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
Remove ads

1960년 지방 선거1960년 12월 대한민국에서 네 차례에 걸쳐 시행된 지방 선거였다. 특별시·도의원 선거, 시·읍·면의원 선거, 시·읍·면장 선거, 특별시·도지사 선거가 다른 날 각각 진행되었다.

간략 정보 선출의석: 광역단체장 10석 기초단체장 1,467석광역의원 485석 기초의원 16,851석, 제1당 ...

예상보다 저조한 성적을 거둔 신민당은 집권 여당 민주당3·15 부정선거에 버금가는 선거 부정을 저지른 결과라고 주장하였다.[1]

Remove ads

배경

1960년, 특별시장·도지사 직선제를 골자로 한 3차 지방자치법이 통과되었다. 이승만 정부 동안에도 지방 선거를 치렀으나, 서울시장과 도지사만큼은 대통령 임명제가 고수되고 있었는데, 제2공화국은 수립과 함께 지방자치제 실현을 위해 이같은 지방자치법을 마련한 것이다.

특별시·도의회의원 선거

개요

  • 선거일:1960년 12월 12일
  • 선거인수:11,263,445명
  • 투표자수:명
  • 투표율:67.4%
  • 의석수:487석

결과

자세한 정보 정당, 당선자수 ...

지역별 결과

자세한 정보 지역, 민주당 ...
Remove ads

시·읍·면의회의원 선거

개요

  • 선거일:1960년 12월 19일
  • 선거인수:1,995,994명
  • 투표자수:명
  • 투표율(%):62.6%

읍의회의원선거는 72개 읍에서 실시되었는데 선거를 실시한 읍의 총인구 1,750,102명의 42%에 해당하는 734,538명 중 88%인 649,544명이 투표에 참여하여 1,115명의 의원을 선출하였다. 면의회의원선거는 1308개 면에서 실시되었는데 선거를 실시한 면의 총인구수 13,464,023명의 42%에 해당하는 5,689,917명 중 5,295,462명이 투표에 참가하여 93%라는 높은 투표율을 보여 시·읍보다 지방의원 선거에 많은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으며, 이 선거에서 당선된 면의원은 16,051명이었다.[2]

결과

자세한 정보 정당, 시의회의원 ...

시·읍·면장 선거

개요

  • 선거일:1960년 12월 26일
  • 선거인수:2,035,429명
  • 투표자수:명
  • 투표율(%):54.6%

결과

자세한 정보 정당, 시장 ...

시장 선거 결과

자세한 정보 지역, 민주당 ...

읍장 선거 결과

자세한 정보 지역, 민주당 ...

면장 선거 결과

자세한 정보 지역, 민주당 ...

시·읍·면장 당선자 명단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자세한 정보 색, 정당 ...
자세한 정보 시·읍·면, 당선자 ...
Remove ads

특별시장·도지사 선거

개요

  • 선거일:1960년 12월 29일
  • 선거인수:11,329,744명
  • 투표자수:4,188,020명
  • 투표율:38.8%

결과

자세한 정보 지역, 후보명 ...

지역별 결과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서울특별시장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경기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강원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충청북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충청남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전라북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전라남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경상북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경상남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제주도지사
자세한 정보 후보명, 소속정당 ...
Remove ads

참고자료

주해

  1. 공식 유효투표수는 362,631표로 상이함
  2. 공식 유효투표수는 444,155표로 상이함
  3. 공식 유효투표수는 619,154표로 상이함

각주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