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화성시

대한민국 경기도의 도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화성시map
Remove ads

화성시(華城市)는 대한민국 경기도 서남부에 있는 특례시이다. 동북쪽으로 수원시, 동쪽으로 용인시, 남쪽으로는 오산시·평택시, 북쪽으로 안산시와 접하고, 서북쪽으로 시화호를 사이에 두고 시흥시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경기만서해가 있다. 경기남부에서 가장 면적이 큰 도시이다. 특히 화성시는 2025년에 특례시로 승격된 유일한 특례시가 되었다.[1]

간략 정보 화성시, 행정 ...

남양읍을 중심으로 한 화성시 서부의 본래 지명은 남양군(南陽郡)이었고, 서신면에는 백제 및 신라의 대외 무역항이었던 당항성이 있었다. 1914년남양군수원군에 병합되었고, 1949년 8월 14일에 수원읍이 수원부로 분리·승격되면서 화성군으로 개칭되었다. 군의 명칭은 화성(華城)에서 따왔다. 2001년 3월 21일에 시로 승격되었다. 시청 소재지는 남양읍이고, 4읍 9면 15행정동을 관할하는 도농복합시이다.

Remove ads

지명 유래

'화성(華城)'이라는 이름은 조선 정조가 '화봉삼축(華封三祝)' 고사를 인용해 "사도세자능침인 '화산(花山)'의 '花(화)'자와 '華(화)'자는 뜻과 음이 통하여 '화성'으로 한다"고 하여 지은 것이다.

역사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87년 1월 1일: 서신면 칠곡리가 송산면에 편입되고, 팔탄면 지월리 일부가 향남면에 편입되어 장짐리가, 동탄면 금곡리 일부가 오산읍에 편입되어 은계리가 각각 신설되었다. 매송면 금곡리, 호매실리가 수원시에, 양감면 고렴리가 평택군에 각각 이관되었다.[9]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1989년 1월 1일: 오산읍이 오산시로 승격하여 화성군에서 분리되었다.[10] (1읍 15면)
  • 1994년 12월 26일: 태안읍 영통리·신리 일부·망포리 일부, 반월면 입북리·당수리가 수원시에, 반월면 건건리·사사리·팔곡1리가 안산시에, 반월면 둔대리·대야미리·속달리·도마교리가 군포시에 각각 이관되었다. 이로써 반월면은 폐지되었다.[11] (1읍 14면)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2008년 3월 3일: 동탄동이 동탄1동, 동탄2동으로 분리되었다.[20] (3읍 10면 9동)
  • 2009년 6월 8일: 동탄3동이 동탄1동에서 분동하였다.[21] (3읍 10면 10동)
  • 2010년 9월 27일: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5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4년 10월 20일: 남양동이 남양읍으로 전환되었다. 이에 따라 남양동 관할 법정동 역시 법정리로 환원되었다.[22] (4읍 10면 9동)
  • 2015년 1월 1일: 동탄면 영천리·청계리·오산리에 중리·목리·산척리·방교리의 각 일부를 편입하여 동탄4동(법정동:영천동·청계동·오산동)이 설치되었다. (4읍 10면 10동)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2016년 1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6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7년 10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안산시를 추월하였다.
  • 2018년 1월 1일: 송산그린시티 동측 지구에 새솔동을 설치하고, 동탄면·동탄4동을 동탄4동·동탄5동·동탄6동으로 개편하였다. (4읍 9면 13동)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개편 전, 개편 후 ...
  • 2018년 2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7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9년 7월 1일: 동탄7동이 동탄6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4동)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행정구역, 법정구역 ...
  • 2019년 9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80만 명을 돌파하였다.
  • 2019년 10월 21일: 동탄8동이 동탄6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5동)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행정구역, 법정구역 ...
  • 2020년 3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부천시를 추월하였다.
  • 2020년 7월 24일: 경기도 수원시와 화성시의 관할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에 따라 6월 16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하고 6월 23일 공포함. 경계조정령이 시행되어 수원시 영통구 신동, 망포동 일부와 화성시 반정동 일부를 교환하였다.[23]
  • 2020년 9월 12일: 수인선(수원~한대앞)이 재개통되었다.
  • 2022년 9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90만명을 돌파하였다.
  • 2023년 4월: 화성시의 주민등록 인구가 성남시를 추월하였다.
  • 2023년 7월 1일: 동탄9동이 동탄7동에서 분동하였다. (4읍 9면 16동)
개편 전·후
자세한 정보 행정구역, 법정구역 ...
Remove ads

지리

요약
관점

화성시는 크게 동부(병점, 동탄, 봉담읍, 정남면)와 서부로 나눌 수 있는데, 서부는 다시 남양읍송산그린시티를 중심으로 한 북쪽의 1읍·5면·1동과 향남읍을 중심으로 한 남쪽의 2읍·3면으로 나눌 수 있다.[24]

지형

화성시는 광주산맥차령산맥 사이에 위치하여 동북쪽으로 비교적 산세가 깊은 산지를 형성하고, 중앙은 구릉지대이며, 서쪽은 평야지대를 이루면서 서해와 접하고 있다. 서해안으로 남양 반도조암 반도가 돌출되어 있고, 화성시 중심부를 남류하는 황구지천발안천을 따라 비옥한 평야가 넓게 형성되어 있다. 해안은 북쪽으로 군자만, 남쪽으로 남양만을 끼고 있으며, 해안선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다.

화성시는 해발 50m 미만 지역이 총면적의 76.1%이고, 50m∼100m 지역은 17.9%, 100m∼200m 지역은 5.5%, 200m 이상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0.5%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비교적 완만한 구릉지를 형성하고 있다. 경사도는 5% 미만이 총면적의 52.3%, 5%∼1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5.9%, 15%∼25% 지역은 화성시 총면적의 13.9%로 대부분이 완만하다.

해발 200m 이상 지역과 경사 25% 이상 지역은 봉담읍비봉면, 팔탄면의 경계와 동탄면의 동쪽에 분포하고, 해발 50m 이하 지역과 경사 5% 이하 지역은 송산면, 서신면, 우정읍, 장안면 등 서해안과 시화호 주변에 분포하고 있다.

화성시의 지형 구성비
자세한 정보 구분, 면적(km2) ...

기후

한반도의 중서부에 속하는 화성시는 온난한 남부지방으로부터 대륙성의 북부지방으로 옮아 가는 전이지대에 속하고 있으며 특히 본시는 수심이 얕고 내해성인 서해에 연하고 있어 지형상으로도 저평한 평야지대에 위치하고 있어서 겨울 기온이 연안을 따라 낮은 특색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시는 온난 습윤 기후로부터 냉대 동계 소우 기후구로 옮아가는 전이지대에 위치하여 한국의 소기후 구분상 중부서안형에 속하고 있다.

해안선·도서

화성시의 해안선은 경기도 전체 해안선의 절반인 152 km에 달한다. 섬은 총 23개로 유인도(有人島)는 3개(제부도, 입파도, 국화도)이며, 나머지는 무인도이다. 유인도 3개 섬에는 278세대, 630명의 주민이 거주한다.(2001년 조사)

조석·조류

화성시 해안의 조석은 인천광역시 정도에는 미치지 않으나 유사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류에 의한 수괴 변화가 크다. 경기만아산만을 유입하는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대조기(약 15일마다 일어나는 조차가 큰 조석), 소조기(조차가 작은 조석), 밀물 및 썰물때 속도 변화가 크다. 밀물때보다 소조기에 유속이 빠르고 연안에 유입된 물질의 확산이 빨리 일어난다.

영흥도선재도 사이의 소조기 썰물시 최대유속은 127cm/s, 밀물때 최대유속은 9cm/s이며, 대조기 썰물의 최대유속은 180cm/s, 밀물의 최대유속은 166cm/s로 대체로 썰물때 유속이 빠르다.

지질·토양

한국지질자원연구소의 조사 자료에 따르면, 화성시의 지질은 변성암선캄브리아계편암편마암류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화강암과 제4기 퇴적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선캄브리아계의 지질로 토층의 발달이 탁월하며 두껍게 나타난다.

남서부 해안지대와 도서들은 편암, 북서부는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북부와 동부지역에는 반상변정질 편마암과 호상편마암이 나타난다.

남양읍 남부에는 중생대 쥬라기에 생성된 것으로 보이는 대보 화강암이 나타나며, 황구지천, 발안천 및 만을 이루는 지역에는 제4기에 퇴적된 충적층이 형성되어 있다.

Remove ads

행정 구역

화성시는 4 9 15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는 2019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15,396명, 327,797 가구다.[25] 화성시는 행정구를 설치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고 있으나 설치하지 않고, 동부 지역에 동부출장소(병점 지역 6개 동과 정남면을 관할)와 동탄출장소(동탄 지역 9개 동 관할)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자세한 정보 한자, 면적 (km2) ...

* 인구·세대는 2020년 4월 기준

Remove ads

인구

2011년을 기준으로 화성시의 인구 중 만 15세 미만은 21.9%, 만 65세 이상은 7.9%이다.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0.2%로, 전국 평균인 72.8%보다 조금 낮다. 유소년 인구부양비는 31.2%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 인구부양비는 11.2%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 남자 인구를 여자 인구로 나눈 성비는 106.6%로 남자가 다소 많다.

화성시의 인구는 2000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인데, 이는 서울 등 수도권의 다른 도시로부터 동탄신도시 등으로 인구가 계속해서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 화성시의 연도별 인구 추이[27]
자세한 정보 연도, 총인구 ...
Remove ads

시청

현재 화성시청은 경기도 화성시 남양읍에 위치하고 있다.

경제

요약
관점

재정자립도

2022년 기준 화성시의 재정자립도는 58.6%로 경기도 시군 중 2위다.[28] 다양한 제조업 공장들이 화성시에 있기 때문이다.

지역내 총생산

화성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94조 180억원으로 경기도 지역내 총생산의 13.0%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6,900억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8조 740억원으로 83.04%의 비중으로 차지한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5조 2,550억원으로 16.23%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사업서비스업(2.74%)과 건설업(2.31%), 도소매업(1.96%)과 부동산업 및 임대업(1.6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9]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화성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362,267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8.1%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62명으로 비중이 낮다.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91,738명으로 52.9%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170,367명으로 47.0%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의 비중(27.1%)보다 높고 3차 산업은 경기도 전체 비중(72.9%)보다 낮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8.7%), 사업서비스업(8.6%)과 숙박 및 음식점업(6.0%), 교육서비스업(4.9%)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30]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화성시의 2021년 기준 상주인구는 878,879명이고 2015년 기준 주간인구는 573,502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17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213,526명, 유출인구는 106,864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 21,904명, 유출인구는 10,547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106,662명 더 많은데, 이는 산업시설이 많이 이전해 온 수도권 외곽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1]

제조업

연구소

상업

백화점·대형아울렛

대형마트

영화관

Remove ads

교육 기관

  
  
  • 화성시그린농업기술대학
  
  
  • 특수학교
    • 해원학교

도서관

Remove ads

농어업

관내 어항

교통

요약
관점

철도

과거 수원군(화성군) 시절에는 관내 철도역이 많았으나, 수원시오산시가 차례로 분리되고, 반월면안산시군포시의왕시로 분할 편입되어 1995년 수인선 영업이 중단된 후 현재의 상황에서는 경부선이 화성시의 동부에 조금 남아 연결되는 상황이다. 수인선수원 ~ 한대앞 구간이 2020년 말에 개통되어 화성시의 북부 지역에도 다시 철도 운행이 재개되었다.

도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버스


선박

충남 당진시 석문면 장고항 - 우정읍 국화리 국화항 간 선박이 운행중이다.

Remove ads

출신 인물

문화

Thumb
융건릉

오른쪽은 사도세자혜경궁 홍씨를 합장한 융릉, 왼쪽은 제22대 임금 정조효의왕후 김씨의 합장릉인 건릉이다.

사적 217호인 당성은 계곡을 둘러쌓은 포곡식 산성이다.

정조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만든 사찰로 국보 제120호인 용주사 범종이 있다.

  • 우리꽃식물원[32]

대지가 약 109,000m2, 사계절관 2,900m2 규모의 식물원이며 1,200여 종의 한국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외부 들꽃정원과 등고산, 유리온실인 사계절관 등이 있다.

자연환경

화성 8경

  • 융건 백설
  • 용주 범종
  • 제부 모세
  • 궁평 낙조
  • 남양 황라
  • 입파 홍암
  • 제암리 3·1운동순국기념관: 1919년 4월 15일 제암리에서 3.1 운동에 이은 만세운동을 벌였는데, 이후 일본 헌병 30여 명이 제암교회에 주민을 감금시킨 후 무차별 총격을 가하고 교회와 가옥, 그리고 시체까지 불태우는 사건을 저질렀다. 이는 곧 제암리 학살이며 이후 이러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기 위해 불탄 예배당에 순국기념탑을 세우고, 국내외 관련 자료를 모아놓은 전시관과 교육관 등을 운영하고 있다.
  • 남양성모성지

마스코트

  • 코리요

스포츠

자세한 정보 리그명, 팀명 ...

자매 도시

갤러리

교류

사건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