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문재인 정부의 연표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이 문서는 문재인 정부의 연표에 관한 것이다.
2017년
5월
- 5월 10일
- 5월 12일 - 한국사 국정교과서를 폐지하다.[4]
- 5월 16일 - 대통령 직속으로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설치하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의 역할을 대신하게 하다.[5]
- 5월 17일 - 홍석현, 이해찬, 문희상, 송영길, 조윤제를 각각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유럽 연합에 특사로 파견하다.[내용 1][6]
- 5월 19일 - 청와대 상춘재에서 여야 원내대표와 오찬 회동을 하다.[7][내용 2]
- 5월 24일 - 기획재정부 등 22개 부처가 국정기획자문위원회를 대상으로 사흘 간 업무보고를 실시하다.[8][9]
- 5월 31일 - 이낙연을 국무총리에 임명하다.[10]
6월
- 6월 1일
- 6월 9일 - 김동연을 기획재정부 장관에 임명하다.[13]
- 6월 16일 - 김부겸, 도종환, 김영춘을 각각 행정자치부 장관,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해양수산부 장관에 임명하다.[14][내용 3]
- 6월 18일 - 강경화를 외교부 장관에 임명하다.[15]
- 6월 19일 - 정부가 첫 번째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다.[16]
- 6월 21일 - 김현미를 국토교통부 장관에 임명하다.[17]
- 6월 27일 - 정부가 신고리원자력발전소 5·6호기의 공사 일시중단을 결정하다.[18]
- 6월 29일 -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3일까지 3박 5일 간 미국을 공식 실무방문하다.[19][20]
7월
- 7월 3일 - 조명균, 김영록을 각각 통일부 장관,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 임명하다.[21]
- 7월 4일 - 김상곤, 김은경을 각각 교육부 장관, 환경부 장관에 임명하다.[22]
- 7월 6일 - 문재인 대통령이 7일부터 1박 2일 간 진행되는 G20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독일로 출국하다.[23][24]
- 7월 7일 - 정현백을 여성가족부 장관에 임명하다.[25]
- 7월 11일 - 유영민을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에 임명하다.[26][내용 4]
- 7월 13일 - 송영무를 국방부 장관에 임명하다.[27]
- 7월 15일 - 최저임금위원회가 2018년도 최저임금을 시간당 7,530원으로 결정하다.[28]
- 7월 17일 - 신고리 5·6호기의 건설 중단 여부를 시민참여단이 결정하도록 정하고 이 과정을 공정하게 진행하게 하기 위해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를 설치하다.[29]
- 7월 19일
- 7월 20일 -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하다.[32]
- 7월 22일
- 7월 26일 -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공포하여 정부 조직을 개편하다.[35][36]
8월
9월
10월
11월
- 11월 1일 - 문재인 대통령이 국회에서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다.[58]
- 11월 2일 - 기획재정부가 혁신창업 생태계 조성방안을 발표하다.[59]
- 11월 7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박 2일의 일정으로 국빈방문하다.[60][61]
- 11월 8일 - 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및 동남아시아 국가 연합 + 3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7박 8일의 일정으로 동남아시아 3개국을 순방하다.[62][내용 5]
- 11월 12일 -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에서 대북제재 결의안 제2375호를 만장일치로 통과시키다.[64]
- 11월 15일
- 11월 16일 - 캐나다 은행과 한도와 만기가 설정되지 않은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다.[67]
- 11월 21일 - 홍종학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 임명하다.[68]
- 11월 22일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우즈베키스탄 대통령이 3박 4일의 일정으로 국빈방문하다.[69]
- 11월 23일 -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실시되다.[70]
- 11월 24일 - 이진성이 헌법재판소장에 취임하다.[71]
- 11월 27일 - 교육부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을 발표하다.[72]
- 11월 28일 - 마이트리팔라 시리세나 스리랑카 대통령이 2박 3일의 일정으로 국빈방문하다.[73]
12월
Remove ads
2018년
1월
- 1월 1일
- 1월 2일 - 최재형을 감사원장에 임명하다.[86]
- 1월 3일 - 1년 11개월 동안 끊어져 있던 남북 판문점 연락채널이 재개통되다.[87]
- 1월 4일 - 한미 양국이 평창 올림픽 기간 동안 연합 군사훈련을 실시하지 않기로 합의하다.[88]
- 1월 8일 - 칼둔 칼리파 알 무바라크 아부다비 행정청장이 방한하다.[89]
- 1월 9일
- 1월 10일 - 정부가 신년 기자회견을 진행하다.[93]
- 1월 11일 - 법무부와 금융위원회가 암호화폐 거래소 폐쇄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히다.[94][내용 6]
- 1월 14일 - 청와대가 권력기관 개혁에 관한 방안을 발표하다.[97]
- 1월 15일 - 남북이 판문점에서 실무회담을 진행하다.[98]
- 1월 16일 - 청와대에서 중소기업인들을 초청해 만찬 간담회를 가지다.[99]
- 1월 17일 - 남북이 평화의 집에서 차관급 실무회담을 진행하다.[100]
- 1월 18일 - 정부 부처가 29일까지 이낙연 총리에게 신년 업무보고를 시행하다.[101]
- 1월 21일 - 현송월 삼지연 관현악단장 등 7명이 평창올림픽 공연장 점검을 위해 1박 2일의 일정으로 방남하다.[102]
- 1월 23일 - 금강산과 마식령 스키장을 사전점검하기 위한 선발대가 2박 3일의 일정으로 방북하다.[103]
- 1월 25일 - 북한 아이스하키 선수단 15명과 선발대 8명이 방남하다.[104]
- 1월 30일 - 청와대에서 장차관급 인사 144명이 참여한 장차관 워크숍을 개최하다.[105]
- 1월 31일 -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가 8년 2개월 만에 양대 노총이 모두 참석하여 개최하다.[106]
2월
Remove ads
각주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