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중앙선

청량리-경주를 잇는 철도 노선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중앙선
Remove ads

중앙선(中央線)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청량리역경상북도 경주시모량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철도 노선이다. 경부선에 이은 대한민국 제2종관선으로, 일제강점기 한반도만주 등의 지하자원 수탈과 여객·화물의 원활한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었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좌측통행이다.

간략 정보 중앙선, 기본 정보 ...
Remove ads

역사

일제강점기 시절

해방이후 단선철도 시절

전철화 시대

광역전철 시대

고속철도 시대

Remove ads

역 목록

자세한 정보 역명, 로마자 역명 ...
Remove ads

운행 차량

기관차

과거 운행 차량

수도권 전철

요약
관점
Thumb
팔당역에 진입중인 경의중앙선 통근전철. 현재 321x08편성으로 운행중이다.

경부선경인선, 경원선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개통과 동시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되기 시작되었다. 이후에는 안산선, 분당선, 일산선, 과천선 등으로 광역 전철의 운행이 확대되었지만, 중앙선만은 그렇지 않았다. 그러나 1990년 이후 수도권의 인구 팽창으로 인하여 중앙선이 지나는 구리시, 남양주시, 양평군에서는 극심한 교통난을 겪게 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복선 전철화 및 통근형 전동차 운행 계획이 등장했다. 2005년 12월 16일, 청량리역에서 덕소역에 이르는 구간에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하게 되면서 용산-성북선을 대체하게 된다. 이후 덕소역에서 팔당역에 이르는 복선 전철화 사업은 2007년 12월 27일에 개통되었고, 이듬해인 2008년 12월 29일에는 팔당역에서 국수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 과정에서 기존의 역인 능내역을 폐역하고 운길산역을 준공하였다. 이듬해인 2009년 12월 23일에는 국수역에서 용문역까지의 구간이 개통되었고, 신원역이 개통되었다. 이듬해인 2010년 12월 21일에는 상봉역오빈역이 개통되었다. 2014년부터는 경의선과 직결운행하여 양방향 모두 급행열차가 운행하며, 2017년 1월 21일에는 용문역에서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되었다.

자세한 정보 개통 일자, 개통 구간 ...

안내명

회기 - 덕소 구간 연장 이후 초기에는 용산 - 덕소선이라 불렸는데, 이는 영업 거리표상의 선구(線區)가 각각 용산 - 청량리 간이 경원선, 청량리 - 덕소 간이 중앙선[내용주 5] 이기 때문에 명칭을 확정짓지 못한 것이다. 그러나 2007년 12월 27일 노선이 팔당까지 연장됨과 동시에, 이 운행 계통을 대표하는 안내노선명을 중앙선으로 확정하였다. 영업 거리표상으로는 여전히 경원선과 중앙선이 직결 운행하는 형태이지만, 일반 전철 승객들에게 안내되는 명칭으로는 '중앙선'만을 쓰기로 결정한 것이다. 경의선과 직결운행 이후에는 경의·중앙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연혁

승차량 변동

가시성을 높히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자세한 정보 구간, 승차 인원 ...
자세한 정보 구간, 승차 인원 ...
Remove ads

노선 정보

  • 노선 거리 : 323.0 km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전 구간)
  • 궤간 : 1,435mm(표준궤)
  • 통행 방식 : 좌측
  • 역 수 : 56
  • 보안 장치 : ATS

노선 구성

아래는 2024년말 기준 중앙선의 노선 구성이다.

터널 목록

자세한 정보 터널 이름, 소재지 ...
Remove ads

지선 노선

요약
관점

중앙선에는 총 7개의 지선 철도가 있다.

자세한 정보 번호, 노선 명칭 ...

망우선

망우선망우역경원선 광운대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1이다.

용문기지선

용문기지선용문역용문차량사업소를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2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제천조차장선

제천조차장선제천역제천조차장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열차 조성이나 입환, 화물영업등 제천조차장을 이용하려는 열차가 이용하며,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20303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북영주삼각선

북영주삼각선은 북영주역과 중앙선 및 영동선을 잇는 총길이 0.7km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3이다. 도담 - 영천 구간 개량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영천삼각선

영천삼각선북영천역대구선 금호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4이다.

이 선로가 개통되기 전 강릉역 방면에서 동대구역 방면으로 가는 열차는 영천역에서 방향을 바꾸어 운행해야만 했다. 그래서 불편을 줄이기 위해서 이 삼각선을 개설하였다.

본래 봉정역과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의 삼각선이었으나 2017년 9월 8일 대구선 하양 ~ 영천 구간이 복선 전철화로 인해 이설되면서 봉정역이 폐역되어 금호역에서 북영천역을 잇는 형태로 변경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금장삼각선

금장삼각선서경주역동해선 나원역을 연결하는 삼각선형태의 철도 노선이었다. 국토교통부의 한국철도영업거리표 상 노선 번호는 31205이다. 2021년 12월 28일에 도담 - 경주 구간 개량으로 철거되고 경주삼각선으로 대체되었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경주삼각선

건천읍에서 중앙선과 분기해 새 서경주역 방면 동해선을 잇는 새 삼각선이다.

자세한 정보 역명, 역간거리 (km) ...
Remove ads

주요 다리 및 터널

개량 사업

전철화 자체는 빨랐음에도 나쁜 선형과 단선으로 인해 제 속도를 내지 못하는 노선이었다. 핵심 노선이었음에도 경부선 연선에 비해 우선 순위가 늦어, 2010년대 들어서 본격적인 개량이 포함되었다.

중앙선의 교통량

요약
관점

열차 통과량

2023년도 철도통계연보에 따르면, 중앙선을 경유하는 정기열차의 운행 빈도는 다음과 같다.(단위 : 회/일, 작성기준 : 편도, 주중)

자세한 정보 운행구간, 선로용량 ...

이용객 변동

다음 자료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통계 내용을 모은 것이다.

자세한 정보 구분, 이용 인원수 (명) ...

역별 이용객 순위

  1. 청량리역 2,583,846명
  2. 제천역 1,540,844명
  3. 원주역 1,184,828명
  4. 경주역 1,018,357명
  5. 영천역 662,214명
  6. 안동역 618,469명
  7. 영주역 593,181명
  8. 양평역 537,220명
Remove ads

사진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