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에 따라 규율되는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부여 규칙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대한민국의 전화번호 체계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고시하는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에 따라 전화, 데이터망 등 전기통신망에 부여되는 번호 체계이다. 국제전화 국가 번호는 82다.

요약

대한민국의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경우로 요약할 수 있다.

  • XXXX-YYYY - 같은 지역 안으로 전화를 걸 경우. 국번호 XXXX는 최대 4자리까지, 가입자 개별 번호 YYYY는 4자리로 구성되며, 국번호는 2부터 9까지의 숫자로 시작한다.
  • 0NZ-XXXX-YYYY - 지역번호이다. N은 2부터 6까지, Z는 1부터 5까지의 숫자이다.
  • 0NN-(0ZZ)-XXXX-YYYY - 일반 전화가 아닌 다른 통신망으로 전화를 걸 경우. 통신망 식별번호 NN은 최대 4자리까지이다. 지역번호는 시외전화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화를 걸 때만 사용한다.
  • 00N-PPP-QQQQQQQ - 대한민국 바깥으로 전화를 걸 경우. 국제전화 통신망 식별번호 N은 최대 3자리까지이며, 국가 번호 PPP는 국제 표준을 따른다.
  • (0ZZ)-1RRR - 1로 시작하는 번호는 특수번호로 별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 지역번호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다음은 0으로 시작하는 통신망 식별번호 및 지역번호와 1로 시작하는 특수번호들을 요약한 것이다.

자세한 정보 번호, 용도 ...
Remove ads

국제전화 (00Y)

001부터 009까지는 국제전화를 위하여 사용된다. 이 가운데 003과 007은 예전 별정통신을 위한 번호이며 기간통신사업자도 별도 신고를 통하여 이를 겸업할 수 있다. 별정통신은 2018년 이후 기간통신 분류로 통함되어 현재 설비 보유 재판매에 해당한다. 한 사업자가 여러 번호를 가진 경우는 대개 다른 사업자의 영업을 양수하며 번호를 승계한 것이고, 이후 과금 방식이나 제공 서비스를 약간 달리 구성한다.

자세한 정보 식별번호, 사업자 ...
Remove ads

이동통신 및 부가통신망 등 (01Y)

010부터 019까지는 이동통신 및 부가통신망 등의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된다. 010과 011·016·017·018·019(일명 01X)은 이동전화, 012는 사물 통신용, 015는 무선호출 및 부가서비스, 013X는 선박무선통신·주파수공용통신·무선데이터통신 등, 014XX는 부가통신역무용이다. 011·016·017·018·019(일명 01X) 식별 번호는 방송통신위원회 고시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 개정에 따라 2004년 1월 1일 자로 신규가입 부여가 중단되었다. 2000년 당시, 일시에 통·폐합되어 국민들의 혼란을 단시간에 가라앉힌 지역번호와 달리 01X 식별 번호는 2004년 당시, 강제로 통·폐합되지 않았었다. 2021년 6월 30일 자로 통신사 01X 번호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자세한 정보 번호, 용도 ...

공통 서비스 (0N0)

020, …, 090같이 셋째 자리가 0인 번호는 통신망과 상관 없이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된다.

자세한 정보 번호, 용도 ...

700번

700번은 1990년대 전화 정보 서비스 용도로 사용된 번호이다. 1990년, 한국전기통신공사가 생활정보식별번호를 700번으로 일원화하는 계획에 따른 것으로, 세부 내용은 서울과 부산에 전용교환기(TDX-1B)를 설치하고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전주에서는 여유회선을 이용해 700국번을 부여[2] 하는 것이었다.

지역 번호 (02, 0NZ)

요약
관점

020부터 069까지의 번호 중 공통 서비스에 해당하지 않는 번호는 대부분 지역번호이다. 이전에는 2자리부터 4자리까지 특별시(2자리)·광역시(3자리), 시·군 단위(4자리)로 지역번호가 배당되었다. 그러나 지역번호가 너무 세분화되어 있어 지역번호를 기억하기가 어려워 불편이 많아 정보통신부(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999년 9월 29일 전기통신번호관리세칙[3]을 통해 전화지역번호를 광역화해 대한민국 내 144개나 존재했던 지역번호를 16개 번호권으로 통합하는 작업을 벌였다. 이 통합 작업에는 서울특별시와 광역시, 제주도는 이전 지역번호체계를 유지하고 나머지 지역은 도 단위별로 단일 지역번호 3자리로 통합되었다.

  • 서울 : 02-(X)XXX-XXXX (9 또는 10자리)
  • 서울 이외 전 지역 : 0NZ-(X)XXX-XXXX (N=3~6, Z=1~5, 10 또는 11자리)

이때 통일 이후에 활용될 북한 지역에 대한 번호 자원도 확보했으나 별도의 배정 과정은 거치지 않았다. 이러한 통합은 2000년 7월 2일 자로 일제히 시행되었다.[4]

지역번호 통합으로 대한민국 내에서 시외전화를 이용하는 방법도 바뀌었다.

  • 번호권 내 시외전화 : 기존에는 지역번호를 누르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었으나 더 이상 지역번호를 누를 필요가 없어졌다.[5]
    •  : 경기도 안양에서 수원으로 전화를 걸 때 기존 0331-2XX-XXXX를 누르던 방식에서 통합 후 (031-)2XX-XXXX 누르는 것으로 변경
  • 번호권 간 시외전화 : 이전과 같은 방식으로 변경된 지역번호를 누르고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  : 경기도 안양에서 강원도 춘천으로 전화를 걸 때 기존 0361-2XX-XXXX를 누르던 방식에서 통합 후 033-2XX-XXXX를 누르는 것으로 변경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2000년 7월 2일 이전

이 내용은 2000년 7월 2일 이전의 체계를 서술하였다. 취소선은 2000년 7월 2일 지역번호 통합 이전에 사라진 지역번호이다. 시읍면 단위 통화권과 자동화 지역번호가 혼재했던 시절에 잠시 존재했던 5자리 지역번호는 기재하지 않는다.

특별시, 광역(직할)시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경기도 (031)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강원도 (033)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충청북도(043)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충청남도(041)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경상북도(054)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경상남도(055)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전라북도(063)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전라남도(061)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제주도(064)

통합이후 700번대를 사용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 지역번호, 지역 ...
Remove ads

시외전화 (08Y)

081부터 089까지의 번호는 시외전화 사업자망을 바꾸는 데 사용된다.

자세한 정보 번호, 사업자 ...

특수번호

자세한 정보 번호, 용도 ...
Remove ads

기간통신사업자 공통부가서비스

전국대표번호 등에 쓰이는 번호다. 이 전국대표번호는 수신자 요금 부담 번호가 아니며, 대부분 시내통화가 적용된다. 일부 가입자의 전국대표번호는 시외통화가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발신자에게 해당 통화는 '시외통화'라는 안내음성이 송출된다.

자세한 정보 번호, 사업자 ...

콜렉트콜

이 번호로 전화를 걸면 수신자가 통화 요금을 부담하며 현재 KT와 SK,세종텔레콤만 운영중이다.

자세한 정보 번호, 사업자 (공중전화 연결시 긴급전화) ...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