‘수성못’, ‘서문시장 야시장’을 선정하였다.[46] 대구시는 대한민국 관광산업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도시 환경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해, 선정된 5개 장소를 비롯하여 숨겨진 야간 관광 자원들을 적극 발굴해 육성하기로 했다.[47]

상징

대구광역시를 상징하는 꽃은 목련(1972년 7월 18일 지정), 나무는 전나무(1972년 7월 18일 지정), 새는 독수리(1983년 7월 1일 지정)이다.

축제

대구광역시 대표 축제에는 컬러풀대구페스티벌, 국제오페라축제, 치맥페스티벌, 국제뮤지컬페스티벌이 있다. 컬러풀대구페스티벌은 매년 5월에 열리는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시민축제로 다양한 문화 예술 체험행사와 화려한 퍼레이드를 자랑하는 대구만의 페스티벌이다. 유네스코 음악창의도시로 선정된 대구는 국제뮤지컬페스티벌(DIMF)을 통해 대구시민은 물론 세계인과 함께 뮤지컬을 향유할 수 있도록 2006년부터 매해 개최하고 있다. 국제뮤지컬페스티벌은 대한민국 유일의 국제 뮤지컬 페스티벌이다. 치맥페스티벌은 대구를 대표하는 치킨과 맥주를 모토로 탄생한 페스티벌이다. 매년 100만 명의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고, 치킨과 맥주 그리고 체험 공간까지 있어, 관광객의 오감을 만족시키는 페스티벌이다. 「대구국제오페라축제」는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개관을 계기로 하여 매년 9~10월경에 열리며, 지역의 풍부한 음악적 역량을 활용하고 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하여 타 도시와 차별화된 축제로 발전시키기 위하여 대구광역시가 개최하고 있다.

문화재

자세한 정보 종별, 총계 ...

시티투어

대구시의 관광자원을 널리 홍보하기 위하여 2000년 12월 2일 시작된 시티투어는 각종 문화유적, 관광지, 시정현장 등을 순회하며 대구의 문화와 역사, 관광지 등을 둘러볼 수 있는 관광 체험 프로그램이다.

순환코스

정기코스

  • 1코스(팔공산권) : 불로동고분군 → 봉무공원 → 동화사방짜유기박물관신숭겸 장군 유적지
  • 2코스(비슬산권) : 현풍곽씨12정려각 → 도동서원 → 비슬산자연휴양림 → 유치곤 장군 호국기념관 → 현풍 석빙고
  • 3코스(화원권) : 월곡역사박물관 → 대구수목원 → 화원동산 → 남평문씨리세거지 → 용연사
  • 4코스(시지·가창권) : 녹동서원 → 힐크레스트(구 허브힐즈) → 대구스타디움 → 대구 스포츠기념관 → 둔산동경주 최씨종가
  • 5코스(다사권) : 환경시설공단 → 계명대학교 행소박물관 → 계명한학촌 → 매곡정수장 → 육선사
  • 6코스(도심권) : 약령시한의약문화권 → 달성공원대구향교국립대구박물관 → 구암서원

공원

Thumb
두류공원
자세한 정보 공원명, 위치 ...

대구 12경

대구광역시가 선정한 대구 12경으로 팔공산, 비슬산, 강정고령보(디아크), 신천, 수성못, 달성토성, 경상감영공원, 국채보상기념공원, 동성로, 서문시장, 그리고 대구스타디움이 있다.

요리

한우육회, 납작만두, 야끼우동, 중화비빔밥, 석쇠불고기(북성로), 뭉티기, 막창구이, 곱창구이(안지랑) 등이 대구광역시에서 유명한 음식이다.

대구 10미

대구광역시 10미에는 육개장, 막창 구이, 뭉티기(소 생고기), 동인동 찜갈비, 논메기매운탕, 복어불고기, 누른국수, 무침회, 야끼우동, 납작만두가 있다.

Remove ads

교통

요약
관점

대구는 버스와 도시철도가 주요한 대중교통 수단이다. 외부 지역 및 국가와는 철도, 버스, 항공 등으로 연결된다.

도로

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중앙고속도로, 영천상주고속도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가 지난다. 이상 7개 고속도로 노선 및 5개 국도 노선이 시가지를 방사형으로 연결하고 있다. 신천대로, 앞산순환로, 신천동로,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도시고속화도로로 확충되어 있다.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영천상주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버스

  • 시외버스 : 두 개의 고속버스 터미널과 다섯 개의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전국 각지로 가는 버스가 운행된다. 버스 등급은 급행·순환·간선·지선·출근 등급이다.
  • 시내버스 : 수입금의 분배는 대구광역시에서 맡아 하고, 버스의 운행은 개별 회사가 맡아 하는 준공영제로 운영된다. 도시 규모에 비해 도시철도망이 부족한 대구의 대중교통에서 시내버스의 역할은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버스 운임은 다음과 같다. 일반/좌석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400원, 청소년 1.000원, 어린이 5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2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400원이다. 급행버스의 운임은 현금은 어른 1,800원, 청소년 1,300원, 어린이 800원이고, 교통카드는 어른 1,650원, 청소년 1,100원, 어린이 650원이다.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와 도시철도 모두 최초 교통 수단의 하차부터 30분 이내에 다음 교통 수단으로 갈아탈 경우 무료/할인 환승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구광역시 버스노선 안내 시스템)

도시철도

Thumb
대구 도시철도 노선도(2018년)

택시

중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4,0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10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1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소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8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5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5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경형택시의 경우 기본요금 2km까지 2,200원으로, 이후 거리요금은 144m당 20원으로, 시간요금은 34초당 2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 나드리콜 : 대구시에서 중증장애인, 만65세이상의 사람으로서 대중교통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 등을 대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콜택시이다. 기본요금이 1,000원이고 거리당 요금이 책정되며, 시내는 최대 3,300원 시외는 최대 6,600원이 한도이다.

철도

대구역동대구역에서 경부선, 경북선, 대구선, 동해선 열차를 이용할 수 있다. KTXSRT동대구역서대구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2023년 7월 1일부터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2024년 12월 20일부터 중앙선 복선 전철화 구간이 완공되어 군위역으로 이전 통합되었다.

  • 대경선 : 2018년 4월 구미 ~ 경산 구간 공사에 들어가고 2024년 12월 14일에 개통했다. 2, 3단계로 나누어져 있고 밀양과 김천까지 공사를 할 계획이고 서대구역을 복합환승센터로 건설해 KTX와 SRT가 개통된다.
Thumb
동대구역

공항

Thumb
대구국제공항

동구 지저동에 대구국제공항이 있다. 대구국제공항의 항공편은 매년 동계항공기간이 끝나면 대폭 늘어난다. 대구공항에서는 국내선 제주․김포 2개 노선이 매주 215편 운항하고 있으며, 국제선은 매주 중국(상하이, 베이징, 싼야) 24편,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삿포로, 오키나와, 구마모토, 사가) 177편, 동남아(홍콩, 세부, 방콕, 타이베이, 다낭, 마카오, 하노이) 148편, 대양주(괌) 14편, 러시아(블라디보스토크) 14편이 운항되고 있다.

(대구국제공항)

자세한 정보 구분, 노선명 ...
Remove ads

경제

2012년 대구의 지역내 총생산(GRDP)은 38조 7,000억 원이며, 실질성장률은 2.4%이다. 2013년 대구광역시의 1인당 개인소득은 16개 시도 중 6번째로 상위권이었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3년 지역소득(잠정)’에 따르면 대구의 1인당 개인소득은 1,538만원으로 울산 1,916만원, 서울 1,869만원, 부산 1,618만원, 대전 1,576만원, 제주 1,564만원에 이어 16개 시ㆍ도중 6번째로 높았다. 시ㆍ도 전체 명목 개인소득은 796조원으로 1년 전보다 30조원(3.9%)이 늘었다. 실질 지역 내 총생산 성장률(경제성장률)도 3.8%로 전국 5위를 나타냈다. 이밖에 대구의 지역 총소득은 52조 6,000억원으로 전국의 3.7%를 차지했으며 지역 내 총생산 대비 지역 총소득 비율은 117.3 수준이었다.[48][49]

2018년 대구의 지역내총생산(GRDP) 규모는 50조 8,000억원으로 전국의 2.9%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인당 개인소득은 2,060만원으로 증가했다.[50]

국세청의 재산 보유현황 '2020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말 기준 대구에는 1만6천명, 경북에는 7천명의 부호가 살고 있다. 대구는 서울(16만2천명), 경기(7만7천명), 부산(2만5천명)에 이어 네 번째로 부호가 많은 지역에 이름을 올렸다. 금융자산 10억원 이상 보유한 '부호'는 35만4천명이다.[51]

산업

요약
관점

농업

대구의 농업은 1995년 달성군과의 도농 통합으로 비중이 높아졌다. 2015년 기준 농가호수는 16,571호, 농가인구는 44,542명, 농경지면적은 8.291ha이다. 낙동강과 금호강을 끼고 있는 달성군 지역에서 쌀이 많이 생산되었으나, 현재는 근교농업과 낙농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상업

대구는 옛날부터 교통의 요충지에 있어 영남지방 상권의 중심지로 발달하였고, 조선시대에 이미 전국 3대 시장의 하나인 서문시장과 약령시가 이름을 떨쳤다. 2017년 기준 대구에는 9개의 백화점과 21개의 대형마트, 7개의 쇼핑센터, 151개소의 등록시장, 1개의 종합유통단지가 있다.

자세한 정보 계(단위: 개소), 백화점 ...
자세한 정보 시장명, 소재지 ...
자세한 정보 구분, 계 ...

공업

대구는 한국의 대표적인 내륙공업지역으로 주종산업인 섬유·금속·기계 공업 부문을 통해 지속 성장해 왔다. 과거 섬유업체 수가 전채 사업체 중 절반 정도를 차지할 정도로 섬유공업에 편중된 구조였으나. 2017년 대구시 전체 산업단지 내 업체 수는 기계·금속공장이 3,882개소로 섬유공장 1,736개소보다 비중이 크다.

산업 단지

자세한 정보 산업단지 명, 위치(구·군) ...

미래 신성장 산업

대구는 미래첨단의료 선도도시, 미래형 자동차 선도도시, ICT․IoT 기반의 스마트시티 조성,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통한 미래 신성장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첨단 의료

의료산업 분야는 2018년까지 국책연구기관 15개, 의료기업 130개, 양질의 일자리 창출 4,300개, 의료관광객 유치 25,000명을 목표로 「메디시티 대구」 조성에 매진하고 있으며,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글로벌 수준 발전과 의료관광의 확대 등을 통해 대구를 세계적인 메디시티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Thumb
대구 소재 한국뇌연구원-첨단장비센터
자세한 정보 계, 상급종합 ...

미래형 자동차

미래형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전기상용차 생산공장 건립 투자협약, 대동공업-르노삼성 컨소시엄을 통한 1톤급 전기상용차 개발 및 생산 확정, 자율주행자동차 시범운행단지 지정(국토부), 전기자동차 보급 및 충전인프라 구축 등 미래형자동차 선도도시로서의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Thumb
2017년 대구국제미래자동차엑스포

스마트시티

스마트시티 분야에서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혁신플랫폼인 ‘대구형 스마트시티’ 조성하기 위하여 ICT·IoT(사물인터넷) 융합기술 경쟁력확보, SW융합 산업육성, ICT융복합스포츠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는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한 인프라 건설과 운영체계 구축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고 그 결과 2020년 1월 22일 영국 왕립 표준협회(BSI)로부터 스마트시티국제표준 인증서 ISO 37106 인증을 받았다.

스마트시티국제표준은 2018년 ‘ 국제표준화기구 (ISO)’가 마련한 기준으로, BSI가 비전, 시민중심, 디지털, 개방 및 협력 등 4개 기준에 맞는 도시에 인증서를 발급하고 있다. 한국 내 광역지자체 중에서는 대구가 처음으로 ISO인증을 받았다.

Thumb
대구 2017 대한민국ICT융합엑스포

신재생 에너지

대구광역시는 청정에너지 글로벌 허브도시 조성을 위해 2030년까지 신재생 에너지 보급률 20% 이상, 에너지 소비 15% 절감 목표로 에너지 신사업 Test-bed 구축. 분산전원 및 에너지 효율 극대화, 지역에너지 관련 산업 육성 등을 지속해서 추진하고 있다.

Thumb
대구 2017 국제그린에너지엑스포
Remove ads

생활

안전 도시

2020년 대구는 코로나19 범유행 시국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52] 철저한 방역과 치료를 통해 코로나19를 성공적으로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았다.[53][54] 세계 부부의 날 위원회는 ‘2020 세계 부부의 날 국가 기념 행사’에서 대구시민 일동과 대구시 의료진(대구시의사회, 대구시간호사회)에게 ‘2020 올해의 특별 가족상’을 수상하였으며, “대구시민과 의료진 등 모든 구성원들이 선진 시민 의식을 발휘해 한마음 한 뜻으로 뭉쳐 코로나19를 극복해 전세계로부터 찬사를 받는 등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적을 창출했기에 특별 가족상의 취지와 부합한다”라고 선정 배경을 밝혔다.[55]

청결 도시

2020년 6월 11일 대구상수도사업본부는 시민들이 믿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수돗물을 가정집 수도꼭지까지 안전하게 공급하기 위해 대구 시내 수도관 전체를 세척할 계획을 발표했다.[56]

Remove ads

기업

건설

금융

방송

언론

유통

정치

군사 기지

한강 이남에서는 대전권(대전, 계룡, 논산, 세종)과 함께 주요 국방 도시이기도 하다. 제2작전사령부, 제50보병사단, 제5군수지원사령부 등의 육군 부대와 공군 1방공유도탄여단, K2 공군비행장공군공중전투사령부, 중앙방공통제소, 공군군수사령부, 제11전투비행단 등과 주한 미군 부대 캠프 워커, 캠프 헨리가 대구에 주둔하고 있다. 6.25 전쟁 당시 낙동강 방어선의 전진기지 중 하나였으며 지금도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수성구의 고산지구 개발을 위해 제50보병사단, 제2작전사령부, 제5군수지원사령부를 칠곡군으로 이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57][58]

김범일 제31-32대 대구광역시장 시정 당시에 이러한 군사보안 부분이 강화되어 대구시민들의 안전을 더욱 보완하게 되었다.[59]

역대 시장

스포츠

KBO 리그 삼성 라이온즈, K리그1 대구 FC, KBL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FK리그 대구FS가 있다.

출신 인물

교류

대구광역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결연 또는 우호협력 관계를 맺었다.

자세한 정보 국가, 도시 ...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