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질문
타임라인
채팅
관점

전한의 행정 구역

위키백과, 무료 백과사전

Remove ads

전한의 행정 구역진나라에 비해 간소하게 바뀌었으나, 군현(郡縣) 제도는 그대로 유지하였다. 중국 전역을 14개의 주(州)로 나누어 주군현(州郡縣) 체제를 완성하였으며, 각 주에 자사(刺史)를 파견하여 각 주의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의 감찰을 맡게 했다. 이러한 형식은 후한 말기까지 유지되었으며, 이후의 중국 대륙에 세워진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개요

고제(高帝)는 전한 건국 후 진나라의 군현제와 주나라의 봉건제를 절충한 군국제를 시행하였다. 이후 조정의 권력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유방은 한신(韓信) · 팽월(彭越) 등의 제후왕들을 차례로 제거하고, 이에 반발한 영포(英布) · 노관(盧綰) 등의 모반을 진압하였다. 그 자리에 자기 일족인 개국 공신들과 자신의 아들들을 임명하였으며, 왕국(王國)의 개수도 9개로 정리하였다. 하지만 한나라에서는 각 왕국의 승상만을 임명할 뿐이었고, 각 왕국의 행정 · 군사 권한을 가진 제후(諸侯)들이 점차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하였으며, 이들은 여러 군(郡)을 자신의 세력 하에 두었고, 그 수는 한나라 전체 군의 2/3에 이르렀다.

이에 문제(文帝)와 경제(景帝)는 제후왕들의 세력을 축소시키는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는 오초칠국의 난이 발생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반란을 평정한 뒤, 조정에서는 한 제후왕이 한 군 이상을 다스리지 못하도록 했고, 각 군과 현에 군수(郡守)와 현령(縣令)을 임명하였다. 무제 때에는 주보언(主父偃)의 의견으로 제후왕의 영지를 자식들에게 나누어 주어 왕국을 축소시키는 추은령(推恩令)을 시행하였다.

중앙집권체제가 확립되어 나라가 안정을 되찾자, 무제는 이전에 중국 세력이 도달하지 못한 북부, 서북부, 서남부 방향으로 해외 원정을 펼쳐 영토를 확장하였다. 그 결과, 무제는 당시 중국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다스리게 되었으며, 새로 정복한 지역에 군(郡)과 현(縣)을 설치하였고, 중국 전역을 14개의 주(州)로 나누어 각 주에 자사(刺史)를 파견하였다. 이 당시의 주는 정치적인 성격을 갖지는 않았지만, 조정에서 임명한 주자사가 각 주의 실무를 담당하는 관리의 감찰을 맡게 하여 중앙 정부가 지방 행정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게 되었다. 이러한 형식은 이후의 중국 대륙에 세워진 국가들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외에도 한나라는 서역도호부(西域都護府)를 설치하여, 서역(西域)에 대한 군사적 영향력을 증대시켰다.

Remove ads

행정 구역과 지방 장관 체제

전한 시대에는 지방 행정의 중심 역할을 하는 군(郡)을 두었으며, 각 군에 군수(郡守)를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고, 군수는 후에 태수(太守)로 명칭이 바뀌었다. 황자(皇子)가 봉해진 군을 왕국(王國)이라고 하며, 각 왕국에는 태수의 역할을 하는 (相)이 임명되었다.

각 군과 왕국의 아래에는 현(縣)을 두었으며, 일만 호(戶) 이상의 현에는 현령(縣令)을, 일만 호 이하의 현에는 현장(縣長)을 임명하여 행정을 담당하게 하였다. 태후(太后) 또는 공주(公主)가 봉해진 현을 읍(邑)이라고 하며, 이민족(異民族)이 모여 있는 현을 도(道)라고 하고, 각 읍과 도에도 현령 또는 현장이 임명되었다. 열후(列侯)가 봉해진 현을 후국(侯國)이라고 하며, 각 후국에는 현령 또는 현장의 역할을 하는 상(相)이 임명되었다.

Remove ads

행정 구역 목록

자세한 정보 주, 군 ...

참고 문헌

Loading related searches...

Wikiwand - on

Seamless Wikipedia browsing. On steroids.

Remove ads