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전기를 이용한 동력 분산식 열차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電氣動力分散式列車, 영어: electric multiple unit, EMU)는 전기를 이용한 동력 분산식 열차이다. 줄여서 ‘전동차’(電動車, 주로 단거리 도시 통근형) 또는 ‘전기 동차’(電氣動車, 주로 중·장거리 여객 수송형)라고 부르기도 한다.

분류

동력장치와 운전대가 있는 차를 제어전동차(制御電動車, motor-car with controller, Mc), 동력장치만 있고 운전대는 없는 차를 중간전동차(中間電動車, intermediate motor-car, M), 운전대만 있고 동력장치는 없는 차를 제어차(制御車, control car, Tc), 운전대도 동력장치도 없는 차를 부수차(附隨車, trailer, T)라고 한다.[1] 그 밖에 집전장치가 설치된 동력차를 M', 보조전원장치(SIV)가 설치된 부수차를 T1 등으로 보다 상세히 나누기도 한다.[출처 필요]

세계의 전기 동차

요약
관점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전기 동력 분산식 열차로 우등형 전기 동차·공항철도 전동차·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등을 들 수 있다. 2009년 6월 1일에는 우등형 전기 동차 운행 중단 8년 만에 간선급 여객 전동차인 간선 전기 동차가 운행을 개시하였으며, 또한 최초의 국산화 틸팅열차인 한국형 틸팅열차가 개발되어 여러 간선구간에서 시운전을 진행하였다.

대한민국의 전기동차 운행현황(2025.1.1 기준) 편성기준으로 작성.

(취소선 : 운행 중지), (기울임꼴 : 도입예정)

자세한 정보 형태, 종류 ...

일본

일본은 거의 대부분의 철도 회사가 전동차 혹은 디젤 동차를 주로 사용한다. 객차형 열차는 거의 없다.

Remove ads

사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