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중앙선

청량리-경주를 잇는 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앙선
Remove ads

중앙선(中央線)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청량리역경상북도 경주시모량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간략 정보 중앙선, 기본 정보 ...

경부선에 이은 대한민국 제2종 관선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조선총독부 철도국에서 조선인 강제 징용자들을 동원하여 한반도하고 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조선인 강제 징용자들의 여한이 서려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Remove ads

역사

일제강점기 시절

  • 1917.9.20 : 조선철도주식회사(朝鮮鐵道株式會社) 소속의 경동선의 일부로써 영천역 ~ 서악역간 20.6 km 개통. 당시 개업한 역은 영천, 임포, 아화, 건천, 모량(현 광명), 서악역.
  • 1918.11.1 : 경동선 율동(현 서악역) ~ 효자역 (포항)간 19.6 km 개통. 당시 개업한 역은 경주, 사방, 안강, 효자역.
  • 1923 : 조선총독부에서 조선 제2의 종관선 건설을 계획함.
  • 1935 : 청량리·양평·원주·제천을 거쳐 단양·영주·안동·의성·영천을 연결하는 345.2 km 노선 확정, 중앙선(中央線)이라 명명함.
  • 1936.11.3 : 청량리 방면에서 착공.
  • 1936.12.18 : 영천 방면에서 착공.
  • 1938.7 : 조선철도주식회사의 사철이었던 영천~경주역 구간 (경동선 일부) 37.5 km 매수.
  • 1938.12.1 : 기존 동해중부선 중에서 영천역~경주역 구간은 경경남부선(京慶南部線)으로 개명됨. 우보~영천역 구간 개통(40.1 km)으로 경경남부선이 우보역까지 연장됨.[1]
  • 1939.4.1 : 청량리~양평 52.5km구간을 개통하고 이 구간의 노선명을 경경북부선(京慶北部線)으로 개명함.[2]
    Thumb
    경경북부선 노선도 (1939년)
    • 동경성역(현 청량리)-망우(간이)-도농-덕소(간이)-팔당(간이)-양수-국수(간이)-양평역으로 개통[3]
  • 1939.6.1 : 영천~경주 구간의 궤도를 표준궤로 바꾸는 공사가 완료됨. 광명역이 모량역으로, 서악역이 율동역으로 개명됨.[4]
  • 1940.3.1 : 경경남부선 경북안동역(안동)~ 우보 48.9km구간 개통.[5]
  • 1940.4.1 : 경경북부선 양평~원주 55.9km구간 개통.[6]
  • 1940.5 : 소백산 죽령터널 준공.
  • 1941.7.1 : 경경북부선 원주역 ~ 제천역 46.8km구간과 경경남부선 영주~안동 38.7km구간 개통. 경경북부선하고 경경남부선을 통합하여 경경선(京慶線)으로 개명함.[7]
  • 1942.4.1 : 제천~영주 62.3km구간의 개통으로 경경선(京慶線)이 완전히 개통됨.[8]
  • 1942.6.1 : 동경성역이 청량리역으로 개명되어 본선의 구간은 청량리역~경주로 개정됨.[9]
  • 1944.6.15 : 율동역 폐역

해방이후 단선철도 시절

  • 1948.1 : 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환원, 충북단양역을 단양역으로 개칭[10]
  • 1949.8.18 : 죽령터널 열차 탈선 사고 발생
  • 1956.5.1 : 능내역 개업
  • 1956.7.11 : 치악역 개업
  • 1958.1.10 : 호당역 개업
  • 1959.3.1 : 마사역 개업
  • 1959.4.1 : 아신역 개업
  • 1965.11.5 : 신원역 개업
  • 1965.12.7 : 판대역(현 삼산역) 개업
  • 1966.7.11 : 송포역 개업
  • 1966.10.14 : 제천조차장역 개업
  • 1967.7.1 : 유교역(유교신호장) 개업
  • 1967.9.1 : 율동역 재개업
  • 1967.11.15 : 석불역 개업
  • 1968.7.16 : 금교역(금교신호장), 창교역(창교신호장), 연교역(연교신호장) 개업
  • 1968.9.1 : 매곡역 개업
  • 1969.9.12 : 청량리~제천 구간 전철화 착공.[11]
  • 1971.4.10 : 승문역(승문임시승강장), 비봉역(비봉임시승강장) 개업
  • 1971.12.1일 : 고명역 개업

전철화 시대

  • 1973.6.20 : 청량리~제천 구간 155.2 km 전철화.[12]
  • 1973.12.23 : 북영주역 개업
  • 1974.8.15 : 율동역 재폐역
  • 1977.3.1 : 동교역(동교신호장), 북영천역(북영천신호장) 개업, 율동역 삼개업
  • 1978.1.1 : 갑현역(갑현신호장) 개업
  • 1980.1.10 : 서지역(서지신호장), 업동역(업동신호장) 개업
  • 1980.4.1 : 회기역 개업
  • 1980.11.1 : 우등형 전기동차(EEC) 무궁화호 청량리~동해 구간 운행개시
  • 1985.5.1 : 충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구 선로 이설, 단양역 신설 개업
  • 1985.7.13 : 서경주역 개업
  • 1987.12 : 제천~단성 구간 29km 전철화
  • 1988.11.1 : 새마을호 청량리~안동 운행개시
  • 1988.12.23 : 단성~영주 구간 35km 전철화[13]
  • 1992.8.22 : 길아천교(구 철교) 노후화로 인한 붕괴 위험으로 인하여 금교~치악 구간 1.2km 개량 착공[14]
  • 1992.11.1 : 경주시내 도심이설로 인해 금장(서경주)~황성(황성분기) 2.5km 구간 이설, 구 서경주역하고 황성역이 폐역
  • 1996.7.12 : 금교~치악 구간 1.2km 준공
  • 1997.6.1 : 문수, 단촌, 봉림, 화산, 아화, 모량 6개역이 배치간이역으로 격하[15]
  • 2004.12.10 : 북영천, 아화, 모량 3개역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16]

광역전철 시대

  • 2005.12.16 : 청량리~덕소 구간 복선 전철화 및 중앙선 광역 전철 운행 개시.[내용주 1] 중랑, 양원(서울), 구리, 양정(남양주) 개업.
  • 2006.11월 1일 : 중앙선 새마을호 폐지.[17]
  • 2006.12.15 : 동교 신호장 폐지
  • 2007.12.27 : 덕소~팔당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광역 전철 운행 구간 연장 및 이 광역 전철의 안내명을 (수도권 전철) 중앙선으로 확정지음. 중앙선 도심역 개업
  • 2008.12.29 : 팔당~국수 구간 복선 전철화 및 수도권 전철 중앙선 운행 구간 연장. 중앙선 능내역 폐지, 운길산역 개업.
  • 2009.1.1 : 금장역을 서경주역으로 역명 변경.
  • 2009.12.23 : 신원(양평) 개업, 국수~지평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국수역 ~ 용문역 수도권 전철 운행 연장.[내용주 2]
  • 2010.3.31 : 하행열차를 시작으로 봉양~제천 구간 누리로 본격 운행 개시
  • 2010.12.15 새마을호 청량리 ~ 안동 구간 운행 재개.[18]
  • 2010.12.21 : 상봉, 오빈역 개업.
  • 2011.3.31 : 제천~도담 구간 복선 전철화 운행 개시[19]
  • 2011.12.21 : 양동~동화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간현역 폐지 및 동화역 여객운송 재개[20][내용주 3]
  • 2012.8.16 : 지평~양동 구간 운행선을 개량선으로 변경.
  • 2012.9.17 : 상행열차를 끝으로 누리로 운행 종료.
  • 2012.9.25 : 용문~서원주 구간 복선 전철화.
  • 2013.3.28 : 문수~마사 구간 영주댐 건설로 인한 수몰 예정으로 이설, 승문역 및 평은역 폐지, 옹천역은 신호장으로 격하.
  • 2013.11.20 : 구둔역, 판대역을 각각 일신(양평), 삼산역으로 변경.
  • 2014.11.1 : 청량리-안동간 새마을호 운행 종료 및 청량리-영주간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4.12.27 : 수도권 전철 경의선하고 직결운행.
  • 2016.8.25 : 서원주~만종 구간 복선 전철화 개통.
  • 2017.1.21 : 지평역까지 수도권 전철 운행

고속철도 시대

  • 2017.12.22 : 강릉선 KTX 개통
  • 2018.3.23 : 청량리~영주간 ITX-새마을 운행 재개
  • 2018.11 : 도담~단양 단선 개통 (운행선 변경)
  • 2019.4.17 : 철도 노선번호 변경에 따라 312로 변경[21]
  • 2019.10.3 : 태풍 미탁의 피해로 영천~경주(폐역) 간 열차 운행 중단.[22]
  • 2019.10.16 : 영천~경주(폐역) 간 열차 운행 재개[23]
  • 2019.10.25 : 사업용 철도노선 변경 고시를 통해 정차역에서 동화, 만종, 반곡, 치악, 신림(원주), 구학역 폐지. 기존 가칭 남원주역이 원주역으로 확정.[24]
  • 2020.3.2 : 영동선 동해행 일부 열차 제외 누리로로 열차종별 변경운행
  • 2020.6.22 : 원주~제천간 복선 철로 시운전[25]
  • 2020.9.23 : 무릉~단촌 구간 단선 개통 (운행선 변경)
  • 2020.11.12 : 노선 번호 채계 개편으로 청량리~도담 구간이 203으로 변경 지정되고 도담~경주 구간이 312로 현행 유지, 동화, 만종, 유교, 반곡, 금교, 치악, 창교, 신림(원주), 연교, 구학, 단성, 죽령, 희방사, 안정, 북영주, 문수, 마사, 이하, 서지, 무릉, 운산, 단촌역 폐지 고시, 운학신호장, 망호신호장 신설 고시[26]
  • 2020.12.14 : 단양~영주 운행선 변경[27]
  • 2020.12.17 : 영주~무릉 구간 운행선 변경[27]
  • 2021.1.5 : 서원주~제천, 도담~단양 구간 복선 전철화 및 개통. 청량리~안동 구간 KTX 운행 개시 및 ITX-새마을 운행 종료[28]
  • 2021.4.28 : 영천 ~ 신경주 구간 전차선로 전원공급 시작 및 시운전 시작[29]
  • 2021.7.31 : 강릉, 영동선 KTX-산천을 KTX-이음으로 대체 운행 개시
  • 2021.11.17 : 송포, 임포, 아화, 건천, 율동, 서경주, 경주, 경주삼각선 신설 고시[30]
  • 2021.11.26~23.12 : 안동 ~ 영천 구간 단선 전철에서 복선 전철로 변경[31]
  • 2021.12.28 : 영천~신경주 구간 복선 전철화 공사 완료
  • 2022.6.30 : 단양~영주 구간 복선 전철화
  • 2022.7.28 : 영주~안동 구간 복선 전철화
  • 2022.7.31 : 덕소역 KTX 정차 개시
  • 2022.11.5 : 청량리 ~ 안동 간 누리로를 ITX-새마을로 변경 운행 개시.[32]
  • 2022.12 : 안동 ~ 영천 구간 복선 전철화 공사 시작[33]
  • 2023.7.15 : 집중호우로 철로에 토사가 유입되거나 선로 손상으로 모든 열차가 운행중지
  • 2023.9.1 : ITX-마음 태백선 구간 운행 개시[34]
  • 2023.11.21 : 강릉선 KTX과 복합열차 운행 시운전[35]
  • 2023.11.22 : 망호신호장~의성 구간 하화 터널 개통, 업동역 폐역
  • 2023.12.18 : 동대구~부전 구간 ITX-마음 운행 개시 및 동대구~포항 구간 도시통근형 디젤 액압 동차(RDC) 운행 종료
  • 2023.12.29 : 청량리~안동 구간 중앙선 계통 KTX-이음 일부 열차 서울, 상봉역으로 연장 운행 개시 및 청량리~안동 구간 ITX-마음 운행 개시
  • 2024.5.11 : 망호신호장 폐지
  • 2024.8.1 : 의성~북영천신호장 구간 ITX-마음, KTX-이음 시운전 개시
  • 2024.9.27 : 중앙선(도담 ~ 모량) 사업용 철도노선 고시, 군위역 신설 , 비봉, 탑리, 우보, 화본, 봉림, 갑현, 신녕, 화산역 폐지 고시[36]
  • 2024.12.15 : 북영천신호장(북영천역) 여객취급 중단, 신호장으로 환원.
  • 2024.12.18 : 군위역 개업. 비봉, 탑리, 우보, 화본, 봉림, 갑현, 신녕, 화산역 폐역.
  • 2024.12.20 : 의성~북영천신호장(북영천역) 구간 선로 이설로 개통 82년만에 중앙선 전 구간 복선 전철화 완료.[37] 도담-안동 구간 ATP 신호시스템 공사 완료로 청량리~안동 구간 중앙선 계통 KTX-이음 일부 열차 부전까지 연장 운행 및 청량리~부전 무궁화호를 ITX-마음으로 변경 운행 개시.
  • 2025.1.1 : 동해 - 중앙선 - 부전 무궁화호를 영주역으로 단축.
Remove ads

역 목록

자세한 정보 역명, 로마자 역명 ...
Remove ads

운행 차량

기관차

과거 운행 차량

수도권 전철

요약
관점
Thumb
팔당역에 진입중인 경의중앙선 통근전철. 현재 321x08편성으로 운행중이다.

경부선경인선, 경원선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되었다. 이후에는 안산선, 분당선, 일산선, 과천선 등으로 광역 전철의 운행이 확대되었지만, 중앙선만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수도권의 인구 팽창으로 인하여 중앙선이 지나는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에서는 극심한 교통난을 겪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복선 전철화 및 통근형 전동차 운행 계획이 등장했다.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역에서 덕소역에 이르는 구간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용산-성북선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 덕소역에서 팔당역에 이르는 복선 전철화 사업은 2007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인 2008년 12월 29일에는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역인 능내역을 폐역하고 운길산역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2009년 12월 23일에는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신원역이 개통되었다. 이듬해인 2010년 12월 21일에는 상봉역오빈역이 개통되었다. 2014년부터는 경의선과 직결운행하여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2017년 1월 21일에는 용문역에서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자세한 정보 개통 일자, 개통 구간 ...

안내명

회기-덕소 구간 연장 이후 초기에는 용산 - 덕소선이라 불렸는데, 이는 영업 거리표상의 선구(線區)가 각각 용산 - 청량리 간이 경원선, 청량] - 덕소 간이 중앙선[내용주 5] 이기 때문에 명칭을 확정짓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2007년 12월 27일 노선이 팔당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이 운행 계통을 대표하는 안내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확정하였다. 영업 거리표상으로는 여전히 경원선하고 중앙선이 직결 운행하는 형태이지만, 일반 전철 승객들에게 안내되는 명칭으로는 '중앙선'만을 쓰기로 결정한 것이다.

경의선하고 직결운행 이후에는 경의·중앙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연혁

  • 2005.12.16 : 경원선(용산-성북) 운행 계통이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운행 계통이 됨. 회기 - 덕소 구간 개통[내용주 6]
  • 2007.12.27 : 덕소 - 팔당 구간 연장 개통과 동시에 8량 1편성으로 전환
  • 2008.4.1 : 전 열차에서 1인승무 개시
  • 2008.12.1 :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08.12.29 : 팔당 - 국수 구간 개통
  • 2009.12.23 : 신원, 국수 - 용문 구간 개통
  • 2010.12.21 : 상봉, 오빈역 개통
  • 2011.10.5 : 다이아 개정과 동시에 6량 1편성으로 전환
  • 2012.5.21 : 일부열차 8량 1편성으로 재전환 (2014년까지 전 편성이 8량 1편성화되었다.)
  • 2017.1.21 : 용문 - 지평 구간 개통

승차량 변동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자세한 정보 구간, 승차 인원 ...
자세한 정보 구간, 승차 인원 ...
Remove ads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 323.0 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 역 수 : 56
  • 보안 장치 : ATS

노선 구성

아래는 2024년말 기준 중앙선의 노선 구성이다.

  • 복선전철 구간 : 청량리 = 안동역 = 군위 = 영천 = 모량
  • 복선 구간(신선) : 안동 = 군위 = 영천

터널 목록

자세한 정보 지역, 터널 이름 ...
Remove ads

지선 노선

요약
관점

중앙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노선 명칭 ...

망우선

망우선망우역하고 경원선 광운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1이다.

용문기지선

용문기지선용문역하고 용문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2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제천조차장선

제천조차장선제천역하고 제천조차장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열차 조성이나 입환, 화물영업등 제천조차장을 이용하려는 열차가 이용하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3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북영주삼각선

북영주삼각선은 북영주역하고 중앙선 및 영동선을 잇는 총길이 0.7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3이다.

도담 - 영천 구간 개량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영천삼각선

영천삼각선북영천역하고 대구선 금호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4이다.

이 선로가 개통되기 전 강릉역 방면에서 동대구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영천역에서 방향을 바꾸어 운행해야만 했다. 그래서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 이 삼각선을 개설하였다.

본래 봉정역하고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의 삼각선이었으나 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 ~ 영천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인해 이설되면서 봉정역이 폐역되어 금호역에서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금장삼각선

금장삼각선서경주역하고 동해선 나원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5이다.

2021년 12월 28일에 도담 - 경주 구간 개량으로 철거되고 경주삼각선으로 대체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경주삼각선

건천읍에서 중앙선하고 분기되어 새 서경주역 방면 동해선을 잇는 새 삼각선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Remove ads

주요 다리 및 터널

개량 사업

전철화 자체는 빨랐음에도 나쁜 선형과 단선으로 인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노선이었다. 핵심 노선이었음에도 경부선 연선에 비해 우선 순위가 늦어, 2010년대 들어서 본격적인 개량이 포함되었다.

중앙선의 교통량

요약
관점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자세한 정보 운행구간, 선로용량 ...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자세한 정보 구분, 이용 인원수 (명) ...

역별 이용객 순위

  1. 청량리 : 2,583,846명
  2. 제천 : 1,540,844명
  3. 원주 : 1,184,828명
  4. 경주 : 1,018,357명
  5. 영천 : 662,214명
  6. 안동 : 618,469명
  7. 영주 : 593,181명
  8. 양평 : 537,220명
Remove ads

사진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