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체계입니다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대한민국의 우편번호는 1970년 7월 1일에 최초제정된 우편번호 제도로, 1988년, 2000년과 2015년에 세 차례 개정되었다.

Thumb
우체국 로고

역사

  • 1970년 7월 1일에 처음 도입하였다. 우체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는데, 동지역이 우편번호를 가질 때는 3자리와 2자리를 병기하여 120-01(서울 서대문구 수색동), 구지역의 경우는 3자리로 100(서울 중구)과 같이 부여하였다. 행정 구역별로 부여된 현행 우편번호와는 달리, 1970년에 시행된 우편번호 체계에서는 철도 운송 선로를 고려하여 우편번호를 ‘우체국별로’ 부여하였다. 따라서 우편번호와 행정 구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큰 우체국은 세 자리 우편번호를, 작은 우체국은 다섯 자리 우편번호를 사용하였는데, 예를 들면 서울중앙우체국은 100, 서울수색우체국은 120-01이었다. 400번대는 결번이었고(4자 금기), 700번대는 군사우편, 800번대는 황해도, 900번대는 평안도, 000번대는 함경도이었다.[1][2]
  • 1988년 2월 1일에 행정구역별로 읍면동 단위의 6자리 우편번호를 새로 부여하였는데, 행정구역 개편과 고속도로 개통 등 운송망의 변화를 반영하였다.

종전에 없던 400번대가 경기.인천 지역으로 할당되며 군사우편 전용인 700번대는 대구 경북지역으로 바뀌었다.

  • 2000년 5월 1일에 행정구역별 우편번호에 우편물 배달이 더욱 용이하도록 집배원의 담당구역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였다. 1988년에 부여한 우편번호를 기본 골자로 하는데, 전국 우편집중국 체제의 완성과 우편물구분 자동화기기의 도입에 따라 집배원별 담당구역과 일치하도록 우편번호를 세분화한 것이다.
  • 2014년 1월부터 시행된 도로명주소법과 더불어 도입된 국가기초구역제도에 따라 6자리 우편번호는 2015년 8월에 폐지되고, 2015년 8월 1일부터 국가기초구역번호 5자리를 우편번호로 사용하고 있다.
Thumb
앞2자리는 국가기초구역번호

역대 우편번호의 표기방식

구조

요약
관점
Thumb
대한민국의 우편번호 지도.

현재 도로명주소를 기반으로 구역을 정하여 번호를 부여한 국가기초구역번호를 사용하고 있다.[3][4] 현재 가장 이른 번호를 사용하는 지역은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일대(삼양로177길~삼양로181길 등)로, 01000번이 부여되어 있다.

국가기초구역 번호 광역시도별
번호 지역
01-09 서울
10-20 경기
21-23 인천
24-26 강원
27-29 충북
30 세종
31-33 충남
34-35 대전
36-40 경북
41-43 대구
44-45 울산
46-49 부산
50-53 경남
54-56 전북
57-60 전남
61-62 광주
63 제주

우편번호 5자리 구조

국가기초구역번호의 앞 세 자리 부여 현황은 아래 표와 같다. 회색으로 칠해진 영역은 사용하지 않는 번호대이다.

자세한 정보 서울, 경기 ...
0123456789
서울 01 강북구도봉구노원구
02 중랑구동대문구성북구
03 종로구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
04 마포구용산구중구성동구광진구
05 광진구강동구송파구
06 강남구서초구동작구
07 동작구영등포구강서구양천구
08 양천구구로구금천구관악구
09
경기 10 김포시고양시파주시
11 연천군포천시동두천시양주시의정부시구리시
12 남양주시가평군양평군여주시광주시하남시
13 하남시성남시과천시안양시
14 안양시광명시부천시시흥시
15 시흥시안산시군포시
16 의왕시수원시용인시
17 용인시이천시안성시평택시
18 평택시오산시화성시
19
20
인천 21 계양구부평구남동구연수구
22 연수구미추홀구중구동구서구
23 강화군옹진군
강원 24 철원군화천군춘천시양구군인제군고성군속초시
25 양양군홍천군횡성군평창군강릉시동해시삼척시
26 태백시정선군영월군원주시
충북 27 단양군제천시충주시음성군진천군증평군
28 괴산군청주시[a]보은군
29 옥천군영동군
세종 30 세종특별자치시
충남 31 천안시아산시당진시서산시
32 서산시태안군홍성군예산군공주시금산군계룡시논산시
33 논산시부여군청양군보령시서천군
대전 34 유성구대덕구동구중구
35 중구서구
경북 36 영주시봉화군울진군영덕군영양군안동시예천군문경시
37 문경시상주시의성군청송군포항시
38 경주시청도군경산시영천시
39 (군위군)[b]구미시김천시칠곡군
40 성주군고령군울릉군
대구 41 동구북구서구중구
42 수성구남구달서구달성군
43 달성군군위군[c]
울산 44 동구북구중구남구울주군
45 울주군
부산 46 기장군금정구북구강서구사상구
47 사상구부산진구연제구동래구
48 해운대구수영구남구동구중구
49 영도구서구사하구
경남 50 함양군거창군합천군창녕군밀양시양산시김해시
51 김해시창원시
52 함안군의령군산청군하동군남해군사천시진주시고성군
53 통영시거제시
전북 54 군산시김제시익산시전주시
55 전주시완주군진안군무주군장수군남원시임실군
56 순창군정읍시부안군고창군
전남 57 영광군함평군장성군담양군곡성군구례군광양시순천시
58 순천시화순군나주시영암군무안군목포시신안군진도군
59 해남군완도군강진군장흥군보성군고흥군여수시
60
광주 61 북구동구남구서구
62 서구광산구
제주 63 제주시서귀포시
닫기
  • 2023년 11월 7일에 고시 제2023-50호, 도로명 주소 연계 우편번호 조정 고시 기준으로 보면 총 우편번호 개수는 34,605개이며 우편번호가 부여된 도로명주소는 총 6,406,401건(2023년 11월 7일 기준) 등록되어 있으며, 국가 기초구역번호의 부여·변경·폐지에 따라 조정된다. (관계법령은 도로명주소법 제7조 6항 및 제8조 5항)
  • 2026년 인천광역시 행정체제 개편으로 중구, 동구는 제물포구, 영종구로 개편, 서구는 서구와 검단구로 분할이 예정되어 우편번호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99999는 반송정보서비스에 가입된 우편물의 반송을 위한 가상 우편번호로 사용되고 있으며, 가상 주소인 "우편집중국 반송정보센터"로 표기된다.[5]
  1. 28100~28299는 옛 청원군 지역에, 28300~28899는 옛 청주시 지역에 할당되어 있다.
  2. 2023년 6월까지
  3. 2023년 7월부터

6자리 우편번호 (1988~2015)

요약
관점
발송용 번호

우편번호 앞 부분의 세 자리는 발송용 번호로, 우편물의 도착지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부여한 번호이다. 우편집중국에서 발송구분용으로 사용한다. 첫째자리는 광역행정구역(특별시·광역시··특별자치도 등) 별로 부여하고, 둘째자리는 주민생활권이나 집중국 권역, 셋째자리는 ·· 별로 부여한다. 둘 이상의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하고, 구가 없는 도농복합시의 경우 통합 전 서로 다르게 써 왔던 앞 3자리를 일치시키는 것이 원칙이나, 우편번호가 중복될 수 있을 경우는 그렇게 하지 않는다. 가령 익산시의 경우 이리시는 570, 익산군은 572를 사용하였으나 뒤 3자리가 겹치는 지역이 없었으므로 구 익산군 지역은 앞 3자리를 572에서 570으로 바꾸고 뒤 3자리는 그대로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평택시의 경우 뒤 3자리가 겹치는 지역이 있었기 때문에 구 평택시, 평택군, 송탄시는 앞 3자리를 서로 다르게 사용한다.

아래 도표는 앞 세 자리 번호별로 지정된 행정 구역을 기록해둔 것이다. 괄호는 폐지된 행정 구역을 나타낸다. 1995년 이전 행정 구역의 우편번호 부여 현황은 우편번호 변경 고시를 참조하였다.[6][7][8][9]

자세한 정보 지역, 번호 ...
지역번호0123456789




10X중구
11X종로구
12X서대문구마포구은평구
13X동대문구중랑구도봉구성동구강동구강남구성북구서초구송파구노원구
14X용산구강북구광진구
15X영등포구관악구구로구금천구동작구강서구양천구


20X춘천시(춘천군)화천군
21X강릉시(명주군)양양군속초시고성군
22X원주시(원주군)횡성군
23X영월군평창군정선군태백시
24X동해시삼척시(삼척군)
25X홍천군인제군양구군
26X철원군
대전 30X동구중구서구유성구대덕구




·
세종
31X금산군공주시(공주군)
32X논산시계룡시부여군서천군
33X천안 동남천안 서북(천안군)아산시
(온양시)
(아산군)세종특별자치시
(연기군)
34X예산군당진시청양군
35X홍성군(서산군)(보령군)보령시
(대천시)
서산시태안군



36X청주 상당청주 흥덕청주 서원청주 청원
(청원군)
진천군괴산군증평군음성군
37X영동군옥천군보은군
38X충주시(중원군)
39X제천시(제천군)단양군
인천 40X중구동구남구부평구서구남동구연수구계양구옹진군


41X고양 일산동고양 일산서고양 덕양파주시김포시인천 강화군
42X부천 원미부천 오정부천 소사광명시안산 단원안산 상록과천시시흥시
43X안양 만안안양 동안군포시의왕시
44X수원 장안수원 권선수원 팔달수원 영통화성시용인 기흥오산시용인 수지용인 처인
45X평택시평택시
(평택군)
안성시평택시
(송탄시)
46X성남 수정성남 중원성남 분당광주시하남시이천시여주시
47X구리시남양주시
(미금시)
(남양주군)양평군가평군
48X의정부시양주시동두천시연천군포천시
광주 50X북구동구서구남구광산구



51X영광군장성군곡성군담양군화순군
52X나주시(나주군)함평군영암군강진군장흥군
53X목포시무안군신안군해남군완도군진도군
54X순천시(승주군)구례군(동광양시)광양시
(광양군)
보성군고흥군
55X여수시여수시
(여천시)
여수시
(여천군)



56X전주 완산전주 덕진완주군임실군진안군무주군
57X익산시
(이리시)
(익산군)군산시(옥구군)김제시(김제군)부안군
58X정읍시
(정주시)
(정읍군)고창군
59X남원시(남원군)순창군장수군

60X중구동구서구사하구영도구동래구남구금정구
61X연제구해운대구수영구부산진구북구사상구강서구기장군



62X김해시(김해군)양산시밀양시(밀양군)
63X창원 마산회원
(마산 회원)
창원 마산합포
(마산 합포)
(창원군)창녕군의령군함안군고성군
64X창원 의창창원 성산창원 진해
(진해시)
65X통영시
(충무시)
(통영군)거제시
(거제군)
(장승포시)
66X진주시(진양군)사천시
(사천군)
(삼천포시)산청군하동군남해군
67X거창군함양군합천군
울산 68X남구중구동구북구울주군
제주 69X제주시제주시
(북제주군)
서귀포시서귀포시
(남제주군)
대구 70X중구동구북구서구달서구남구수성구



71X대구 달성군경산시(경산군)청도군군위군고령군칠곡군성주군
72X
73X구미시(선산군)
74X김천시(금릉군)상주시(상주군)(점촌시)문경시
(문경군)
75X영주시(영풍군)봉화군예천군
76X안동시(안동군)청송군영양군영덕군울진군의성군
77X영천시(영천군)
78X경주시(경주군)
79X포항 남구포항 북구(영일군)울릉군
닫기
배달용 번호

배달용 번호는 우편물을 수신자에게 전달할 때 사용하기 위한 번호로, 집배원별 담당구역과 일치하도록 세분화하여 부여한다. 동이나 면 단위로 구분하나, 그 이하로 건물이나 사서함 단위까지 구분하기도 한다. 법정동을 기준으로 부여하며, 법정동 내에 행정동이 여러개 존재할 때에는 법정동과 행정동 모두 각각 우편번호를 부여한다. 예외적으로 여러개의 법정동에 하나의 행정동이 존재할 경우에는 법정동별로 우편번호를 부여하며, 행정동에는 우편번호를 부여하지 않는다.

공동주택의 경우 1일 500통, 빌딩이나 기관 등의 경우는 1일 300통 이상의 우편 배달 물량이 있을 때에 개별 우편번호를 부여한다. 다량배달처의 우편번호 부여는 해당 지역의 관할 우체국장의 허가가 필요하다.

999-999는 우편반송정보센터에 가맹된 기관의 우편을 위한 반송용 가상번호였으며, "우편집중국 사서함 99호"라고 표기되었다.

5자리 우편번호 (1970~1988)

1986년 기준 우편번호 부여 현황은 1986년 행정구역총람[10]의 1014면 이후에서 확인할 수 있다.

1970년 도입 당시의 우편번호 부여 현황은 1970년 관보 제 5583호[11]에 고시되어 있다.

중계국 번호

아래는 1970년 우편번호 체계가 처음 도입될 시점에서의 중계국 번호이다.

1970~1988 우편번호에서의 중계국 번호

외부 링크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