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신라의 행정 구역
남북국 시대에 신라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남북국 시대에 신라의 행정 구역은 9주 5소경(九州五小京)으로 요약할 수 있다.

9주
요약
관점
9주(九州)는 통일신라의 행정 구역으로, 신라는 고구려·백제를 정복한 후 당나라를 축출하고, 한반도를 완전히 통일한 다음 신문왕 5년(685년) 전국의 행정 구역을 9주·5소경으로 재편성하였다. "9주"의 설치는 중국의 지형설(地形說) "9토(九土)"를 상징한 데서 비롯된 것이었다. 9주가 설치된 곳은 신라 본국에 3개, 정복한 백제 지역에 3개, 정복한 고구려 지역에 3개 등으로 배분되어 있는데 이는 삼국통일이라는 정당성을 강조한 정치적 배려로 이해된다.[1] 경덕왕 16년(757년)에는 행정 구역명을 대국의 예에 따라 고쳤으며, 혜공왕대에 다시 원래 명칭으로 되돌리는 등 시기에 따라 이름이 바뀌었다. 《삼국사기》에는 경덕왕 때 중국식으로 고친 명칭을 기준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를 기준으로 9개의 주의 이름은 상주(尙州), 양주(良州), 강주(康州), 한주(漢州), 삭주(朔州), 명주(溟州), 웅주(熊州), 전주(全州), 무주(武州)이다. 9주의 소관 군현 수는 450군현에 이르렀다. 주 밑에는 군(郡)·현(縣)을 두어 계통적인 조직을 하였으며, 주에는 총관(摠官 : 나중에 도독으로 개칭), 군에는 수(守), 현에는 영(令) 등의 장관(현령, 縣令)을 두었다. 군현의 아래에는 촌(村)을 두었는데, 지방 토착 세력인 촌주(村主)가 지방관의 통제를 받으면서 다스렸다. 그밖에 특수 행정 단위인 향(鄕)·부곡(部曲)도 있었다. 또한 지방관을 감찰하려고 외사정(外司正)을 파견하였으며, 지방 세력을 견제하려고 상수리 제도를 실시하였다.
삽량주
또는 양주(良州)라고도 하였다. 주치(州治)는 지금의 양산시이고 1개 소경, 12개 군 34개 현이 소속되어 있으며 직접 관할하는 현은 1개이다. 영역은 지금의 경상북도 남동부 일대 및 경상남도 동부이다.
Remove ads
5소경
5소경(五小京)은 통일신라의 행정 구역으로,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후 9주를 설치하여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하고 아울러 5개 고을에 소경을 두었다. 신라의 수도는 반도의 동남쪽에 치우쳐 있어서 확대된 영역을 통치하기가 불편하였으므로 수도를 한때 지금의 대구로 옮기려 하였으나 그만두었다.[2] 그 대신 수도 외에 금관 가야(金官 加耶)의 본거지와 백제·고구려의 옛 땅에 모두 다섯 개의 소경을 두었다. 금관경(金官京 : 김해)·남원경(南原京 : 남원)·서원경(西原京 : 청주)·중원경(中原京 : 충주)·북원경(北原京 : 원주)이 그것으로, 여기에 중앙 귀족의 자제나 호민(豪民) 그리고 여러 주군(州郡)의 민호(民戶)를 강제로 이주시켜서 지방 세력을 견제하게 하였다. 소경에는 사신(仕臣)[3]이라는 장관이 있어 이를 다스렸다.
Remove ads
같이 보기
참고 문헌
- 김부식 (1145), 《삼국사기》 〈잡지제삼 지리일(雜志第三 地理一)〉·〈잡지제사 지리이(雜志第四 地理二)〉· 〈잡지제오 지리삼(雜志第五 地理三)〉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