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O 골든글러브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BO 골든글러브(KBO Golden Glove Award)은 KBO 리그에서 매해 각 포지션별로 가장 우수한 활약을 한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본 명칭은 한국프로야구 골든글러브(Korean Professional Baseball League Golden Glove Award)이었으나 KBO의 브랜드 아이덴디티 통합 작업에 따라 2015시즌부터 "KBO 골든글러브"라는 새로운 명칭을 사용하게 되었다.

간략 정보 주최, 나라 ...

개요

KBO에서 주최하고 있으며 한국 프로 야구 창립 기념일을 기념하여 매년 동일하게 12월 11일에 열린다.

한국 프로 야구 첫 해인 1982년과 1983년까지는 최고 수비수를 뽑는 취지의 시상식인 만큼 투표 없이 수비율로 수상자를 결정하였으나, 1984년부터는 베스트 10의 시상과 통합되면서 수비는 물론 공격 능력과 인지도까지 아울러서 평가하는 상으로 바뀌며 1984년부터는 지명 타자 부문도 신설되었다. 1985년까지는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 부문을 분리해 시상했었지만 1986년부터는 외야수 부문으로 통합되어 시상되었다. 시즌에 활동했던 선수들 중 골든글러브 수상 자격이 되는 기록을 보유한 선수들이 먼저 후보자 명단에 오르고, 최종 수상자는 시상식 당일 프로 야구 기자단과 방송 관계자들의 투표로 결정된다.

Remove ads

수상자 명단

자세한 정보 연도, 투수 ...
Remove ads

베스트 10

원년인 1982년과 1983년엔 수비율만으로 골든글러브를 시상했으며, 지금의 골든글러브와 비슷한 성격의 상으론 베스트 10이 있었다. 당시의 골든글러브는 신문에 거의 보도조차 되지 않았을 정도로 그 중요도가 낮게 다뤄졌지만 1984년부터 베스트 10과 통합되면서 지금의 모습이 되었다. 오히려 베스트 10은 언론에서 크게 보도했다.[관련글[13]]

따라서 1982년과 1983년 두 시즌의 현재의 골든글러브 수상자개념에 부합되는 수상자는 이 베스트 10 명단에 가깝다 보아도 무방할 수 있다.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포지션 순, * 외야의 경우 지금의 골든글러브와 다르게 좌익수, 중견수, 우익수를 나눠서 시상했다.)

1982년 베스트 10 수상자 = 박철순(OB 베어스), 이만수(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 구천서(OB 베어스), 이광은(MBC 청룡), 오대석(삼성 라이온즈), 이종도(MBC 청룡), 장태수(삼성 라이온즈), 윤동균(OB 베어스), 백인천(MBC 청룡)

1983년 베스트 10 수상자 = 장명부(삼미 슈퍼스타스), 김무종(해태 타이거즈), 김성한(해태 타이거즈), 김인식(MBC 청룡), 김용희(롯데 자이언츠), 김재박(MBC 청룡), 김종모(해태 타이거즈), 김일권(해태 타이거즈), 장효조(삼성 라이온즈), 김봉연(해태 타이거즈)

각종 기록

Remove ads

주요 기록

요약
관점
자세한 정보 #, 내용' ...
Remove ads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