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3호선
한반도 중부내륙에 세로지르는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 초전삼거리와 평안북도 초산군 초산면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Remove ads
역사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3호선 삼천포 ~ 초산선이 됨.[3]
- 1975년 2월 27일 : 사천군 사천읍 구암리 ~ 십수교 490m 구간 폐지[4]
- 1975년 11월 22일 : 거창군 웅양면 산포리 ~ 금릉군 대덕면 문외리 구간 개통[5]
- 1979년 5월 21일 : 이천군 장호원읍 도계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이천군 이천읍 ~ 광주군 실촌면 곤지암리 ~ 광주군 광주면 ~ 성남시 갈현동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가락동 ~ 잠실교 ~ 구의동 79.5 km 구간 개통[6]
- 1981년 6월 24일 : 기점을 '경상남도 삼천포시'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삼천포 ~ 초산선'에서 '남해 ~ 초산선'이 됨.[7]
- 1981년 8월 5일 : 국도로 승격된 남해군 삼동면 ~ 삼천포시 경계 31.3 km 구간 개통[8]
- 1981년 8월 12일 : 대통령령 제10371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31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9]
- 1987년 5월 26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중원군 상모면 온천리 구간 폐지[10]
- 1992년 1월 17일 : 괴산군 연풍면 행촌리 446m 구간 개통, 기존 160m 구간 폐지[11]
- 1995년 2월 11일 : 여주군 가남면 태평리 ~ 건장리 1.53 km 구간 개통[12]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상남도 남해군 삼동면'에서 '경상남도 남해군 미조면'으로 변경함.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 변경[13]
1996년 7월 1일 노선 변경 내역
- 1996년 11월 11일 : 감곡사거리 ~ 장호원고가차도 ~ 샘재고개삼거리 (음성군 감곡면 오향리 ~ 이천시 장호원읍 장호원리) 구간 개통[14]
- 1997년 8월 30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동두천시 하봉암동 ~ 연천군 전곡읍 은대리) 8.0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06 km 구간 폐지[15]
- 1998년 1월 12일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 풍동 17.5 km 구간 개통, 기존 18.9 km 구간 폐지[16]
- 1998년 12월 31일 : 진주 ~ 단성간 도로(진주시 유곡동 ~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20 km 구간 확장 개통[17]
- 1999년 4월 28일 : 창선우회도로(남해군 창선면 당저리 ~ 동대리) 2.7 km 구간 개통, 기존 380m 구간 폐지[18]
- 2000년 5월 3일 : 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군 회천읍 봉양리 20.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9]
- 2001년 9월 22일 : 점촌 ~ 문경간 도로(문경시 마성면 모곡리 ~ 문경읍 진안리) 6.20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7.5 km 구간 폐지[20]
- 2001년 12월 20일 : 충주시 주덕읍 신중리 ~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20.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9.326 km 구간 폐지[21]
- 2001년 12월 29일 : 동두천 ~ 전곡간 도로(연천군 전곡읍 전곡리 ~ 은대리) 1.0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1 km 구간 폐지[22][23]
- 2002년 12월 28일 :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신양리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리 10.12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8.5 km 구간 폐지[24]
- 2003년 4월 10일 : 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600m 구간 확장 개통[25]
- 2003년 4월 28일 : 창선·삼천포대교(남해군 창선면 대벽리 ~ 사천시 동서동) 3.4 km 구간 개통[26]
- 2003년 12월 28일 : 이천시 장호원읍 오남리 ~ 진암리 4.7 km 구간 확장 개통[27]
- 2003년 12월 29일 :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 ~ 충주시 상모면 안보리 8.3 km 구간 확장 개통[28]
- 2004년 7월 29일 : 사천우회도로 일부(사천시 축동면 배춘리 ~ 사천읍 구암리) 1.94 km 구간 임시 개통[29]
- 2004년 12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대조리 ~ 나한리) 1 km 구간 확장 개통[30]
- 2005년 1월 27일 : 거창읍 통과 구간을 폐지하고 거창읍 송정리 ~ 주상면 성기리 구간으로 노선 변경[31][32]
- 2005년 9월 15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 함창 ~ 불정 구간 일부(상주시 함창읍 나한리) 4.42 km 구간 확장 개통[33]
- 2005년 11월 9일 : 진주시 집현면 봉강리 ~ 평거동 9.6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4]
- 2005년 12월 12일 : 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상주시 청리면 원장리 24.28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5],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18.4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6],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8.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7]
- 2006년 10월 2일 : 문경시 국도대체우회도로(함창 ~ 불정간 도로, 문경시 공평동 ~ 불정동) 5.2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상주시 함창읍 윤직리 ~ 문경시 불정동 9.6 km 구간 폐지[38]
- 2007년 8월 14일 : 충주시 풍동 ~ 용두동 7.24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9]
- 2007년 10월 26일 : 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이천시 부발읍 응암리 47.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0]
- 2008년 12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의정부시 장암동 장암 나들목 ~ 용현동 용현 나들목 3 km 구간 임시 개통, 의정부시 자일동 자금 나들목 ~ 양주시 고읍동 고읍 나들목 5 km 구간 서울방향만 임시 개통[41]
- 2010년 3월 15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 고읍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양주시 고읍동) 5 km 구간 양주방향 임시 개통[42]
- 2010년 4월 2일 : 장암 ~ 청산 도로 양주시 봉양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15.1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3]
- 2010년 8월 25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9.5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4]
- 2010년 9월 17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남산리 ~ 구례리) 7.5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및 기존 8.2 km 구간 폐지[45], 사천시 노룡동 ~ 사천읍 사주리 10.1 km 구간 확장 개통[46]
- 2010년 11월 23일 : 마리 ~ 송정간 도로(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 거창읍 송정리) 3.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5.2 km 구간 폐지[47], 안의 ~ 마리간 도로(함양군 안의면 석천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11.15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함양군 안의면 신안리 ~ 거창군 마리면 말흘리 8.24 km 구간 폐지[48]
- 2010년 12월 15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구례 교차로 ~ 유점 교차로) 3.7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 기존 3.9 km 구간 폐지[49]
- 2010년 12월 23일 : 산청 ~ 수동간 도로(산청군 생초면 하촌리 ~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4.8 km 구간 부분 확장 개통[50], 수동 ~ 안의간 도로(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 안의면 석천리) 12.9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7.49 km 구간 폐지[51],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사천시 대방동 ~ 노룡동) 7.9 km 구간 확장 개통[52]
- 2010년 12월 30일 : 양주시 회암동 ~ 봉양동 3.9 km 구간 부분 개통[53]
- 2011년 3월 28일 : 삼천포 ~ 사천간 도로 1공구 개통으로 기존 사천시 대방동 ~ 송포동 8.0 km 구간 폐지[54]
- 2011년 4월 28일 : 김천 ~ 어모간 도로(김천시 어모면 구례리 ~ 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780m 구간 확장 개통[55]
- 2011년 6월 10일 : 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4.0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56]
- 2011년 11월 18일 : 장암 ~ 청산 도로 자금 나들목 의정부 → 양주 방향 램프(의정부시 자일동) 조기 개통[57],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 ~ 회암 나들목(양주시 고읍동 ~ 회암동) 4.1 km 구간 부분 개통[58]
- 2012년 2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내동면 독산리 ~ 정촌면 화개리) 3.4 km 구간 확장 개통[59]
- 2012년 4월 8일 : 장암 ~ 청산 도로 고읍 나들목(양주시 고읍동) 일부 램프 개통[60]
- 2012년 6월 29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유곡 ~ 정촌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내동면 독산리) 3.3 km 구간 확장 개통[61]
- 2012년 9월 25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남면 초곡리 ~ 개령면 서부리) 3.0 km 구간 확장 개통[62]
- 2012년 9월 2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갈현동 ~ 광주시 직동 4.8 km 구간 임시 개통[63]
- 2012년 12월 26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양천 ~ 월곡간 도로(김천시 양천동 ~ 농소면 월곡리) 5.42 km 구간 확장 개통[64]
- 2013년 4월 30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광주시 장지동 ~ 초월읍 대쌍령리 5.7 km 구간 임시 개통[65]
- 2013년 12월 24일 : 김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농소 ~ 어모간 도로(김천시 농소면 월곡리 ~ 어모면 옥율리) 12.78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김천시 양천동 ~ 어모면 옥율리 8.5 km 구간 폐지[66]
- 2013년 12월 27일 : 어모 ~ 상주간 도로(상주시 공성면 거창리 ~ 가장동) 15.7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5.1 km 구간 폐지[67]
- 2013년 12월 31일 : 우수 교차로(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진주 방향 램프 개통[68]
- 2014년 1월 10일 : 장암 ~ 청산 도로 민락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자일동 ~ 민락동) 2.1 km 구간 서울방향 임시 개통[69]
- 2014년 9월 5일 : 장암 ~ 청산 도로 은현 나들목을 제외한 봉양 나들목 ~ 동두천 나들목(양주시 봉양동 ~ 동두천시 상패동) 6.2 km 구간 확장 개통[70]
- 2014년 12월 29일 : 함양 ~ 수동간 도로(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생초면 평촌리) 3.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 ~ 수동면 화산리 7.43 km 구간 폐지[71]
- 2014년 12월 30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봉양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양주시 봉양동) 20.7 km 구간 임시 개통[72]
- 2015년 2월 10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집현 ~ 유곡간 도로(진주시 이현동 ~ 집현면 냉정리) 1.45 km 구간 확장 개통[73]
- 2015년 3월 25일 : 진산교 서쪽 진출로(거창군 마리면 영승리) 462m 구간 신설 개통[74]
- 2015년 4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성남시 하대원동 ~ 갈현동 1 km 구간과 광주시 직동 ~ 태전동 3.1 km 구간 임시 개통[75]
- 2015년 4월 29일 :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 하강리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을 김천시 구성면 하강리 접속구간을 제외해 9.3km로 축소[76]
- 2015년 8월 7일 : 장암 ~ 청산 도로 장암 나들목 ~ 자금 나들목(의정부시 장암동 ~ 자금동) 8.1 km 구간 임시 개통[77]
- 2015년 12월 21일 : 장암 ~ 청산 도로 봉양 교차로 일부 램프(양주시 봉양동) 구간 개통[78], 산청군 오부면 양촌리에 양촌 교차로 신설[79]
- 2015년 12월 29일 : 지례 ~ 양천간 도로(김천시 지례면 관덕리 ~ 양천동) 17.06 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7.6 km 구간 폐지[80]
- 2016년 3월 15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의 완공으로 기존 진주시내(진주시 정촌면 화개리 ~ 이현동) 10.64 km 구간 폐지[81]
- 2016년 4월 8일 : 진주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진주시 시내 구간을 해제하고 국도대체우회도로 구간으로 노선 변경[82]
- 2016년 11월 1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2공구 쌍동 나들목 ~ 초월 나들목(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선동리) 2.8 km 구간 개통[83]
- 2017년 1월 25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8.1 km 구간 개통[84], 성남 ~ 장호원 도로 5공구 백사 교차로 ~ 부발 교차로(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 부발읍 죽당리) 6.1 km 구간 개통[85]
- 2017년 5월 1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연천군 신서면 도신리) 2.7 km 구간 개통[86]
- 2017년 8월 14일 : 연천 ~ 신탄리간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연천군 연천읍 동막리 ~ 신서면 도신리 9.0 km 구간 폐지[87]
- 2017년 9월 8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1공구 여수 교차로 ~ 대원 교차로(성남시 중원구 여수동 ~ 도촌동) 2.8 km 구간 개통[88]
- 2017년 12월 31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3 ~ 4공구 초월 나들목 ~ 백사 교차로(광주시 초월읍 선동리 ~ 이천시 백사면 모전리) 15.1 km 구간과 5공구 부발 교차로 ~ 응암 교차로(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 응암리) 6.4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광주시 초월읍 대쌍령리 ~ 이천시 부발읍 죽당리 30 km 구간 폐지[89]
- 2018년 5월 23일 : 성남 ~ 장호원 도로 개통으로 인해 기존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 갈현동 6.0 km 구간 폐지[90]
- 2018년 7월 5일 : 상패 ~ 청산 도로 동두천 나들목 ~ 소요산 나들목(동두천시 상패동 ~ 안흥동) 3.1 km 구간 개통[91]
- 2018년 11월 1일 : 장암고가교(의정부시 장암동 ~ 신곡동) 1.0 km 구간 동두천방향 개통[92]
- 2020년 1월 9일 : 남해군 삼동면 동천리 540m 구간 개량 개통[93], 기존 구간 폐지[94]
- 2020년 12월 21일 : 송정1, 물건3지구 위험도로(남해군 미조면 송정리) 250m 구간 개량 개통[95], 기존 300m 구간 폐지[96]
- 2022년 10월 13일 : 주상 ~ 한기리간 도로(거창군 주상면 성기리 ~ 김천시 대덕면 대리) 12.71 km 구간 일부 개통[97], 기존 15.7 km 구간 폐지[98]
- 2022년 12월 30일 : 한기리 ~ 교리간 도로(김천시 대덕면 화전리 ~ 지례면 관덕리) 총 5.2 km 구간 일부 개통, 기존 김천시 대덕면 관기리 1.1 km 구간 폐지[99]
- 2023년 5월 31일 : 동두천시 국도대체우회도로 안흥 ~ 청산간 도로(동두천시 안흥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6.75 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구간(의정부시 호원동 ~ 연천군 청산면 초성리) 31.9 km 구간 폐지[100][101]
- 2023년 6월 16일 : 주상 ~ 한기리간 도로 개통 (김천시 대덕면 화전리 ~ 지례면 관덕리) 구간 3.6km 구간 개통으로 1.1km구간 폐지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요약
관점
대한민국 구간
- 남해군 (미조면 · 삼동면 · 창선면) - 사천시 (늑도동 · 대방동 · 실안동 · 송포동 · 신벽동 · 녹룡동 · 용현면 · 사남면 · 사천읍 · 축동면) - 진주시 (정촌면 · 내동면 · 평거동 · 이현동 · 판문동 · 명석면) - 산청군 (신안면 · 산청읍 · 오부면 · 생초면) - 함양군 (수동면 · 안의면) - 거창군 (마리면 · 거창읍 · 주상면 · 웅양면)
- 김천시 (대덕면 · 지례면 · 구성면 · 양천동 · 감천면 · 덕곡동 · 농소면 · 율곡동 · 남면 · 개령면 · 어모면) - 상주시 (공성면 · 청리면 · 양촌동 · 지천동 · 가장동 · 신봉동 · 만산동 · 죽정동 · 초산동 · 부원동 · 초산동 · 사벌국면 · 외서면 · 사벌국면 · 공검면 · 이안면 · 함창읍) - 문경시 모전동 - 상주시 함창읍 - 문경시 (공평동 · 유곡동 · 불정동 · 호계면 · 불정동 · 마성면 · 문경읍)
- 이천시 (장호원읍 · 설성면) - 여주시 가남읍 - 이천시 (대월면 · 부발읍 · 대월면 · 부발읍 · 쌍령동 · 역동 · 장지동 · 관고동 · 사음동 · 신둔면) - 광주시 (곤지암읍 · 초월읍 · 쌍령동 · 역동 · 장지동 · 중대동 · 삼동) - 성남시 (중원구 (갈현동 · 촌동 · 하대원동 · 여수동 · 성남동) - 수정구 (수진동 · 태평동 · 복정동))
- 송파구 (장지동 · 문정동 · 가락동 · 송파동 · 신천동) - 잠실대교 - 광진구 (자양동 · 구의동 · 중곡동) - 중랑구 (면목동 · 상봉동 · 중화동 · 묵동) - 노원구 (공릉동 · 하계동 · 중계동 · 상계동)
DMZ 이후(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Remove ads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경상남도



경상북도
- 2013년 이설 이전 구간
- 2015년 이설 이전 구간
충청북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남 지역)
- 기존 구간 (2014년 이전 노선)
- 광주시 쌍동 분기점 - 초월읍행정복지센터 - 소방파출소앞 - 도평리입구 - 대쌍고개 - 쌍령마을앞 - 경안교 - 광주 나들목 - 광주2육교 - 장지 나들목 - 선광주유소앞 - 갈마터널(343m) - 갈현 교차로 - 갈현 나들목 - 대원 나들목
- 기존 구간 (2017년 이전 노선)
- 이천시 응암 교차로 - 이화그린아파트입구 교차로 - 가산삼거리 - 동원삼거리 - 도드람조합삼거리 - 대월삼거리 - 사동삼거리 - 아미사거리 - 이천사동중학교삼거리 - 현대엘리베이터삼거리 - SK하이닉스사거리 - 아미타운삼거리 - 이천 나들목 - 청구아파트삼거리 - 대상㈜삼거리 - 진우아파트삼거리 - 거평아파트삼거리 - 신하초교후문삼거리 - 삼익아파트삼거리 - 신하삼거리 - 성광아파트삼거리 - OB삼거리 - 이마트후레쉬센터사거리 - 복하 교차로 - 복하교 - 진리삼거리 - 신진리사거리 - 설봉삼거리 - 이천사거리 - 공설운동장삼거리 - 증일사거리 - 이천육교 - 엑스포삼거리 - 설봉아파트삼거리 - 설봉공원삼거리 - 소방서삼거리 - 기치미고개 - 기치미고개삼거리 - 사음1동삼거리 - 콘티넨탈삼거리 - 돌고개 - 도예촌사거리 - 사음2동삼거리 - 수남저수지삼거리 - 사음동사거리 - 근천교 - 소정 교차로 - 신둔면행정복지센터 교차로 - 신둔삼거리 - 신둔사거리 - 남정오거리 - 수광삼거리 - 넉고개
- 광주시 넉고개 - 동원대학앞 교차로 - 신촌리 - 광주공업사앞 교차로 - 수양마을입구 교차로 - 구양교 - 농수산물창고앞 교차로 - 중부골프장앞 교차로 - 목방마을앞 교차로 - 곤지암사거리 - 신대사거리 - 곤지암교 - 금호주유소앞 교차로 - 곤지암 나들목 - 빙그레입구 - 나이키앞 교차로 - 렉스콘앞 - 경기주유소앞 교차로 - 쌍동 분기점
서울특별시
- 기존 구간 (1996년 이전 노선)
- 성동구 군자교 교차로 - 군자교
- 성동구 / 동대문구 군자교 - 장한평역 교차로 - 서울도시철도공사사거리 - 답십리역사거리 - 신답역 교차로
- 동대문구 동대문구청 - 동대문구청 교차로 - 시립동부병원앞 교차로 - 동진교 - 신설동역 교차로 - 대광초교삼거리
- 동대문구 / 성북구 대광초교삼거리 - 대광고등학교 - 안암제2교 - 안암오거리 - 고대앞사거리 - 고려대학교 - 고대앞삼거리
- 성북구 고대앞삼거리 - 고려대앞 교차로 - 사대부고앞 교차로 - 종암사거리 - 서울북공업고등학교 - 미아사거리
- 강북구 미아사거리 - 미아사거리역 - 삼양입구사거리 - 도봉세무서 - 미아역 - 수유사거리 - 수유역 - 강북구청 교차로 - 우이교
- 도봉구 우이교 - 창동시장입구사거리 - 쌍문역 - 정의여중입구 교차로 - 도봉보건소 교차로 - 방학교 - 방학사거리 - 방학역 - 신도봉사거리 - 도봉역사거리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북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도로명
- 경상남도
- 남해군 미조면 초전삼거리 ~ 창선면 창선대교 : 동부대로
- 사천시 동서동 창선대교 ~ 대방 교차로 : 삼천포대교로
- 사천시 동서동 대방 교차로 ~ 축동면 사천 나들목 : 사천대로
- 사천시 축동면 사천 나들목 ~ 진주시 정촌면 화개 교차로 : 진주대로
- 진주시 정촌면 화개 교차로 ~ 이현동 명석 교차로 : 순환로
- 진주시 이현동 명석 교차로 ~ 명석면 도내고개 : 진주대로
- 산청군 신안면 도내고개 ~ 생초면 생초터널 : 산청대로
- 함양군 수동면 생초터널 ~ 거창군 거창읍 송정 교차로 : 거함대로
- 거창군 거창읍 송정 교차로 ~ 주상면 주상 교차로: 웅양로
- 거창군 주상면 주상 교차로 ~ 웅양면 우두령터널: 거창김천로
- 경상북도
- 김천시 대덕면 우두령터널 ~ 화전 교차로: 거창김천로
- 김천시 대덕면 화전 교차로 ~ 지례면 신평 교차로 : 남김천대로
- 김천시 지례면 신평 교차로 ~ 양금동 양하 교차로 : 구성지례로
- 김천시 양금동 양하 교차로 ~ 양천 교차로 : 남김천대로
- 김천시 양금동 양천 교차로 ~ 어모면 어모 교차로 : 김천순환로
- 김천시 어모면 어모 교차로 ~ 상주시 함창읍 오동 교차로 : 경상대로
- 상주시 함창읍 오동 교차로 ~ 문경시 문경읍 이화령터널 : 문경대로
- 충청북도
- 괴산군 연풍면 이화령터널 ~ 충주시 달천동 풍동 교차로 : 중원대로
- 충주시 달천동 풍동 교차로 ~ 용두 교차로 : 서부순환대로
- 충주시 달천동 용두 교차로 ~ 음성군 감곡면 청미천교 : 중원대로
- 경기도
- 이천시 장호원읍 청미천교 ~ 진암삼거리 : 중원대로
- 이천시 장호원읍 진암삼거리 ~ 부발읍 응암 교차로 : 경충대로
- 이천시 부발읍 응암 교차로 ~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청교차로 : 성남이천로
- 성남시 중원구 성남시청교차로 ~ 수정구 복정교 : 성남대로
- 서울특별시
- 송파구 복정교 ~ 복정역 교차로 : 성남대로
- 송파구 복정역 교차로 ~ 잠실대교 : 송파대로
- 광진구 잠실대교 ~ 아차산역 교차로 : 자양로
- 광진구 아차산역 교차로 ~ 군자교 교차로 : 천호대로
- 광진구 군자교 교차로 ~ 노원구 수락리버시티공원 : 동일로
- 경기도
- 의정부시 호원동 수락리버시티공원 ~ 장암 나들목 : 동일로
- 의정부시 호원동 장암 나들목 ~ 연천군 청산면 초성 교차로 : 신평화로
- 연천군 청산면 초성 교차로 ~ 연천군 신서면 대광리 : 평화로
-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갤러리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