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2025년 한국시리즈
2025년 KBO리그의 챔피언 결정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2025 신한 SOL Bank KBO 한국시리즈는 2025년 10월 26일부터 10월 31일까지 펼쳐진 2025년 KBO 리그의 챔피언 결정전이다. 대진은 2025년 KBO 리그 정규 시즌 1위 팀으로 2023년 한국시리즈 이후 2년만에 한국시리즈 직행에 성공하며 이번 시즌 통합 우승이자 통산 4번째 우승에 도전하는 LG 트윈스와 정규시즌 2위이자 플레이오프 승리팀으로 2006년 한국시리즈 이후 19년만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해 통산 2번째 우승에 도전하는 한화 이글스가 맞붙었다. 두 팀의 한국시리즈 맞대결은 이번 포스트시즌 역사상 첫 맞대결이었다.
결과는 LG 트윈스가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2023년 한국시리즈 이후 2년 만의 통합 우승을 이뤄내면서 팀 통산 4번째 우승을 기록했다. 한국시리즈 MVP는 시리즈 기간 17타수 9안타 8타점을 기록, 기자단 투표 89표 중 61를 득표한 LG 트윈스의 외야수 김현수가 차지했다.
2025년 한국시리즈부터 5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팀 홈구장인 대전한화생명볼파크에서 치러졌다.
Remove ads
정규 시즌
Remove ads
KBO 포스트시즌 대진표
요약
관점
| 와일드카드 결정전 | 준플레이오프 | 플레이오프 | 한국시리즈 | |||||||||||||||
| 1 | LG 트윈스 | 4 | ||||||||||||||||
| 2 | 한화 이글스 | 3 | 2 | 한화 이글스 | 1 | |||||||||||||
| 3 | SSG 랜더스 | 1 | 4 | 삼성 라이온즈 | 2 | |||||||||||||
| 4 | 삼성 라이온즈 | 1 | 4 | 삼성 라이온즈 | 3 | |||||||||||||
| 5 | NC 다이노스 | 1 | ||||||||||||||||
와일드카드 결정전
와일드카드 결정전에서는 정규 시즌 4위 삼성 라이온즈와 정규 시즌 막판 9연승을 기록하면서 극적으로 가을야구에 진출한 5위 NC 다이노스가 맞대결을 펼쳤다. 1차전에서는 정규 시즌 막판 9연승의 기세를 이어간 타선과 구창모의 6이닝 1실점 호투를 앞세운 NC가 승리하여 2차전을 만들었으나 2차전에서 삼성 원태인이 6이닝 무실점으로 호투하고 밀어내기 2개로 얻어낸 2득점과 8회말 희생플라이 등 3점을 잘 지킨 삼성이 승리하여 1승의 어드벤티지를 얻은 삼성이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경기 MVP는 1차전 구창모, 2차전 원태인이 수상하면서 모두 각 경기에서 승리투수를 기록한 선수가 받았다.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시즌 3위 SSG 랜더스와 와일드카드 결정전 승자 삼성 라이온즈가 2012년 한국시리즈 이후 13년 만에 포스트시즌 맞대결을 벌였다. 1차전에서 이재현의 포스트시즌 최초 1회초 초구 리드오프 홈런으로 포문을 열고 선발 최원태의 호투를 앞세워 삼성이 기선을 제압했으나 2차전에서 접전 끝에 김성욱의 끝내기 홈런으로 SSG가 반격하며 1승 1패를 주고 받은 시리즈는 대구에서 결판이 났다. 3차전 원태인의 6.2이닝 호투, 4차전에서는 시즌 홈런왕의 위용을 보여준 디아즈의 결승 홈런을 앞세워 삼성이 시리즈 전적 3승 1패로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시리즈 전체 MVP는 4차전에서 결승 2점 홈런 포함 16타수 6안타(1홈런) 6타점 3득점으로 맹타를 휘두른 삼성의 1루수 디아즈가 차지했다.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에서는 정규 시즌 2위 한화 이글스와 준플레이오프 승자 삼성 라이온즈가 2007년 준플레이오프 이후 18년 만에 포스트시즌 맞대결을 벌였다. 대전에서 치러진 1, 2차전은 양 팀이 1승 1패를 가져갔다. 1차전에서 난타전 끝에 한화가 선승을 거뒀고 2차전에서 최원태의 호투를 앞세워 삼성이 승리를 거뒀다. 대구에서 치러진 3, 4차전 역시 양 팀이 1승 1패를 가져갔다. 3차전은 노시환의 결승 2점 홈런과 문동주의 4이닝 호투를 바탕으로 한화가 승리했고, 4차전은 김영웅의 연타석 3점 홈런을 바탕으로 삼성이 승리하면서 시리즈를 마지막까지 끌고 갔다. 다시 대전으로 돌아와 치른 마지막 5차전에서 장단 13안타 11득점을 몰아치고 원투펀치 폰세와 와이스가 이어 던진 한화가 시리즈 전적 3승 2패로 19년 만에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시리즈 전체 MVP로는 1차전 2이닝 무실점 홀드, 3차전 4이닝 무실점 승리를 기록하는 등 구원 등판에서 맹활약으로 이번 시리즈 두 차례 데일리 MVP로 선정됐던 한화의 투수 문동주가 차지했다.
Remove ads
출장자 명단
| 팀 | 선수 명단 |
경기 기록
Remove ads
한국시리즈 경기
요약
관점
1차전
2025년 10월 26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애국가 : 가수 이창섭
- 시구 : 김재박 (前 MBC 청룡 - LG 트윈스 선수, LG 트윈스 감독)
- 1차전 MVP : LG 톨허스트 - 6이닝 7피안타 무사사구 2실점 7K (투구수: 82개)
1차전에서 LG는 톨허스트, 한화는 문동주가 각각 선발 등판했다. LG가 1회말 시작하자마자 홍창기의 볼넷과 신민재의 내야 안타로 찬스를 잡은 가운데 1사 1, 2루 상황에서 폭투가 발생해 2, 3루가 된 상황에서 김현수의 내야 땅볼 타점과 문보경의 1타점 2루타로 2점을 선취했다. 5회말에는 박해민이 우측 담장을 넘기는 홈런을 작렬시켰고, 1사 후 신민재가 3루타로 출루한 이후 오스틴의 땅볼 타구가 한화 3루수 노시환 앞에 떨어졌는데 이를 잡은 뒤 악송구를 저지르면서 신민재의 득점이 이뤄지며 LG가 네 번째 득점을 뽑고 문동주를 마운드에서 내렸다. 한화가 6회초 1사 2루 상황에서 노시환의 적시타에 이어서 1사 1, 3루 상황에서 하주석의 희생플라이로 2점 추격을 해봤으나 LG는 6회말 공격 1사 만루 상황에서 신민재의 2타점 적시타, 2사 1, 2루에서 김현수와 문보경의 연속 적시타로 4득점을 추가해 상대의 추격을 완전히 뿌리치며 사실상 승부를 결정지었다. 마운드에서도 선발 톨허스트가 6이닝 2실점으로 퀄리티 스타트를 기록하며 호투한 LG는 한국시리즈 1차전에서 완승을 거두며 기선을 제압했다.
2차전
2025년 10월 27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2차전에서 LG는 임찬규, 한화는 류현진이 각각 선발 등판했다. 한화가 1회부터 몰아쳤다. 1사 1루 상황에서 문현빈이 선제 2점 홈런을 쳐낸데 이어 노시환까지 백투백 홈런을 터트렸고, 2사 후 손아섭의 2루타와 하주석의 적시타로 LG 선발 임찬규로부터 4점을 뽑는데 성공했다. LG 역시 2회말 공격부터 한화 마운드를 맹폭했다. 2회말 LG는 김현수, 문보경의 연속 안타와 오지환의 볼넷으로 맞은 무사 만루에서 박동원이 2타점 2루타를 쳐낸데 이어 구본혁의 2타점 적시타로 원점으로 돌렸고, 박해민의 희생번트로 2루까지 간 구본혁이 홍창기의 적시타로 홈을 밟으며 전세가 역전됐다. LG는 여세를 몰아 3회말 2사 1루에서 박동원이 달아나는 2점 홈런을 작렬시키며 류현진으로부터 총 7점을 뽑았다. 리드를 내준 한화는 4회초 1사 만루 찬스를 잡아 LG 선발 임찬규를 내렸으나, 김영우를 상대로 2사 만루에서 문현빈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을 내는데 그쳤다. LG는 4회말 2사 만루에서 문보경의 3타점 2루타, 7회말에는 선두 타자로 나와 2루타로 출루한 오지환이 박동원이 희생번트를 댄 상황에서 한화 3루수 노시환의 송구 실책을 틈 타 득점에 성공하여 1득점, 8회말에는 2사 1루에서 문보경이 정우주를 상대로 2점 홈런을 터트리며 쐐기를 박았다. LG는 임찬규가 초반 대량 실점으로 부진했으나 불펜의 이어던지기와 강력한 공격력으로 2차전마저 잡으며 잠실에서의 1, 2차전을 모두 승리로 장식했다.
3차전
2025년 10월 29일 -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애국가 : 가수 솔라
- 시구 : 구대성 (前 한화 투수, 前 질롱 코리아 감독) / 시포 : 조경택 (前 한화 포수, 現 두산 잔류•재활군 코치)
- 3차전 MVP : 한화 심우준 - 1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 (8회말 결승 2타점 2루타)
3차전에서 한화는 폰세, LG는 손주영이 각각 선발 등판했다. 선취점은 2차전에 이어 한화에서 먼저 나왔다. 2회말 1사 1, 2루 상황에서 최재훈이 안타를 쳤는데 이 상황에서 LG 좌익수 김현수가 공을 저글하는 실책을 저지르면서 2루 주자 이진영이 홈을 밟아 점수를 냈다. 하지만 LG가 이후 폰세를 상대로 3회초 2사 1루 상황에서 터진 신민재의 1타점 2루타로 동점, 4회초에는 1아웃에서 앞선 2회말 실책을 만회한 김현수의 홈런으로 앞서간 가운데 팽팽한 1점 차 승부가 이어졌고 이후 LG는 8회초 1사 1, 3루 오스틴 타석에서 김서현이 폭투를 범하여 홍창기의 대주자로 들어온 3루 주자 최원영이 득점하며 3:1로 앞서며 LG의 흐름으로 3차전이 흐르고 있었으나 8회말 한화가 대반격을 시작했다. 1사 1, 3루 상황에서 유영찬을 상대로 문현빈이 적시타를 치며 1점 차로 추격한 한화는 이어진 2사 만루 상황에서 이진영의 대타로 들어선 황영묵이 밀어내기 볼넷으로 동점, 하주석의 대주자로 7회말에 들어와 8회부터 수비에 투입되었던 심우준의 2타점 2루타로 역전하면서 유영찬을 끌어내렸고, 김영우를 상대로 최재훈이 다시 2타점 적시타를 때려내며 8회말에만 타자 일순과 함께 대거 6득점으로 경기를 뒤집었다. 역전에 성공한 한화는 8회부터 올라온 김서현이 9회초 1사 1, 2루 위기를 맞았으나 문성주를 병살타로 처리하며 경기를 끝내고 한국시리즈 2연패 후 반격을 알리는 첫 승을 거뒀다.
4차전
2025년 10월 30일 - 대전한화생명볼파크
4차전에서 한화는 와이스, LG는 치리노스가 각각 선발 등판했다. 4회초까지는 와이스와 치리노스의 팽팽한 투수전으로 양 팀의 득점 없이 경기가 전개됐으나 4회말 1사 2, 3루 상황에서 하주석의 내야 땅볼 타점으로 한화가 선취점을 냈고, 7회말에는 2사 2, 3루 상황에서 터진 문현빈의 2타점 적시타로 달아난 뒤에는 선발 투수 와이스가 8회초 2사까지 호투하며 분위기를 잡아갔다. 그러나 LG는 8회초 2사 상황에서 신민재의 2루타로 찬스를 잡아 와이스를 내리고 이어서 올라 온 김범수를 상대로 김현수가 적시타를 치면서 추격을 시작했다. 한화가 8회말 2사 2루 상황에서 최재훈의 적시타로 다시 달아났지만 LG가 9회초 공격에서 8회초 2사 상황부터 올라온 한화 마무리 김서현의 난조를 틈 타 선두 타자 오지환이 볼넷으로 출루했고 박동원이 2점 홈런을 작렬시키며 1점 차 승부로 만들었고, 1사 후 박해민에게 볼넷을 내주면서 김서현이 마운드에서 내려왔다. 교체되어 올라온 박상원을 상대로 홍창기의 안타, 신민재의 땅볼로 이어진 2사 2, 3루 상황에서 김현수가 2타점 적시타를 터트리며 경기를 뒤집었다. 이어서 문보경이 1타점 2루타까지 친 뒤 수비를 틈 타 3루로 추가 진루했고, 오스틴이 한승혁을 상대로 친 적시타로 문보경을 불러들이며 결정타를 날렸다. 9회초에만 대거 6득점으로 전세를 뒤집은 LG는 유영찬이 9회말을 무실점으로 끝내며 경기를 마무리했다. LG는 시리즈 세 번째 승리를 극적인 대역전승으로 장식하고 2년 만의 통합 우승에 단 1승만을 남겨뒀다.
5차전
2025년 10월 31일 - 대전한화생명볼파크
- 애국가 : 가수 도영
- 시구 : 정민철 (前 한화 투수, 단장, 現 MBC 야구 해설위원) / 시타 : 장종훈 (前 한화 내야수, 現 우석대 야구부 코치)
- 5차전 MVP : LG 톨허스트 - 7이닝 4피안타 2사사구 1실점 5K (투구수: 97개)
5차전에서 한화는 문동주, LG는 톨허스트가 각각 선발 등판했다. 1회초 1사 상황에서 신민재가 2루타로 출루했고 뒤이어 김현수의 적시타가 터지면서 LG가 선취점을 뽑는데 성공했다. 한편 벼랑 끝에 몰린 한화는 문동주를 단 1이닝만에 내리고 총력전으로 경기를 이어간 가운데 2회말 1사 만루에서 이원석의 내야 땅볼 타점으로 동점을 만들었다. 동점 상황은 오래 가지 않았다. 3회초 LG는 2회부터 올라온 한화의 두 번째 투수 정우주를 상대로 무사 만루 찬스를 잡았고, 오스틴이 삼진을 당했으나 다음 타자 오지환이 희생플라이로 1득점을 올리며 앞서나갔다. 이후 LG는 6회초 공격에서 홍창기가 몸에 맞는 공으로 출루하고 신민재의 희생번트로 만들어진 1사 2루에서 김현수의 적시타, 9회초에는 류현진을 상대로 1사 만루에서 홍창기의 희생플라이로 점수를 내며 달아났다. 반면 한화는 병살타만 3개를 기록하는 등 무기력한 공격을 보여주고 말았다. 선발 톨허스트가 7이닝 1실점으로 호투한 LG는 8회말을 김진성이 무실점으로 막았고 마무리 투수 유영찬이 9회말 2사 후 노시환에게 안타를 허용했으나 채은성을 투수 땅볼로 처리하며 경기를 끝냈다. 시리즈 전적 4승 1패로 LG가 2년 만의 통합 우승과 함께 통산 네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Remove ads
중계 일정
2025년 한국시리즈는 다음과 같은 방송사로부터 중계방송된다.
TV 중계
1차전
2차전
3차전
4차전
5차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