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43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국도 제43호선
Remove ads

국도 제43호선 (세종 ~ 고성선, 國道第四十三號 世宗高城線)은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 모개고가차도에서 강원도 고성군 고성읍을 잇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이다. 이 국도는 철원군 군사분계선에서 끊어져 있다.

Thumb
포천 인근을 지나는 국도 제43호선
Remove ads

역사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3호선 서울 ~ 고성선이 됨.[2]
  • 1981년 3월 14일 : 기점을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에서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현.경기도 화성시 향남읍)으로 연장, 종점을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고성면'에서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고성읍'으로 변경함. 이에 따라 '서울 ~ 고성선'에서 '발안 ~ 고성선'이 됨.[3]
  • 1981년 4월 6일 : 국도로 승격된 화성군 향남면 발안리 (발안오거리) ~ 의정부시 의정부동 (의정부역앞) 96.2 km 구간 개통[4]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105 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5]
  • 1988년 2월 22일 : 기존 지정 구간인 의정부시 금오동, 자일동, 포천군 소흘면 송우리, 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기지리 구간 폐지[6]
  • 1988년 2월 23일 : 기존 지정 구간인 구리시 교문동 구간 폐지[7]
  • 1990년 3월 31일 : 기존 지정 구간인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신철원리 551m 구간,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기지리 108m 구간 폐지[8]
  • 1996년 1월 12일 : 학포교(철원군 김화읍 학사리) 120m 구간 재가설 개통[9]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에서 충청남도 연기군 전의면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연기 ~ 고성선'이 됨.[10]
  • 1996년 10월 21일 : 철원군 갈말읍 강포리 ~ 문혜리 6.8 km 구간 개통[11]
  • 1997년 6월 30일 : 포천우회도로(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가채리) 4.19 km 구간 개통 및 기존 4.6 km 구간 폐지, 양문우회도로(포천군 영중면 양문리) 1.8 km 구간 개통 및 기존 구간 폐지[12]
  • 1997년 12월 14일 : 수원 ~ 수지간 도로(수원시 팔달구 이의동 ~ 용인시 수지읍 죽전리) 4.63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04 km 구간 폐지[13]
  • 1997년 12월 26일 : 광주 ~ 하남시계간 도로(광주군 광주읍 태전리 ~ 중부면 엄미리) 12.26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3.87 km 구간 폐지[14]
  • 1999년 11월 30일 : 포천 ~ 신철원간 도로(포천군 영북면 문안리 ~ 운천리) 3.81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15]
  • 2001년 3월 13일 : 수지 ~ 광주간 도로(용인시 수지읍 죽전리) 2.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95 km 구간 폐지[16]
  • 2002년 1월 7일 : 수지 ~ 광주간 도로(용인시 죽전동 ~ 광주시 오포읍 고산리) 11.7 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용인시 죽전동 ~ 광주시 역동 구간 폐지[17]
  • 2003년 7월 31일 : 연기군 소정면 운당리 ~ 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8.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8]
  • 2005년 8월 12일 : 문혜 ~ 지경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90m 구간 폐지[19]
  • 2005년 12월 19일 : 천안시 국도대체우회도로(아산시 배방면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11.89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0]
  • 2006년 12월 13일 :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14.3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1]
  • 2007년 1월 19일 : 문혜 ~ 김화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 김화읍 학사리) 12.52 km 구간 신설 개통[22]
  • 2008년 1월 11일 :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둔포면 봉재리 5.96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3]
  • 2009년 10월 29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분천 ~ 송산간 도로, 화성시 안녕동) 1.0 km 일부 2차로 구간 임시 개통[24]
  • 2010년 4월 5일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봉재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5.9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5]
  • 2012년 4월 4일 :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양교리 11.27 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6]
  • 2012년 6월 29일 : 퇴계원 나들목 연결도로(구리시 사노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4 km 구간 개통[27]
  • 2012년 9월 28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화성시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2.16 km 구간 임시 개통, 단 망포지하차도 상부도로 및 연결도로는 미개통.[28]
  • 2012년 11월 26일 :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 태산리 ~ 연기면 수산리 5.22 km 구간 개통[29]
  • 2012년 12월 28일 : 소정 ~ 배방간 도로(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8.9 km 구간 신설 개통[30]
  • 2012년 12월 3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화성시 안녕동 ~ 진안동) 2.7 km 구간 신설 개통, 단 진안 교차로 연결로는 미개통.[31]
  • 2013년 6월 20일 :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산울리 ~ 고운동 1.24 km 구간 개통[32]
  • 2013년 12월 24일 : 기점을 충청남도 연기군 소정면에서 세종특별자치시 아름동으로 연장. 이에 따라 '세종 ~ 고성선'이 됨.[33]
  • 2015년 3월 28일 : 배방 ~ 음봉간 도로(아산시 배방읍 갈매리 ~ 음봉면 송촌리 송촌 교차로) 11.9 km 구간 신설 개통[34]
  • 2015년 6월 30일 : 분천 ~ 송산간 도로(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 정남면 보통리) 2.8 km 구간 신설 개통[35]
  • 2015년 8월 5일 : 분천 ~ 송산간 도로 중 교차로 진입로(경기도 화성시 안녕동) 240m 구간 개통[36]
  • 2015년 10월 30일 : 분천 ~ 송산간 도로(화성시 정남면 보통리 ~ 안녕동) 4.5 km 구간 신설 개통[37]
  • 2016년 2월 5일 : 망포 교차로 연결로(화성시 반월동 ~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 2.16 km 구간 신설 개통[38]
  • 2016년 5월 30일 : 광전IC ~ 의정부간 도로(남양주시 별내면 광전리 ~ 청학리) 3.74 km 구간 확장 개통[39]
  • 2016년 11월 19일 : 음봉 ~ 팽성간 도로(충청남도 아산시 음봉면 송촌리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11.93 km 구간 신설 개통[40], 팽성 ~ 오성간 도로(평택시 팽성읍 노양리 ~ 오성면 숙성리) 11.27 km 구간 신설 개통[41]
  • 2017년 7월 11일 : 수원시 국도대체우회도로 개통으로 화성시 ~ 수원시 구간 경유지 변경[42]
  • 2020년 1월 28일 : 화성향남2지구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화성시 향남읍 방축리 ~ 하길리 2.4 km 구간 노선 변경, 기존 화성시 향남읍 하길리 2.0 km 구간 폐지[43]
  • 2020년 12월 31일 : 의정부 ~ 소흘간 도로(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 송우리) 7.49km 구간 확장 개통[44]
Remove ads

주요 경유지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Remove ads

노선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남 지역)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2017년 이전 노선)

서울특별시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경기도 (서울특별시 이북 지역)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기존 구간 (1996년 이전의 노선[46])
  • 남양주시 사노 나들목 - 퇴계원사거리 - 검문소사거리 - 별내지하차도 - 남별내 나들목, 동별내 나들목 - 광전 나들목 - 청학리입구 - 청학로 - 의정부시계

강원특별자치도

자세한 정보 이름, 접속 노선 ...

DMZ이후 (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구간

강원도
Remove ads

도로명

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자세한 정보 도로명, 시점 ...
Remove ads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