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국도 제46호선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국도 제46호선 (인천 ~ 고성선, 國道第四十六號 仁川高城線)은 인천광역시 중구 인천역과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상리 교차로를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일반 국도다. 인천에서 부천을 거쳐 서울 여의도에 이르는 구간은 경인로, 경인국도로, 남양주에서 춘천에 이르는 구간은 경춘로, 경춘국도로 불린다. 부천 구간에는 유일한로라는 별칭이 붙어 있기도 한데, 이는 유한양행의 설립자인 유일한에서 유래되었다.
Remove ads
연혁
- 1969년 5월 1일 : 춘성군 신북면 천전리 샘밭 ~ 북산면 추전리 터일나루터 38.864km 구간 개통[1]
- 1971년 3월 18일 : 춘성군 북산면 추곡리 내평지서앞 ~ 양구군 남면 석현리 29.736km 구간 개통, 기존 추곡리 ~ 추전리 5.68km 구간 폐지[2]
- 1971년 8월 31일 : 일반국도노선지정령에 의해 국도 제46호선 인천 ~ 속초선이 됨.[3]
- 1973년 2월 7일 :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도로가 수몰되는 인제군 남면 신남리 ~ 양구군 양구읍 구간 도로 이설 개통 및 양구대교 개통[4]
- 1973년 3월 14일 :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도로가 수몰되는 인제군 남면 신남리 ~ 인제면 조림리 (구축령) 13.6km 구간을 15.29km 로 도로구역 변경[5]
- 1980년 2월 22일 : 춘성군 서면 안보리 ~ 당림리 총 3.118km 구간 개통 및 기존 총 3.999km 구간 폐지[6]
- 1981년 3월 14일: 종점을 '강원도 속초시'에서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으로 연장함. 이에 따라 '인천 ~ 속초선'에서 '인천 ~ 간성선'이 됨.[7]
- 1981년 4월 13일 : 국도로 승격된 인제군 북면 용대리 ~ 고성군 거진읍 대대리 31km 구간 개통, 기존 지정 구간인 인제군 북면 용대리 ~ 속초시 동명동 20km 구간 폐지[8]
- 1981년 5월 30일 : 대통령령 제10247호 일반국도노선지정령 개정에 따라 연장된 11km 구간으로 도로구역 변경[9]
- 1986년 5월 13일 : 기점을 '경기도 인천시'에서 '인천직할시 중구'로 변경함.[10]
- 1987년 11월 18일 : 기존 지정 구간인 남양주군 미금읍 도농리 ~ 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구간 폐지[11]
- 1994년 7월 15일 : 춘천군 신북면 천전리 ~ 화천군 간동면 오음리 18.6km 구간 개통[12]
- 1995년 1월 12일 : 오음 ~ 양구간 도로(양구군 양구읍 석현리 ~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32.6km 구간, 의암 ~ 춘천간 도로(춘천시 칠송동 ~ 서면 덕두원리) 5.8km 구간 개통[13]
- 1996년 7월 1일 : 서울특별시 구간 노선 변경[14]
1996년 7월 1일 노선 변경 내역
- 1997년 5월 12일 : 남양주시 호평동 ~ 화도읍 금남리 11.6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5]
- 1998년 9월 24일 : 남양주시 진건면 사능리 ~ 호평동 6.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16]
- 1998년 12월 31일 : 청평대교(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745m 구간 및 조종교(가평군 외서면 청평리) 620m 구간 가설 개통[17]
- 2000년 1월 1일 :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 강원도 춘천시 서면 안보리 4.96km 구간 확장 개통[18]
- 2000년 2월 1일 :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 강원도계 5.3km 구간 확장 개통[19]
- 2000년 6월 : 가평군 설악면 회곡리 200m 구간 폐지[20]
- 2000년 9월 21일 : 가평군 외서면 상천리 ~ 가평읍 상색리 3.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가평군 가평읍 하색리 800m 구간 폐지[21]
- 2001년 11월 19일 : 춘천시 동면 만천리 ~ 신북읍 천전리 6.687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22]
- 2001년 12월 29일 : 인제군 인제읍 남북리 ~ 북면 한계리 1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13.5km 구간 폐지[23]
- 2002년 8월 10일 : 오봉산휴게소 앞 사고다발지점 개선공사에 의해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520m 구간 도로구역 변경[24]
- 2002년 12월 21일 : 신남 ~ 인제간 도로(강원도 인제군 남면 부평리 ~ 인제읍 남북리) 5.6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4.2km 구간 폐지[25]
- 2005년 10월 12일 : 양구군 남면 구암리 ~ 상남리 16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240m 구간 폐지[26]
- 2005년 12월 30일 : 남양주시 호평동 ~ 화도읍 금남리 11.36km 구간 확장 개통[27]
- 2005년 12월 31일 : 춘천시 동면 만천리 ~ 신북읍 천전리 7.18km, 동면 장학리 1.0km 구간 확장 개통[28]
- 2006년 2월 17일 : 춘천시 북산면 추곡리 ~ 양구군 양구읍 웅진리 6.115km 구간 신설 개통, 기존 19.25km 구간 폐지[29], 춘천시 신북읍 천전리 ~ 발산리 2.5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30][31]
- 2007년 6월 30일 :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 ~ 호평동 6.134km 구간 개통[32]
- 2009년 12월 31일 : 양구군 양구읍 웅진리 ~ 남면 죽리 7.44km 구간 신설 개통 및 기존 양구읍 웅진리 ~ 학조리 10.52km 구간 폐지[33], 북면 ~ 용대간 도로(인제군 북면 한계리 ~ 원통리) 3.28km 구간 확장 개통[34]
- 2010년 7월 16일 : 북면 ~ 용대간 도로(인제군 북면 원통리 ~ 용대리) 10.86km 구간 조기 확장 개통, 기존 15.1km 구간 폐지[35]
- 2011년 12월 12일 : 진관 나들목 ~ 먹골 교차로(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1.0km 구간 조기 확장 개통[36]
- 2012년 3월 30일 : 배후령터널 및 신북 ~ 북산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유포리 ~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8.06km 구간 임시 개통[37]
- 2012년 6월 29일 : 퇴계원 나들목 연결도로(구리시 사노동 ~ 남양주시 별내면 화접리) 5.4km 구간 개통[38], 먹골 교차로(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개통[39]
- 2012년 12월 7일 : 신북 ~ 북산간 도로(춘천시 신북읍 유포리 ~ 화천군 간동면 간척리) 8.84km 구간 확장 개통 및 기존 12.76km 구간 폐지[40]
- 2013년 12월 27일 : 인제군 북면 용대리 800m 구간 선형개량[41]
- 2014년 2월 20일 :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 사능리 3.0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42]
- 2014년 10월 6일 : 고성군 간성읍 대대리 ~ 신안리 1.14km 구간 개통[43]
- 2014년 11월 26일 : 진관IC ~ 사능간 도로(남양주시 진건읍 진관리) 1.2k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구간 폐지[44]
- 2015년 6월 10일 : 남면우회도로(양구군 남면 죽리) 330m 구간 확장 개통, 기존 양구군 남면 죽리 ~ 구암리 330m 구간 폐지[45]
- 2024년 10월 25일: 영등포로터리 고가차도 철거[46]
Remove ads
주요 경유지
- 중구 (북성동2가 · 선린동 · 항동 · 해안동 · 항동 · 사동 · 신생동 · 신흥동) - 미추홀구 (숭의동 · 도화동 · 주안동) - 남동구 간석동 - 부평구 (십정동 · 부평동 · 부개동 · 일신동 · 구산동)
- 부천시 (송내동 · 심곡본동 · 소사본동 · 괴안동)
Remove ads
노선
- (■):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인천광역시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 기존 구간 (1996년 이전의 노선)
경기도
- 구리시 교문사거리 - 왕숙교
- 남양주시 왕숙교 - 남양주 나들목 (100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도농역 - 도농삼거리 - 금곡역 - 금곡사거리 - 돌팍고개 - 호평시내 - 마치고개 - 마석가구공단 - 마석역 - 샛터삼거리 - (현 구간과 합류) - 청평터미널 (청평 시내구간) - (현 구간과 합류) - 구 빛고개 - (현 구간과 합류) - 가평터미널 - 읍내사거리 - 가평교 - 구경강교
- 교문사거리 - 왕숙교 - 남양주 나들목 (100호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 도농역 - 도농삼거리 - 금곡역 - 금곡사거리 - 돌팍고개 - 평내동 행정복지센터 - 마치터널 - 마석가구공단 입구 - 마석사거리 - 샛터삼거리 - (현 구간과 합류)
강원특별자치도
- 기존 구간 (1989년 이전의 노선)
- 구경강교 - (현 구간과 합류) - 의암교차로 - 신연교 - 의암호 인어동상 - 칠전동 - 공지천교 - 구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중앙로터리 - 캠페이지 입구 - 소양1교 - 신북읍 - 천전삼거리 - 춘천공원묘원 앞교차로 - (현 구간과 합류)
- 기존 구간 (1990년대의 노선)
- (현 구간) - 팔미교차로 - 칠전동 - 온의사거리 - 남부사거리 - 운교사거리 - 중앙로터리 - 캠페이지 입구 - 소양1교 - 신북읍 - 천전삼거리 - 춘천공원묘원 앞교차로 - (현 구간과 합류)
- 기존 구간 (2000년대 초반의 노선)
- (현 구간) - 만천 나들목 - 감정교 - 동면파출소 - 가산초등학교 - 춘천농촌문화회관 - 천전삼거리 - 춘천공원묘원 앞교차로 - (현 구간과 합류) - 38선쉼터 - 공리 나들목 - (현 구간 합류)
Remove ads
도로명
- 인천광역시
- 중구 인천역사거리 ~ 신포사거리 : 제물량로
- 중구 신포사거리 ~ (제1부두입구) : 신포로
- 중구 (제1부두입구) ~ 미추홀구 숭의로터리 : 인중로
- 미추홀구 숭의로터리 ~ 부평구 구산사거리 : 경인로
- 경기도
- 서울특별시
- 구로구 성공회대학교 ~ 영등포구 서울교 교차로 : 경인로
- 영등포구 서울교 교차로 ~ 마포구 마포대교북단 교차로 : 여의대로
- 마포구 마포대교북단 교차로 ~ 광진구 천호대교북단 나들목 : 강변북로
- 광진구 천호대교북단 나들목 ~ 광장사거리 : 천호대로
- 광진구 광장사거리 ~ 쉐라톤 워커힐호텔 : 아차산로
- 경기도
- 구리시 교문동 ~ 교문사거리 : 아차산로
- 구리시 교문동 교문사거리 ~ 동구동 사노 나들목 : 동구릉로
- 구리시 동구동 사노 나들목 ~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 나들목 : 금강로
- 남양주시 진건읍 진관 나들목 ~ 화도읍 금남 교차로 : 신경춘로
- 남양주시 화도읍 샛터 교차로 ~ 가평군 가평읍 경강교 : 경춘로
- 강원특별자치도
- 춘천시 남산면 경강교 ~ 신동면 팔미 교차로 : 경춘로
- 춘천시 신동면 팔미 교차로 ~ 신북읍 신북 교차로 : 순환대로
- 춘천시 신북읍 신북 교차로 ~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송청삼거리 : 춘양로
-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송청삼거리 ~ 용하삼거리 : 정중앙로
- 양구군 국토정중앙면 용하삼거리 ~ 인제군 남면 신남삼거리 : 삼팔선로
- 인제군 남면 신남삼거리 ~ 유목 교차로 : 신남로
- 인제군 남면 유목 교차로 ~ 북면 한계 교차로 : 설악로
- 인제군 북면 한계 교차로 ~ 용대 교차로 : 미시령로
- 인제군 북면 용대 교차로 ~ 고성군 거진읍 대대삼거리 : 진부령로
- 고성군 거진읍 대대삼거리 ~ 상리 교차로 : 간성로
Remove ads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
아래 구간은 국토교통부에서 지정한 자동차 전용도로 구간이므로 보행자, 자전거 등은 통행할 수 없다. 이륜자동차 (모터사이클 혹은 오토바이)는 긴급자동차 (싸이카 및 소방용 모터사이클 등)에 한해 통행이 가능하며, 그 밖의 이륜자동차와 경운기, 우마차, 트랙터, 손수레는 통행할 수 없다.
Remove ads
사진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