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서해안고속도로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서해안고속도로
Remove ads

서해안고속도로(西海岸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5호선)는 전라남도 무안군을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금천구를 종점으로 하여 서해안을 따라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간략 정보 고속국도, 총연장 ...
Remove ads
자세한 정보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
자세한 정보 2001년 이전 고속국도 노선 (기종점은 2001년 8월 24일 이전을 기준으로 함) ...

2001년 12월 21일 전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 날 오후 3시,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서김제 나들목에서 개통식을 가졌다.[1]

남북 제1축에 해당하는 서해안권 지역을 잇는 대표적인 고속도로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를 경유하는 것이 특징이다. 지선 고속도로로는 남북형 노선으로 2009년 5월 28일에 개통한 충청남도 서천군공주시를 잇는 서천공주고속도로와, 2013년 3월 28일에 개통한 경기도 평택시시흥시를 잇는 평택시흥고속도로가 있다.

서해안고속도로의 대표적인 교통 시설물로는 경기도충청남도를 잇는 연장 7.3 km의 서해대교가 있다. 행담도를 가로지르며, 대한민국에서 총 연장으로는 세 번째, 교량 단일 길이만으로는 두 번째 규모다.

Remove ads

역사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전

  • 1991년 7월 25일 :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구간을 고속국도 제11호선 서해안고속도로(서해안선)으로 지정
  • 1991년 8월 3일 : 당진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영천리 ~ 반촌리 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군산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산월리 ~ 죽산리 9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2],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1.5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 ~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27.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4]
  • 1991년 12월 : 능해 나들목 ~ 목포 나들목 전 구간 착공.
  • 1992년 4월 29일 :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 ~ 안산시 양상동 구간을 고속국도 제16호선 시흥 ~ 안산고속도로(시흥 ~ 안산선)으로 지정[5]
  • 1992년 5월 8일 : 시흥 ~ 안산고속도로 논곡 ~ 안산 구간 신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 장하동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6]
  • 1992년 12월 1일 : 양상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700m 구간 도로구역 결정[7], 시흥 ~ 안산고속도로 시흥 ~ 논곡 구간 신설을 위해 서울특별시 구로구 시흥동 ~ 경기도 시흥시 조남동 10.4km 구간 도로구역 결정[8]
  • 1992년 12월 31일 : 서해안고속도로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부곡동 ~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59.3km 구간, 충청남도 서천군 종천면 ~ 전라북도 옥구군 대야면 23.8km 구간,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면 ~ 함평군 엄다면 22.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9]
  • 1993년 2월 5일 : 군자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로 구조 변경에 의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22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0]
  • 1993년 11월 : 서해대교 착공
  • 1994년 7월 7일 : 능해 나들목 ~ 안산 분기점 27.2km 구간 개통[11]
  • 1994년 8월 30일 : 1996년 4월까지 목포 나들목 건설을 위해 전라남도 목포시 대양동 ~ 무안군 삼향면 유교리 250m 구간 도로구역 결정[12]
  • 1995년 4월 1일 : 1995년 12월까지 목감 나들목 건설을 위해 경기도 시흥시 목감동 9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3]
  • 1995년 9월 1일 : 1998년 12월까지 송악 나들목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복운리 2.1km 구간 도로구역 결정, 초대2육교 건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초대리 1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14][15]
  • 1995년 12월 11일 : 1997년 12월까지 일로 나들목 구조 변경으로 인해 전라남도 무안군 일로읍 지장리 ~ 삼향면 맥포리 1.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6]
  • 1995년 12월 28일 : 안산 분기점 ~ 일직 분기점 9.1km 구간 개통[17]
  • 1996년 1월 12일 : 1996년 12월까지 서서울 요금소 건설을 위해 경기도 안산시 장하동 942m 구간 도로구역 변경[18], 안산 분기점 확장 공사로 인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 부곡동 3.52km 구간 도로구역 변경[19]
  • 1996년 1월 26일 : 군산 나들목 국도 제26호선 접속부 입체화 공사로 인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산월리 90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0]
  • 1996년 3월 7일 : 1996년 12월까지 신갈 ~ 안산 고속도로 확장 공사로 인해 팔곡 분기점 ~ 둔대 분기점 연결도로(경기도 군포시 대야미동 ~ 안산시 건건동) 85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1]
  • 1996년 3월 9일 : 1996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요금소 건설로 인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송라리 54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2]
  • 1996년 7월 1일 : 기점을 '인천직할시 남구 용현동'에서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으로 변경, 시흥 ~ 안산고속도로의 기점을 '경기도 광명시 소하1동'에서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으로 연장하면서 서울 ~ 안산고속도로(서울 ~ 안산선)으로 노선명 변경[23]
  • 1996년 7월 9일 : 금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동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석수동 4.42km 구간 도로구역 결정[24]
  • 1996년 7월 26일 : 2000년 12월까지 행담도휴게소 주차장 설치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신평면 매산리 5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5]
  • 1996년 11월 8일 : 1999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을 익산 ~ 전주고속도로 연결을 대비한 북군산 분기점으로 변경하기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2.06km 구간 도로구역 변경[26][27]
  • 1996년 12월 17일 : 안산 분기점 ~ 포승 나들목 44.4km 구간 개통 및 팔곡 분기점 개통[28]
  • 1996년 12월 19일 : 월곶 나들목 개량 공사로 인해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478m 구간을 947.3m로 도로구역 변경[29]
  • 1997년 1월 6일 : 서서울 요금소 신설과 함께 통행료 징수 개시[30]
  • 1997년 5월 26일 : 2002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 서천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1]
  • 1997년 5월 27일 : 1998년 12월까지 군산휴게소 (상행) 설치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나포면 서포리 ~ 성산면 여방리 1.48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2]
  • 1997년 10월 25일 : 2001년 12월까지 서울 ~ 안산고속도로 일직 분기점 ~ 목감 나들목 구간 확장 및 남서울역 나들목 신설을 위해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 시흥시 목감동 3.025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3]
  • 1998년 4월 3일 : 2000년 12월까지 당진 나들목 개량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1.4km 구간 도로구역 변경[34]
  • 1998년 5월 4일 : 2002년 12월까지 군산 나들목 ~ 무안 나들목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결정[35]
  • 1998년 8월 6일 : 2001년 12월까지 안산 나들목 이설 및 요금소 설치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양상동 1.5km 구간을 안산시 양상동 ~ 화정동 1.5km로 도로구역 변경[36]
  • 1998년 8월 25일 : 무안 나들목 ~ 목포 나들목 23.2km 구간 개통[37]
  • 1998년 10월 30일 : 서천 나들목 ~ 동군산 나들목 23.6km 구간 개통[38]
  • 1998년 11월 12일 : 2000년 12월까지 매송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원리 ~ 안산시 팔곡2동 590m 구간 도로구역 변경[39]
  • 1998년 11월 25일 : 일직 분기점 ~ 금천 나들목 5.2km 구간 개통[40]
  • 1998년 12월 1일 : 목감 나들목 개통[41]
  • 1999년 5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남동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인천광역시 남동구 남촌동 980m 구간 도로구역 변경[42]
  • 1999년 7월 6일 : 2001년 12월까지 부안휴게소, 대산휴게소 (상행), 함평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3]
  • 1999년 9월 10일 : 2001년 12월까지 대천휴게소 (상행), 서천휴게소 (상행) 설치 공사를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44], 서안산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및 요금소 설치 공사를 위해 경기도 안산시 선부동 1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5]
  • 1999년 10월 19일 : 2001년 12월까지 대산휴게소 (하행), 함평휴게소 (하행) 설치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6]
  • 1999년 11월 26일 : 조남 분기점 개통
  • 2000년 3월 7일 : 2001년 12월까지 고창 나들목 접속부 입체화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구역 변경[47]
  • 2000년 6월 1일 : 서해대교를 포함한 서평택 나들목 ~ 송악 나들목 구간과 직결을 위해 포승 나들목 폐쇄[48][49]
  • 2000년 6월 5일 : 2001년 12월까지 웅천 나들목 신설 공사로 인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1.9km 구간 도로구역 변경[50]
  • 2000년 11월 10일 : 서해대교를 포함한 포승 나들목 ~ 당진 나들목 18.8km 구간 개통[51][52]
  • 2000년 12월 9일 : 2001년 12월까지 당진 ~ 서천 구간 신설을 위해 충청남도 당진군 송악면 반촌리 ~ 서천군 종천면 산천리 103.7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53]
  • 2001년 4월 20일 : 2001년 12월까지 군산 ~ 무안 구간 신설을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54]
  • 2001년 8월 24일 : 2001년 12월까지 줄포 나들목 접속부 확장 공사를 위해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용월리 113.3km 구간 도로 구역 변경[55]
  • 2001년 8월 25일 : 기존 서울 ~ 안산고속도로 전 구간을 편입, 기존 능해 나들목 ~ 서창 분기점 구간은 제2경인고속도로로, 서창 분기점 ~ 안산 분기점 구간은 영동고속도로로 이관. 기점과 종점을 각각 인천 → 목포에서 목포 → 광명/서울 (경기도 광명시 및 서울특별시 금천구)로 변경. 노선번호를 제11호에서 제15호로 변경.[56]

고속도로 노선 체계 재정비 이후

Remove ads

구성

요약
관점
Thumb
서해대교
Thumb
금천고가교 표지판(하행)
차로수
총연장
  • 336.65 km
제한속도

터널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구간 과속 단속

편의 시설

Thumb
행담도휴게소

서해안고속도로의 편의 시설 (휴게소)은 총 12곳이 있으며, 이 가운데 부안, 서천, 홍성, 서산, 목감휴게소는 개통 이후에 개장하였고, 행담도휴게소서해대교를 포함한 송악 나들목 ~ 서평택 나들목 구간이 개통되면서 같이 설치되어 이듬해 2001년 1월에 개장하였으며, 매송휴게소는 2017년 4월 21일에 착공되어 2018년 4월 20일에 신설 개장되었다. 2001년추석 연휴를 맞아 서천 ~ 당진 구간이 개통되었을 당시에는 대천 휴게소만 존재하였으며, 이 당시 명절 귀성객 및 귀경객들의 통행량에 비해 편의 시설이 매우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하였다.[104]

Remove ads

나들목 · 분기점

  • 여기서 숫자는 진출입교차점 (IC 및 JC) 번호를 말하고, TG는 요금소(Tollgate), SA는 휴게소(Service Area)를 뜻한다.
  • 거리의 단위는 km이다.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Remove ads

고속도로 지정 해제 구간

간략 정보 일반국도자동차전용도로, 총연장 ...

목포시 ~ 죽림 분기점 4.8km 구간은 1998년 8월 25일 무안 ~ 목포 23.2km 구간의 일부로 개통되었으며 본래 서해안고속도로에 해당했다. 2011년 12월 23일에 무안군 삼향읍 ~ 영암군 삼호면 서호리 구간의 국도 제2호선무영로가 개통됨과 동시에 죽림 분기점이 신설되면서 기존 목포시 ~ 죽림 분기점 구간이 국도 제2호선으로 편입되고 서해안고속도로의 기점은 죽림 분기점으로 단축되었다. 다만 도로명은 여전히 서해안고속도로이다.

  • 시설물
    • IC : 나들목(Interchange)
    • JC : 분기점(Junction)
자세한 정보 번호, 이름 ...

통과하는 지역

제한 속도

  • 최고 90km/h, 최저 30km/h
Remove ads

통과하는 지역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경기도
서울특별시
Remove ads

교통량

2010년 기준의 교통량 정보는 다음과 같다[107].

자세한 정보 구간, 거리 (km) ...

최고 통행량 지점은 안산 분기점부터 조남 분기점까지의 2.9 km 구간으로, 24시간에 193,753대 (10개 차선, 차선당으로 환산하면 19,375대/차선)가 통과한다. 차선당 최고 통행량 지점은 조남 분기점부터 목감 나들목까지 3.2 km 구간으로 24시간당 차선당 22,433대 (6개 차선, 총 134,596대)가 통과한다.

Remove ads

사고

요약
관점

2009년 서해대교

2006년 10월 3일 오전 7시 50분경 (한국 표준시) 서해대교 구간에서의 짙은 안개로 인한 29중 연쇄 추돌 사고가 발생하였으며 이 사고로 12명이 사망하고 50여명[108] 이 부상하는 인명피해를 냈다. 기상 상황 뿐만 아니라 운전자들의 과속, 일부 운전자들의 갓길 주행도 피해의 원인이었다. 피해액은 약 40억원으로, 한국의 자동차보험 역사상 가장 큰 사고로 기록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사고 이후, 서해대교 여러 구간의 안전시설이 보강되었다.

2016년 광천 나들목

2016년 1월 3일 오전 8시 10분경 충청남도 보령시 천북면 서해안고속도로 광천 나들목 부근에서 심한 안개로 차량 17대가 추돌해 15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당시 충남지역에 안개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가시거리가 불과 50 m도 되지 않았다.[109] 대한민국 기상청의 기상 관측 기록에 의하면 사고 당시인 1월 3일 오전 8시 보령시의 시정은 불과 0.1 km 미만이었다.[110]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16년 1월 3일 정오 이전, 시각 ...

2020년 송악 나들목

2020년 10월 20일 새벽 5시 20분경 서해대교 인근 서해안고속도로 당진시 송악 나들목에서 짙은 안개로 인해 10여 대의 차량이 연쇄 추돌하였다. 먼저 25톤 화물차 2대가 추돌했고 후속차들이 서행하다 급정거 하면서 9대가 추돌했으며 추가로 4대가 더 충돌했다. 오전 6시 30분 기준으로 일대의 가시거리는 40~70 m에 불과했다. 이날 서해대교를 비롯해 천안시, 홍성군, 인천광역시, 파주시 등 서해안과 수도권 곳곳에 안개가 발생했다.

자세한 정보 대한민국 기상청 기상실황표, 2020년 10월 20일 정오 이전, 시각 ...

2015년 서해대교

2015년 12월 3일 오후 6시 10분경 서해대교 주탑에 연결된 와이어에서 화재가 발생해 이를 진압하던 소방관 1명이 끊어진 와이어에 맞아 순직하고 2명이 부상을 입었다. 이 사고로 인하여 안전 점검을 위해 12월 19일까지 대교를 양방향 전면 통제했었다.[83]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