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KBO 한국시리즈

KBO 리그 챔피언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KBO 한국시리즈(영어: KBO Korean Series)는 매년 KBO 리그의 최종 우승 구단을 결정하기 위해 동일한 두 팀이 일련의 야구 경기이다. 포스트 시즌, 즉 가을야구의 하이라이트로 간주되며, 정규시즌 1위 팀과 플레이오프 승리팀이 겨룬다. 대한민국의 모든 스포츠 리그 결승전 중 가장 인지도가 높으며 시청률도 가장 높다.

간략 정보

현재 한국시리즈에 진출하기 위한 방법은 첫 번째는 정규시즌에서 1위를 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는 것이다.


Remove ads

대회 개요

요약
관점

KBO 소속 팀들이 페넌트레이스를 마친 후 1위를 차지한 팀과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한 팀이 7전 4선승제의 경기를 치러 우승 팀을 가린다. 1982년부터 시작되었다.

1982년 - 1984년
  • 전기 리그 우승 팀과 후기 리그 우승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한 팀이 전,후기 리그를 통합 우승하면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을 당해년도 우승 팀으로 한다.
  • 1983년까지는 1차전을 전기 리그 1위팀의 홈 구장, 2차전을 후기 리그 1위팀의 홈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
  • 1984년부터는 1, 2 차전을 전기 리그 1위팀의 홈 구장, 3, 4차전을 후기 리그 1위 팀의 홈 구장, 나머지 경기를 서울에서 치렀다.
1985년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팀이 각각 다를 경우 전기 리그 우승 팀 대 후기 리그 우승 팀이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러 그 승리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하나가 전·후기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2위이면, 플레이오프 없이 전기리그 우승 팀과 후기 리그 우승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전, 후기 리그 우승 팀 중 하나가 전·후기 통합 승률 1위이고 다른 팀이 3위 이하이면, 통합 승률이 낮은 팀이 통합 승률 2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러 그 승리 팀과 전·후기 통합 승률 1위 팀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한 팀이 전, 후기 리그 우승을 전부 석권한 경우 한국시리즈 없이 해당 팀을 해당 연도의 우승 팀으로 정한다.
1986년 - 1988년
  • 전·후기 1·2위 팀이 모두 다른 경우 전기 리그 1위팀과 후기 리그 2위팀, 후기리그 1위 팀과 전기 리그 2위 팀이 각각 플레이오프를 치른 후 각 승리팀끼리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 한 팀이 전·후기 리그의 2위 안에 모두 들면 그 팀은 한국시리즈에 바로 진출하게 되고, 남은 두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러 한국시리즈에 진출할 팀을 가린다.
  • 동일한 두팀이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에 1, 2위를 차지하면 플레이오프 없이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특정 팀이 전,후기 리그를 모두 1위로 종료하여도 관계없다.
1989년 - 1992년
  • 정규 시즌 3·4위팀이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準)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리팀이 정규 시즌 2위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정규 시즌 1위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른다.
1993년 - 1998년
  • 1989년 체제와 동일한 방식이지만, 정규 시즌 3·4위 팀 간 승차가 3경기 이내일 경우에만 준 플레이오프를 행한다.
    준 플레이오프가 열리지 않을 경우, 플레이오프 경기를 7전 4선승제로 진행한다.
1999년 - 2000년
  • 드림·매직 리그의 양대 리그로 경기를 운영함에 따라 각 리그의 1위 팀이 상대 리그의 2위 팀과 7전 4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리팀이 한국시리즈에 오른다.
  • 한 리그의 3위 팀의 승률이 다른 리그 2위 팀보다 높을 경우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치르고, 그 승자는 3위 팀 소속 리그의 1위 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2001년
  • 단일 리그로 환원됨에 따라 정규 시즌3, 4위팀이 승차에 관계없이 3전 2선승제의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승리팀이 플레이오프전에 오르고, 페넌트레이스 2위 팀과 5전 3선승제의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플레이오프의 승자가 한국시리즈에 오르게 된다.
  • 한국시리즈 1·2차전은 1위팀의 홈 구장, 3·4차전은 플레이오프 승리팀의 홈 구장, 5·6·7차전은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다.
2002년 - 2004년
  • 2001년 규정과 동일하나 서울 연고지팀과 한국시리즈를 치르거나, 혹은 3만 명 이상 수용 규모의 홈 구장을 확보한 서울 연고 이외의 팀끼리 겨루게 될 경우에는 1·2·6·7차전은 페넌트레이스에서 승률이 높은 팀의 홈구장, 3·4·5차전은 승률이 낮은 팀의 홈구장에서 열린다.[1]
2005년
  • 준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3전 2선승제에서 5전 3선승제로 늘렸다.
2006년 - 2007년
  • 준플레이오프가 3전 2선승제로 환원되었다.
2008년
  • 준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3경기에서 5경기로, 플레이오프의 경기 수를 5경기에서 7경기로 늘려서 각각 3승과 4승을 먼저 거두는 팀이 다음 단계에 진출하게 된다.
2009년
  • 플레이오프가 5전 3선승제로 환원되었다.
2010년
  • 지방 구장의 한국시리즈 개최 자격 관중석 기준이 3만 명에서 2만 5천 명으로 변경되었다.
  • 단, LG, 두산이 플레이오프 거쳐서 한국시리즈 진출시 1,2,6,7차전은 지방 구장에서, 3,4,5차전은 잠실야구장에서 한다.
2015년
  • 대회명이 '한국시리즈'에서 KBO 한국시리즈로 변경되었다.
  • 2만 석 미만 홈구장을 보유한 구단이 한국시리즈에 진출했을 경우 잠실에서 5~7차전 중립경기가 열린다. 삼성, NC, 한화, 넥센이 진출시 적용한다.(2015년이 잠실 중립경기 마지막이다. 그러나 두산이 한국시리즈에 진출 했으므로 따라서 마지막 중립경기는 2014 한국시리즈가 되었다. )
2016년
2021년
  • 포스트시즌 제도와 관련해 정규 시즌 우승팀에게 홈 어드밴티지를 부여하기 위해 한국시리즈 홈 경기 편성을 2-3-2 방식에서 2-2-3 방식으로 변경했다. 이에 따라 정규 시즌 우승팀은 한국시리즈 1~2, 5~7차전을 홈 구장에서 치르게 된다.
  • 포스트시즌이 11월 15일 이전에 끝나지 않을 경우, 이후 경기는 모두 고척스카이돔에서 치르게 된다.
Remove ads

연도별 결과

자세한 정보 연도, 우승팀 ...
Remove ads

통산 기록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별 승패 및 승률 통계

자세한 정보 승률, 팀명 ...

방송사

자세한 정보 연도, 방송사 (생중계) ...

경기 시작 시간

같이 보기

각주

Loading content...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